$\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연 요인이 수단-목표 관계의 지각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Happenstance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Means-Goal Relationship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1, 2016년, pp.11 - 20  

이병관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김성은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특정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가 탐색되었을 때, 추가 목표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평가가 개인의 내재적인 우연수용성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연수용성이 높거나 낮은 참가자들에게 특정 수단(운동과 저축)과 관련성이 높거나 낮은 추가적인 목표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수단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연수용성이 높은 사람들은 우연수용성이 낮은 사람들보다 원래의 목표외에 추가적인 목표들에 대해서도 현재의 수단이 더 효과가 있을것이라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추가적인 목표가 원래의 수단-목표 연결과 관련성이 높을 때에만 발견되었다. 즉, 추가적인 목표가 원래의 수단-목표 연결과 관련성이 낮은 경우에는 우연수용성이 높거나 낮은 사람들 간의 추가적인 목표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평가에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목표 체계 이론(goal systems theory)과 우연수용성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intrinsic acceptance for happenstance(IAH) affects evaluation of the means to achieve additional goals when the additional goals are happened to be added to the original means-goal link. Specifically,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특정 수단을 활용하여 원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있어 예기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가 탐색 되었을 때, 수단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에 있어 우연 수용성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연수용성이 높거나 낮은 참가자에게 특정 수단(운동과 저축)과 관련성이 높거나 낮은 추가적인 목표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수단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연 수용성이 높은 사람들은 우연수용성이 낮은 사람들보다 원래의 목표외의 추가적인 목표들에 대해서도 현재의 수단이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지지).
  • 본 연구는 목표달성을 추구하던 도중 예기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가 탐색 되었을 때, 수단에 대한 가치 평가가 개인의 우연수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또한, 추가적인 목표의 수단과의 관련성 정도에 따라 수단에 대한 가치평가에 있어 우연수용성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목표달성을 추구하던 도중 예기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가 탐색 되었을 때, 수단에 대한 가치 평가가 개인의 우연수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또한, 추가적인 목표의 수단과의 관련성 정도에 따라 수단에 대한 가치평가에 있어 우연수용성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특정 수단을 활용하여 원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있어 예기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가 탐색 되었을 때, 수단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에 있어 우연 수용성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연수용성이 높거나 낮은 참가자에게 특정 수단(운동과 저축)과 관련성이 높거나 낮은 추가적인 목표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수단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Zhang과 동료들(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수단에 대한 가치평가 과제를 활용하여, 예상하지 못한 목표가 추가적으로 탐색되는 상황에서의 수단에 대한 가치평가를 확인하고,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처하는 개인적 성향의 조절적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초기의 목표 외에 예상치 않은 추가적인 목표가 제시되는 상황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의 목표를 달성가능하게 하는 수단에 대한 가치평가에 있어, 최초의 목표를 평가할 시점에서는 예상하지 못 했던 추가적인 목표가 탐색된 상황에서의 수단에 대한 가치평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수단-목표의 관계에서 원래의 목표 이외의 추가적인 목표들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지각은 개인의 우연수용성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우연수용성이 높은 집단은 우연 수용성이 낮은 집단보다 예상치 못한 추가 목표들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을 높게 평가할 것이다.
  • 가설 1은 우연수용성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보다 예상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에 대해서도 수단이 효과적일 것이라 평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 가설 2a: 예상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들이 원래 수단목표와 관련성이 높은 경우, 우연수용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추가적인 목표들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을 더 높게 평가할 것이다.
  • 가설 2b: 예상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들이 원래 수단목표와 관련성이 낮은 경우, 추가적인 목표들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평가가 우연수용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 2는 추가적인 목표의 수단과의 관련성 정도에 따라 수단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우연수용성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목표가 수단과 관련성이 높은 목표일 때, 우연수용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추가적인 목표에 대해서도 수단이 효과적일 것이라 평가하지만(가설 2a), 추가적인 목표가 수단과 관련성이 낮은 목표일 때, 우연수용성의 높고 낮음은 추가적인 목표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였다(가설 2b).
  • 가설 2는 추가적인 목표의 수단과의 관련성 정도에 따라 수단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우연수용성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목표가 수단과 관련성이 높은 목표일 때, 우연수용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추가적인 목표에 대해서도 수단이 효과적일 것이라 평가하지만(가설 2a), 추가적인 목표가 수단과 관련성이 낮은 목표일 때, 우연수용성의 높고 낮음은 추가적인 목표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였다(가설 2b).
  • 그러나 사전에 기대할 가능성이 낮거나, 관련성이 낮은 목표는 개인의 우연수용성에 상관없이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가능하다. 이상의 논의를 근거로 가설 2a와 가설 2b를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표 체계 이론의 선행 연구들을 통한 결과는 무엇이었는가? 위와 같은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으로 목표 체계 이론(Goal Systems Theory)이 있다. 목표 체계 이론의 선행 연구들은 하나의 수단이 단일의 목표를 달성할 때 보다 다중의 목표를 달성할 때, 수단의 가치를 더 낮게 평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Kruglanski, Shah, Fishbach, Friedman, Chun, & Sleeth-Kepper, 2002; Zhang, Fishbach, & Kruglanski, 2007). 따라서 하나의 운동수단이 체력증가라는 목표 외의 체중감소와 같은 추가적인 목표 또한 달성가능하다고 여겨진다면, 해당 운동수단의 가치를 더 낮게 평가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수단이 다중의 목표와 연결되는 상황은 운동에서 어떠한 예를 들수 있는가? 이때, 수단이 다중의 목표와 연결되는 상황은 운동, 저축과 같이 장기적인 노력을 요하는 행동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력증가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헬스 트레이너로부터 특별한 운동수단을 제시받았고, 이와 같은 운동수단이 체중감소, 숙면 등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이다.
수단이 다중의 목표와 연결되는 상황은 어떠한 행위, 행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가? , 2002). 이때, 수단이 다중의 목표와 연결되는 상황은 운동, 저축과 같이 장기적인 노력을 요하는 행동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력증가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헬스 트레이너로부터 특별한 운동수단을 제시받았고, 이와 같은 운동수단이 체중감소, 숙면 등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arts, H. & Dijksterhuis, A. (2000). Habits as knowledge structures: automaticity in goal-directed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1), 53-63. 

