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접착제 제조용 아크릴계 반응성 유화제의 합성
Synthesis and Charaterization of Polymerizable Acryl's Emulsifier to prepare Green Glu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3 no.1, 2016년, pp.51 - 57  

정노희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박종권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강윤석 (기린화장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작용기를 첨가하여 유화제 뿐만 아니라 합성에서의 모노머로 작용할 수 있는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반응성 계면 활성제는 메타아크릴 산, 아크릴산과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폴리 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POE 23)를 사용하여 합성되었으며 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하였고, P-TsOH를 촉매로서 사용 하였다. 합성된 계면 활성제는 FT-IR, $^1H$-NMR 스펙트럼, 원소 분석을 하였다. 물성 평가는 HLB, Cloud point, 표면 장력, 임계 미셀 농도를 측정 하였다. HLB 값은 11.62~12.09 범위로 평가 하였다. cmc 값은 표면 장력 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1{\times}10^{-4}{\sim}5{\times}10^{-4}$의 값을 가졌다. 실험을 통해 측정된 Cloud point은 35, $39^{\circ}C$ 이었다. 합성 계면 활성제의 유화 특성은 polyoxyethylene lauryl ether보다 낮았다. 또한, 유화력은 벤젠에서 보다 대두유에서 더 좋았다. 실험결과 합성 수율은 93.27 ~ 94.49%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reactive surfactant which have functional radical group for effective chemical reaction. Reactive surfactant have been synthesized using synthesis of polyoxyethylene lauryl ether(POE 23) which is nonionic surfactant an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benzene was us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주변 생활에 많이 쓰이는 세제용도 외에 공업적으로 토목, 건축, 의약품, 농약, 고무, 식품, 섬유 등 각종산업분야에서 유화제, 소포제, 기포제, 응집제, 분산제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10-13]. 본문에서는 접착제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lauryl ether(brij 35, POE 23)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사용하여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으며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를 각각 부가시켜 합성한 계면활성제와 기존의 계면활성제를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FT-IR, FT-RAMAN, 1H-NMR 를 통해 구조를 분석하고 HLB 산정, Cloud Point, 유화력, cmc, 표면장력 등을 보며 산업적인 전망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활용 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4-8] 이러한 형태의 계면활성제는여러 산업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주변 생활에 많이 쓰이는 세제용도 외에 공업적으로 토목, 건축, 의약품, 농약, 고무, 식품, 섬유 등 각종산업분야에서 유화제, 소포제, 기포제, 응집제, 분산제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10-13]. 본문에서는 접착제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lauryl ether(brij 35, POE 23)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사용하여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으며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를 각각 부가시켜 합성한 계면활성제와 기존의 계면활성제를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계면활성제는 무엇인가?  계면활성제는 서로 다른 상의 경계면에 계면차이로서 계면 흡착을 행하여 계면의 경계를 완화시키고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 계면의 활성을 부여하는 물질을 말한다. 계면활성제의 구조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기와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기를 갖고 있는 물질이다.
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계면활성제는 화학 구조, 합성 방법, 용도별로 분류하는데 보편적으로 수용액에서 녹아 친수성부분에서의 이온 여부에 따라 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한다. 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 J. Rosen, "SURFACTANTS AND INTERFACIAL PHENOMENA", Wiley- Interscience, 3, 1, (2004). 

  2. B. J. Song,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Surfactant Industry Industry Competitiveness Survey, 9-12, (2012). 

  3. Y. H. Jo, "Basic Principle of the surface active agent and a gemini surfactan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1988). 

  4. M. Albert, "ChappellConfounding factors and tertiary-phase control by a surfactive agent on smectite sorption of atrazine", Iowa State University, (2004). 

  5. K. Shamel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 Glycol Method, J. Mol. Sci, 13, (2012). 

  6. C. U. Kim, Y. H. Kim, K. S. Lee, Jun-Min Lee, "The Effects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ud Point of Nonionic Surfactant Aqueous Solution", J. Korean Ind. Eng. chem, 11, 756-761, (2000). 

  7. A. Popadyuk, I. Tarnavchyk, N. Popadyuk, A. Kohut, V. Samaryk, S. Voronov, "A novel copolymer of N-[(tert-butylperoxy) methyl]acrylamideand maleic anhydride for use as a reactive surfactant in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ve & Functional Polymers, 73, 1290-1298, (2013). 

  8. H. N. Gil, B. H. Lee, "Thermodynamic Study on the Micellar Properties of TTAB/ Brij 35 mixed surfactant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1, 2, (2007). 

  9. K. Holmberg, B. Jonsson, B. Kronberg, Lindman B, "Surfactants and Polymers in Aqueous Solution". 2nd. ed. Chichester, West Sussex, John, Wiley & sons England, 1-2, (2003). 

  10. D. R. Karsa. "Surfactants in Polymers", Coatings, Inks and Adhesives. V.1. Blackwell Publishing, Oxford, England, 219-220, (2003). 

  11. J. Y. Jeong,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Using Methods and Types of Foaming Agent", Kong-ju university, (2010). 

  12. Y. W. Kim, "Antifoaming Theory and Antifoamer Application", Lubricating Oil Industries Association, 111, 8-17, (2004). 

  13. Robert Pelton, Ted Flaherty, "Review Defoamers: linking fundamentals to formulations", Polymer Internationals, 52, (2003). 

  14. Kimura D, J. Jpn. Oil Chem. Soc., 24, 521,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