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에서의 REDD+ 사업을 위한 산림황폐화 및 탄소저장량 평가
Assessment of Forest Degradation and Carbon Storage for REDD+ Project in Nor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4 no.1, 2016년, pp.1 - 7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문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송철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황폐화 방지와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한 REDD+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황해북도에서 10,000 ha를 대상지에 대해 다중시기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산림 황폐화는 계속 심해져, 1989년 7,035 ha로부터 2013년 4,293 ha로 약 39%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라 산림탄소축적량은 약 $284,399tCO_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선을 설정하고 REDD+ 사업에 의한 산림탄소 감소방지량 (온실가스배출감축량)을 분석한 결과 약 $364,704tCO_2$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 수행이 불가능한 한계점과 단위면적 (ha)당 산림탄소축적량을 이용할 시 북한의 수종 재적 자료가 없는 제한 하에 남한의 자료를 사용한 한계는 향후 극복하여야 할 과제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향후 북한에서 REDD+ 사업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gets severed, the interest for REDD+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d historical land cover changes of the study area which is 10,000 ha in Hwanghaebukdo of North Korea for assessing change in landcover and carbon storage. The result showed that the for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북한 황해북도에서 10,000 ha를 사례지역으로 Landsat 위성영상 기반 시계열 토지피복 변화와 그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를 분석하고, REDD+의 기준선 (Reference Level) 설정에 대한 산림탄소 감소방지량(온실가스배출 감축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EDD+란 무엇인가? REDD+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산림전용 및 산림 황폐화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는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가에서의 산림전용 및 황폐화 방지를 통해 산림탄소감소를 막으려는 국제환경정책이다(Han and Youn 2009). REDD+ 사업에 있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은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우수실행지침 (GPG; Good Practice Guide)에 잘 정리되어 있다(IPCC, 2006).
황해북도 서흥군 지역의 지리환경적 특징은? 연구대상지로 북한 황해북도에서 영상 확보가 용이하고 산림 황폐화가 비교적 심하게 일어난 서흥군 지역의 10,000 ha를 선택하였다. 지리적 위치는 동경 126°10′~126°17′, 북위 38°18′~38°23′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구대상지의 연평균기온은 9.2°C, 1월 평균기온은 -7.8°C, 8월 평균기온은 24°C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064 mm이다.
남한이 북한지역의 REDD+ 산림탄소 잠재량 산정을 통해 산림 황폐화 방지사업에 참여를 제안하는 명분이 되는 정책과 지침은 무엇인가? REDD+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산림전용 및 산림 황폐화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는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가에서의 산림전용 및 황폐화 방지를 통해 산림탄소감소를 막으려는 국제환경정책이다(Han and Youn 2009). REDD+ 사업에 있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은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우수실행지침 (GPG; Good Practice Guide)에 잘 정리되어 있다(IPCC, 2006). 이를 바탕으로 Koo and Youn (2010) 등은 북한지역의 REDD+ 산림탄소 잠재량 산정을 통해 남한은 북한의 산림 황폐화 방지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JS. 2013. A Preliminary Review of REDD Mechanism for Rehabilitating Forest Degradation of North Korea. J. Korean For. Soc. 102:491-4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ui G, WK Lee, D Kim, EJ Lee, H Kwak, HA Choi, DA Kwak, SW Jeon and W Zhu. 2014. Estimation of forest carbon budget from land cover change in South and North Korea between 1981 and 2010. J. Plant Biol. 57:225-238. 

  3. FAO. 2010.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10 Country Repor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ome, Italy. pp. 37. 

  4. Han KJ and YC Youn. 2009. Integrating forestry offsets into a domestic emission trading scheme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8: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www.kci.go.kr/kciportal/po/search/poCitaView.kci?sereId001796&fromsereDetail 

  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6. Jeon YJ and JI Kim. 2003. Supervised classification systems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J. KIISE Comput. Pract. Lett. 9:301-3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o JH, JC Koo and YC Youn. 2011. Economic Feasibility of REDD Project for Preventing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630-6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OS and YC Youn. 2014. An identification of project sites for lowering carbon emissions and saving forests in DPR Korea.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264-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rea Forest Service. 2013. Lecture book of REDD+ : Introduction. Korea Forest Service. Seoul. p. 126 (in Korean). 

  10. Koo JC and YC Youn. 2010. Potential REDD Projects and Cost Estimates in PDR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Routine Proceedings. pp. 35-37 (in Korean). 

  11. Nam K, WK Lee, M Kim, DA Kwak, WH Byun, H Yu, H Kwak, T Kwon, J Sung, DJ Chung and SH Lee. 2015. Spatio-temporal change in forest cover and carbon storage considering actual and potential forest cover in South Korea. Sci. China Life Sci. 58:713-723. 

  12. NIFoS. 2010a. Carbon sinks sect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capacity plans for expand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strengthen in a developing country. NIFoS. pp. 29-30 (in Korean). 

  13. NIFoS. 2010b. Forest Recovery Plan in North Korea. NIFoS (in Korean). 

  14. Park CH and JS Yu. 2009. Forest degradation detection of North Korea using remote sensing.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8:3-24 (in Korean). http://scholar.ndsl.kr/schJournalDetail.do?cnNJOU00290654 

  15. Park KS. 2013. Status of Forest and Forest Policy in North Korea. KREI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15(3). p. 21 (in Korean). 

  16. Park KS, SY Lee and SY Park. 2013. Green Detente and forest recovery support measures in North Korea. NIFoS, Forest Policy Issues 5. Seoul. p. 16 (in Korean). 

  17. Seok HD, YH Kim, YH Lee, JC Koo, SH Park, CH Lee and TS Yoon. 2014. The strategy of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deforested and degraded mountainous area in North Korea. KREI Political Research Report P193, Seoul. p. 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UNEP. 2003. DPR KOREA : State of the Environment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