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한 피부용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of Water-based Acry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kin Using Reactive Emulsifie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3, 2019년, pp.352 - 357  

이상철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정노희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3-butenoic acid와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테르를 사용하여 비닐기를 가진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 반응성 유화제는 FT-IR$^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에서 합성된 반응성 유화제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각각의 점착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56.8~57.4%의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초기 접착의 경우, 반응성 유화제로 제조된 S20BA는 $^{\sharp}13$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접착제의 박리강도는 $0.66{\sim}1.05kg_f$의 범위에서 측정되었고 S20BA를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박리 강도가 측정되었다. 내열성 시험 결과, S20BA의 내열성이 $840^{\circ}C$로 가장 높았다. 피부용 접착제에 대한 응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H는 중성 7로 측정되었으며, 일차 피부 자극 시험의 결과로 비자극성으로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reactive emulsifier with vinyl groups was synthesized by using 3-butenoic acid and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 The synthesized reactive emulsifier was confirmed by FT-IR and $^1H-NMR$. In addition, the reactive emulsifier synthesized in the preparation of aqueous a...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반응성 유화제는 3-butenoic acid와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구조는 FT-IR과 1H-NMR로 분석했으며,합성 수율은 85~90%의 고체의 형태를 얻었으며, 점착제는 고형분56.
  • 건조 후 SUS 304로 된 너비 50 mm, 길이 125 mm인 시험판에 1 kg 고무롤러를 이용하여 5회 왕복 압착시켰다. 30 min 후인장력테스트기(Instron, Dacell Co.)를 이용하여 300 mm/min의 속도로 시험편 5매의 최대 점착력, 최소 점착력 및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180° 박리시험법으로 진행하였고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 4. 피부용 점착제로의 응용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pH 측정과 1차 피부자극시험을 하였다. pH는 중성인 7로 측정되었고, 사람 피부에 직접 부착을 하여 테스트 한 1차 피부자극시험 결과도 무자극으로 판정되어 피부용 점착제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Steel ball은 고탄소 크롬 베어링 강재로 지름이 1/32 inch에서부터 32/32 inch까지 범위의 것을 사용하였고, 제일 작은 볼에서부터 점차 큰 볼로 각 5회 측정하여 완전히 정지하고 5 s 이상 움직이지 않는 가장 큰 볼을 찾았다. 각 시료 5매의 최대값을 구해 초기접착력을 구하였다.
  • Steel ball은 고탄소 크롬 베어링 강재로 지름이 1/32 inch에서부터 32/32 inch까지 범위의 것을 사용하였고, 제일 작은 볼에서부터 점차 큰 볼로 각 5회 측정하여 완전히 정지하고 5 s 이상 움직이지 않는 가장 큰 볼을 찾았다. 각 시료 5매의 최대값을 구해 초기접착력을 구하였다.
  • 건조한 시험편을 30° 각도로 경사판을 조절한 Ball-Tack 측정기(KPB-801)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 반응성 유화제는 3-butenoic acid와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구조는 FT-IR과 1H-NMR로 분석했으며,합성 수율은 85~90%의 고체의 형태를 얻었으며, 점착제는 고형분56.8~57.4%로 합성하였다
  • 수성형 점착제 내의 수분을 제외한 고형분의 무게 측정은 시료 1 g을 알루미늄 접시에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 무게를 측정 후, 열풍 순환식 건조기에서 105 ℃, 180 min 동안 건조시킨다. 그 후 무게를 다시 측정하여 각각의 알루미늄 접시의 무게를 뺀 수치를 건조된 무게 측정치를 건조 전 무게 측정치로 나누어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 기존의 수성 아크릴 점착제 제조 방법에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점착제의 고형분은 한국산업규격 KS M 3705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값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octadecyl-polyethyleneglycol(20) 3-butenoate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하여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여 고형분, 평균 입자 크기, 초기점착력, 점착력 등과 같은 특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반응성 유화제에 대한 관능기 및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FT-IR (480plus, Jasco) 측정을 하였으며, 시료는 KBr 디스크로 제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반응성 유화제에 대한 분석은 1H-NMR (DPX-500, Bruker)을 이용하여 chemical shift를 측정하였으며, 용매로는 D2O를 사용하였다.
  • 반응성 유화제에 대한 관능기 및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FT-IR (480plus, Jasco) 측정을 하였으며, 시료는 KBr 디스크로 제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반응성 유화제에 대한 분석은 1H-NMR (DPX-500, Bruker)을 이용하여 chemical shift를 측정하였으며, 용매로는 D2O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octadecyl-polyethyleneglycol(20) 3-butenoate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하여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여 고형분, 평균 입자 크기, 초기점착력, 점착력 등과 같은 특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유화제로 널리 사용되는 polyoxyethylene(20) strearylether와 3-butenoic acid를 이용하여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화합물은 FT-IR과 1H-NMR 분석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 )를 사용하였다. 분석 샘플 제작은 50 mL 증류수에 0.1 g의 접착제를 희석한 후 평균값으로 입자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의 정확도를 위해 각각 5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점도와 pH를 점도계(Spindle RV No. 3. 10r/min, Brookfield)와 pH meter (Sartorius,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의 경우 초기 점도와 제조 후 4 weeks 뒤의 점도 측정을 통해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pH는 피부용 점착제로서의 사용을 위한 인체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시험방법은 180° 박리시험법으로 진행하였고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 교반 후 40 ℃ 이하로 냉각한 뒤 pH를 조절하기 위해 NH4OH를 첨가하고 방부제 및 소포제를 투여하여 최종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얻었다. 위의 동일한 방식으로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반응성 유화제인 octadecyl-polyethyleneglycol(20) 3-butenoate로 제조한 점착제는 S20BA, 비이온성 유화제인 polyoxyethylene(20)stearyl ether로 제조한 점착제는 S20, polyoxyethyleneglycol octylphenylether로 제조한 점착제는 TX-100, alkyl (C8~C16) alcohol ethoxylate로 제조한 점착제는 NFE40로 명명하였다
  • 유화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만든 점착제의 초기점착력을 Table 5에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들과 본 연구에서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를 각각 사용하여 제조한 점착제의 초기점착력을 ball-tack 시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 10r/min, Brookfield)와 pH meter (Sartorius,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의 경우 초기 점도와 제조 후 4 weeks 뒤의 점도 측정을 통해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pH는 피부용 점착제로서의 사용을 위한 인체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와 기존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들을 각각 사용하여 수성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점착제의 기본 물성인 고형분, 점도, 평균입자크기, 초기점착력, 점착력을 측정하여 반응성 유화제 합성 원료인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 및 다른 비이온성 유화제보다 높은 물성을 갖는지에 대한 수성형 점착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의 합성결과로 수율은 85~90%이며,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얻어졌다. 최종 화합물에 대한 기기분석으로 FT-IR과 1H-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합성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 반응성 유화제 합성과 수성 점착제 제조에 사용한 시약은 별도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합성 및 제조를 위한 장치는 1,000 mL 용량의 4구 실린더형 플라스크, 적가깔때기, 환류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주입관 등으로 구성하였다.
  • 합성한 화합물은 FT-IR과 1H-NMR 분석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와 기존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들을 각각 사용하여 수성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점착제의 기본 물성인 고형분, 점도, 평균입자크기, 초기점착력, 점착력을 측정하여 반응성 유화제 합성 원료인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 및 다른 비이온성 유화제보다 높은 물성을 갖는지에 대한 수성형 점착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화제로 널리 사용되는 polyoxyethylene(20) strearylether와 3-butenoic acid를 이용하여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화합물은 FT-IR과 1H-NMR 분석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와 기존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들을 각각 사용하여 수성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대상 데이터

