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Whole genome amplification을 이용한 식중독 세균 신속 검출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 Rapid Foodborne-pathogen-detection Method Involving Whole-genome Ampl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2, 2016년, pp.128 - 132  

성지영 (국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고영준 (솔젠트(주) 연구기획팀) ,  명현군 (솔젠트(주) 연구기획팀) ,  오세욱 (국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G를 이용하여 WGA 수행 시 DNA 증폭 효율을 높이고 이를 식중독 세균의 DNA 증폭 및 검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등온 증폭 반응인 WGA에 여러 종류의 PEG를 첨가하여 증폭한 결과, 1.5% 농도의 PEG 4,000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증폭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3종의 식중독 세균 DNA를 이용하여 WGA를 수행하였으며 real-time PCR로 정량분석하였다.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의 경우에 WGA를 하지 않은 DNA에 비하여 각각 7,777.01배, 9,981.22배, 1,239.03배 정도로 DNA의 양이 증폭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EG를 첨가함으로써 18배에서 40배의 핵산 증폭 효과가 더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식품에 미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식중독 세균은 PEG가 첨가된 WGA 반응을 통하여 검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olyethylene glycol (PEG) was used to improve DNA amplification efficiency during whole genome amplification (WGA). Amplification efficiency was determined by adding PEG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to the WGA reaction. The greatest increase in amplification efficiency was obta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EG를 이용하여 WGA 수행 시 DNA 증폭 효율을 높이고 이를 식중독 세균의 DNA 증폭 및 검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등온 증폭 반응인 WGA에 여러 종류의 PEG를 첨가하여 증폭한 결과, 1.
  • 1). 그러나 WGA 반응 산물은 핵산이 다중으로 증폭되어 큰 분자 크기의 형태로 나타나므로, 증폭 정도를 육안으로 판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WGA 반응 후 multiplex PCR 반응을 통해 증폭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WGA를 반응시킨 후에 multiplex PCR을 수행한 결과, WGA를 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DNA band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실험에 사용된 DNA 양이 감소할수록 DNA band가 희미하게 나타났다.
  • WGA로 DNA를 증폭하여 검출에 활용한 연구로는 오렌지주스에 존재하는 효모를 검출한 연구(15)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식중독 세균 DNA를 증폭하여 검출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세균의 신속 검출 기술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WGA를 이용한 식중독 세균 DNA의 증폭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후 증폭된 DNA를 real-time PCR로 검출하여 분자농축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물질들은 PCR 반응에서 주형(template) DNA의 이중가닥(double strand)이 50% 정도 단일가닥(single strand)으로 바뀌는 온도인 Tm값을 변화시킴으로써 PCR 반응의 특이성(specificity)을 증가시키며 반응용액 내의 핵산이나 단백질 같은 물질들의 반응 가능성을 높여준다고 알려져 있다(16,17). 이에 본 연구팀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PEG를 등온 증폭 반응인 WGA에 첨가하여 DNA 증폭 효율 증진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중독 세균이 국내외 가공식품과 즉석식품에서 다양하게 검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중독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식중독 세균은 최근 식생활 패턴 변화, 지구 온난화 현상, 수명 연장에 의한 노인 인구와 같은 취약 인구 증가, 실내온도 상승 등 환경변화로 인하여 국내외 가공식품과 즉석식품에서 다양하게 검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중독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1). 2014년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식중독 발생건은 349건, 식중독 환자 수는 7,466명으로 보고되고 있다(2).
2014년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식중독 발생 건은 몇 건이고 식중독 환자 수는 몇 명인가? 식중독 세균은 최근 식생활 패턴 변화, 지구 온난화 현상, 수명 연장에 의한 노인 인구와 같은 취약 인구 증가, 실내온도 상승 등 환경변화로 인하여 국내외 가공식품과 즉석식품에서 다양하게 검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중독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1). 2014년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식중독 발생건은 349건, 식중독 환자 수는 7,466명으로 보고되고 있다(2). 미국의 경우, 미국 질병 관리센터 자료에 의하면 Salmonella spp.
식중독 세균 중 Salmonella spp.를 검출하는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식중독 세균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오랜 시간이 요구된다. Salmonella spp.의 경우 증균배양, 분리배양을 거쳐 확인시험과 혈청시험 등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주일 정도가 소요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식중독 세균을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기술로 식중독 세균의 DNA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PCR 방법이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Newell DG, Koopmans M, Verhoef L, Duizer E, Aidara-Kane A, Sprong H, Opsteegh M, Langelaar M, Threfall J, Scheutz F, van der Giessen J, Kruse H. Food-borne diseases-the challenges of 20 years ago still persist while new ones continue to emerge. Int. J. Food Microbiol. 139: S3-S15 (2010)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Safety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 MENU_GRP02. Accessed Jan. 12, 2016. 