  2. Aarts, H. & Dijksterhuis, A. (2003). The silence of the library: environment, situational norm, and social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18-28. 

  3. An, E. M. & Lee, B. K. (2014).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ption of happenstance and pre-expectancy disconfirmation on consumer response to service produc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1), 247-266. 

  4. Emmons, R. A. & King, L. A. (1988). Conflict among personal strivings: immediate and long-term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40-1048. 

  5. Fishbach, A. & Dhar, R. (2005). Goal as excuses or guides: The liberating effect of perceived goal progress on cho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2(3), 370-377. 

  6. Fishbach, A., Friedman, R. S., & Kruglanski, A. W. (2003). Leading us not into temptation: Momentary allurements elicit overriding goal ac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296-309. 

  7. Gelatt, H. B. (1989). Positive uncertainty: A new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2), 252-256. 

  8. Gollwitzer, P. M. & Moskowitz, G. B. (1996). Goal effects on action and cognition. In E. T. Higgins & A. W. Kruglanski (Eds.), Social psychology: Handbook of basic principles (pp. 361-399), New York: Guilford Press. 

  9. Kruglanski, A. W., Shah, J. Y., Fishbach, A., Friedman, R., Chun, W. Y., & Sleeth-Keppler, D. (2002). A theory of goal systems.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4, 331-378, San Diego: Academic Press. 

  10. Krumboltz, J. D. (2009).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7(2), 135-154. 

  11. Krumboltz, J. D. & Levin, A. S. (2010). Luck is no accident: Making the Most of Happenstance in Your Life and Career. Impact Publishers. 

  12. Krumboltz, J. D., Mitchell, A., & Gelatt, H. G. (1975). Applications of social learning theory of career selection. Focus on Guidance, 8(3), 1-16. 

  13. Lee, B. K.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us of Control and the Perception of Happenstance on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4(1), 37-54. 

  14. Lee, B. K. & Lee, G. H. (2013). The Effect of Priming Attribution of Chance versus Effort on Task Satisfaction and Re-performanc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6(4), 535-544. 

  15. Lee, B. K. & Lee, G. H. (2014). The Effect of Good and Bad Luck on Reason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7(3), 39-48. 

  16. Lee, S. H. & Shin, S. S. (2012). Concept Mapping Analysis of Happenstance in Career Choic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3(1), 1-20. 

  17. Mitchell, K. E. & Krumboltz, J. D. (1990). Social learning approach to career decision making:Krumboltz's theory.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pp. 145-196), San Francisco: Jossey-Bass. 

  18. Mitchell, K. E., Levin, S., & Krumboltz, J. D. (1999). Planned happenstance: Constructing unexpected career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7(2), 115-124. 

  19. Pryor, R. G. & Bright, J. E. (2006). Counseling chaos:Techniques for practitioners.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43(1), 9-17. 

  20. Shah, J. Y. & Kruglanski, A. W. (2003). When opportunity knocks: bottom-up priming of goals by means and its effects on self-reg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6), 1109-1122. 

  21. Song, B. K. & Lee, C. S. (1997). The critics on the normative career development theor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4(1), 329-337. 

  22. Thompson, D. V., Hamilton, R. W., & Rust, R. T. (2005). Feature fatigue: When product capabilities become too much of a good th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2(4), 431-442. 

  23. Zhang, Y., Fishbach, A., & Kruglanski, A. W. (2007). The dilution model: how additional goals undermine the perceived instrumentality of a shared pa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3), 389-4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