  • 한국산업규격 KS A 1107에 의거하여 너비 및 길이가 각각 25 mm,250 mm인 각 시료별로 5개의 시편을 크라프트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시료를 50 µm의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시킨 후 상온에서 24 h 건조하였다.

이론/모형

  • 기존의 수성 아크릴 점착제 제조 방법에 합성한 반응성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점착제의 고형분은 한국산업규격 KS M 3705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값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한 S20BA의 경우 이론 고형분인 57.
  • 초기점착력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산업규격 KS A 1107 시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시험편은 그라프트지를 사용하여 너비 25 mm, 길이 300 mm로 절단하여 점착제의 종류별로 5개의 시험편에 50 µm의 두께로 도포시킨 뒤 건조기에서 10 min간 건조시킨다.
  • 한국산업규격에 규정된 접착제의 일반 시험 방법인 KS M 3705 시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수성형 점착제 내의 수분을 제외한 고형분의 무게 측정은 시료 1 g을 알루미늄 접시에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 무게를 측정 후, 열풍 순환식 건조기에서 105 ℃, 180 min 동안 건조시킨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착제의 특징은?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는 물, 용매, 빛, 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지압과 같은 극히 작은 압력으로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착이 가능하고, 이것을 다시 떼어낼 때 피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쉽게 떨어지는 특징을 가지며 감압 접착제라고도 한다[1-3]. 점착제는 제조 방법에 따라 용제형, 수성형, 무용제형으로 나눠지며, 용제형은 고무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 점착제가 있으며 톨루엔, 벤젠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되고, 수성형 점착제는 아크릴계와 고무계 점착제가 대표적이고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이지만 내수성 및 접착력 등이 용제형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점착제는 제조방법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는 물, 용매, 빛, 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지압과 같은 극히 작은 압력으로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착이 가능하고, 이것을 다시 떼어낼 때 피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쉽게 떨어지는 특징을 가지며 감압 접착제라고도 한다[1-3]. 점착제는 제조 방법에 따라 용제형, 수성형, 무용제형으로 나눠지며, 용제형은 고무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 점착제가 있으며 톨루엔, 벤젠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되고, 수성형 점착제는 아크릴계와 고무계 점착제가 대표적이고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이지만 내수성 및 접착력 등이 용제형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무용제형은 Hotmelt형 점착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4,5].
용제형 점착제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는 물, 용매, 빛, 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지압과 같은 극히 작은 압력으로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착이 가능하고, 이것을 다시 떼어낼 때 피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쉽게 떨어지는 특징을 가지며 감압 접착제라고도 한다[1-3]. 점착제는 제조 방법에 따라 용제형, 수성형, 무용제형으로 나눠지며, 용제형은 고무계, 아크릴계 및 실리콘계 점착제가 있으며 톨루엔, 벤젠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되고, 수성형 점착제는 아크릴계와 고무계 점착제가 대표적이고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이지만 내수성 및 접착력 등이 용제형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무용제형은 Hotmelt형 점착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 C. Dale, M. D. Paster, and J. K. Haynes,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industry standard testing, J. Adhes., 31, 1-20 (1989). 