  3. Crim SM, Iwamoto M, Huang JY, Griffin PM, Gilliss D, Cronquist AB, Cartter M, Tobin-D'Angelo M, Blythe D, Smith K, Lathrop S, Zansky S, Cieslak PR, Dunn J, Holt KG, Lance S, Tauxe R, Henao OL. Incidence and trends of infection with pathogens transmitted commonly through food-foodborne diseases active surveillance Network, 10 U.S. sites, 2006-2013. MMWR Morb. Mortal. Wkly Rep. 63: 328-32 (2014) 

  4. Bohaychuk VM, Gensler GE, McFall ME, King RK, Renter DG. A real-time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Salmonella in a wide variety of food and food-animal matrices. J. Food Prot. 70: 1080-1087 (2007) 

  5. Handyside AH, Robinson MD, Simpson RJ, Omar MB, Shaw MA, Grudzinskas JG, Rutherford A. Isothermal whole genome amplification from single and small numbers of cells: A new era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of inherited disease. Mol. Hum. Reprod. 10: 767-772 (2004) 

  6. Eckert KA, Kunkel TA. DNA polymerase fidelity and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Genome Res. 1: 17-24 (1991) 

  7. Uda A, Tanabayashi K, Fujita O, Hotta A, Yamamoto Y, Yamada A. Comparison of whole genome amplification methods for detecting pathogenic bacterial genomic DNA using microarray. Jpn. J. Infect. Dis. 60: 355-361 (2007) 

  8. Dean FB, Hosono S, Fang L, Wu X, Faruqi AF, Bray-Ward P, Sun Z, Zong Q, Du Y, Du J. Comprehensive human genome amplification using multiple displacement amplification. Proc. Natl. Acad. Sci. USA. 99: 5261-5266 (2002) 

  9. Barker DL, Hansen MST, Faruqi AF, Giannola D, Irsula OR, Lasken RS, Latterich M, Makarov V, Oliphant A, Pinter JH, Shen R, Sleptsova I, Ziehler W, Lai E. Two methods of wholegenome amplification enable accurate genotyping across a 2320- SNP linkage panel. Genome Res. 14: 901-907 (2004) 

  10. Dietmaier W, Hartmann A, Wallinger S, Heinmoller E, Kerner T, Endl E, Jauch KW, Hofstadter F, Ruschoff J. Multiple mutation analyses in single tumor cells with improved whole genome amplification. Am. J. Pathol. 154: 83-95 (1999) 

  11. Lasken RS, Egholm M. Whole genome amplification: Abundant supplies of DNA from precious samples or clinical specimens. Trends Biotechnol. 21: 531-535 (2003) 

  12. Zhang L, Cui X, Schmitt K, Hubert R, Navidi W, Arnheim N. Whole genome amplification from a single cell: Implications for genetic analysis. Proc. Natl. Acad. Sci. USA. 89: 5847-5851 (1992) 

  13. Ellis RJ. Macromolecular crowding: Obvious but underappreciated. Trends Biochem. Sci. 26: 597-604 (2001) 

  14. Maheux AF, Bissonnette L, Boissinot M, Bernier JLT, Huppe V, Picard FJ, Berube E, Bergeron MG. Rapid concentration and molecular enrichment approach for sensitive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and shigella species in potable water samples. Appl. Environ. Microbiol. 77: 6199-6207 (2011) 

  15. Renard A, di Marco PG, Egea-Cortines M, Weiss J. Application of whole genome amplification and quantitative PCR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spoilage yeasts in orange juice. Int. J. Food Microbiol. 126: 195-201 (2008) 

  16. Bachmann B, Luke W, Hunsmann G. Improvement of PCR amplified DNA sequencing with the aid of detergents. Nucleic Acids Res. 18: 1309 (1990) 

  17. Pomp D, Medrano JF. Organic solvents as facilitator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Biotechniques 10: 58-59 (1991) 

  18. Musso M, Bocciardi R, Parodi S, Ravazzolo R, Ceccherini I. Betaine, dimethyl sulfoxide, and 7-deaza-dGTP, a powerful mixture for amplification of GC-rich DNA sequences. J. Mol. Diagn. 8: 544-550 (2006) 

  19. Mamedov TG, Pienaar E, Whitney SE, TerMaat JR, Carvill G, Goliath R, Subramanian A, Viljoen HJ. A fundamental study of the PCR amplification of GC-rich DNA templates. Comput. Biol. Chem. 32: 452-45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