  2. S. M. Sun, M. L. Li, and A. Liu, A reiv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Int. J. Adhes. Adhes., 41, 98-106 (2013). 

  3. S. D. Tobing and A. Klein, Molecular parameters and their relation to the adhesive performance of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 Appl. Polym. Sci., 79, 2230-2244 (2001). 

  4. S. D. Tobing and A. Klein, Mechanistic studies in tackified acrylic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 Appl. Polym. Sci., 76, 1965-1976 (2000). 

  5. H. J. Lee, J. S. Park, S. R. Lee, J. M. Kim, and S. M. Chang, Study of emulsion polymerization condition of aqueous adhesive, Korean Chem. Eng. Res., 47, 470-475 (2009). 

  6. S. D. Tobing and A. Klein, Effect of network morphology on adhesive performance in emulsion blend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 Appl. Polym. Sci., 81, 2109-2117 (2001). 

  7. P. K. Rana and P. K. Sahoo, Synthesis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erformance of poly(EHA-co-AA)/silicate nanocomposite used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J. Appl. Polym. Sci., 106, 3915-3921 (2007). 

  8. J. Kajtna and M. Krajnc, Solventless UV crosslinkabl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Int. J. Adhes. Adhes., 31, 822-831 (2011). 

  9. X. Wang, E. D. Sudol, and M. S. El-Aasser, Mechanism of emul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using a reactive surfactant, J. Polym. Sci., 39, 3093-3105 (2001). 

  10. H. Lakrout, P. Sergot, and C. Creton, Direct observation of cavitation and fibrillation in a probe tack experiment on model acrylic pressure-sensitive-adhesives, J. Adhes., 69, 307-359 (2006). 

  11. Z. Czech and M. Wesolowska, Development of solvent-fre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Eur. Polym. J., 43, 3604-3612 (2007). 

  12. H. J. Kim and H. Mizumachi, Miscibility and peel strength of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crylic copolymer-tackifier resin systems, J. Appl. Polym. Sci., 56, 201-209 (1995). 

  13. J. Mallegol, J. P. Gorce, O. Dupont, C. Jeynes, P. J. McDonald, and J. L. Keddie, Origins and effects of a surfactant excess near the surface of waterborn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Langmuir, 18, 4478-4487 (2002). 

  14. H. S. Joo, Y. J. Park, H. S. Do, H. J. Kim, S. Y. Song, and K. Y. Choi, The curing performance of UV-curable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structur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 Adhes. Sci. Technol., 21, 575-588 (2012). 

  15. A. Falsafi and M. Tirrell, Compositional effects on the adhesion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Langmuir, 16, 1816-1824 (2000). 

  16. I. S. Seo and M. C. Lee, Effects of intra-particle composition on the adhesive properties and water dispersity of water dispersible acrylic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 Korean Ind. Eng. Chem., 18(5), 444-448 (2007). 

  17. A. Lopez, E. D. Contraires, E. Canetta, C. Creton, J. L. Keddie, and J. M. Asua,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nanoparticles by miniemulsion polymerization: applications i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Langmuir, 27, 3878-3888 (2011). 

  18. L. Li, M. Tirrell, G. A. Korba, and A. V. Pocius, Surface energy and adhesion studies o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 Adhes., 76, 307-334 (2001). 

  19. S. H. Song, Y. S. Kim, and U. R. Cho, A study on synthesis of starch-acry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by 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Elastomers Compos., 44, 429-43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