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도심 소규모 단독주택 내 공적공간(LDK)의 평면과 입체의 조합유형
The Composition Types of Layout and Three-dimensional of the Public Space(LDK) in Small Houses in Japan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2 = no.115, 2016년, pp.92 - 100  

신미옥 (숭실대학교 대학원, 동서울대학교 건축과) ,  윤춘섭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  김남효 (숭실대학교 대학원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new detached houses on a small plot in low-rise residential urban area have attracted more public interests than ever befor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basic types of interior plans in small urban detached houses by analyzing the layouts of the public space(LDK) within them which ar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미 보편화되고 다양화된 일본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국내 소규모 단독주택 계획에서 효용성있게 활용될 수 있는 유형분석자료를 목표로 하고자 한다. 이에 도심 소규모 단독주택 내부 공간 중에서 공적공간을 이루는 LDK의 평면과 입체의 조합유형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일본의 소규모단독주택의 다양한 LDK 평면조합유형과 입체 구성방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LDK의 평면유형과 입체유형이 한국적 평면에서 그대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한 부분이 있으나 한국인의 생활방식을 고려하여 수정 및 보완된다면 국내 주거공간의 다양화를 위한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유형에 대한 평면구성방식과 그에 따른 분류기호를 과 같이 고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평면 유형의 구분에서 진일보한 입체 유형구분을 모색하였다. 그 이유는 대상사례에서 LDK가 주변 공간과 3차원적인 관계를 맺는 경우 평면 유형의 구분만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 주거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주로 물리적 공간을 분석한 연구와 주거 내에서의 행태를 분석한 연구가 있는데, 본 연구 주제에 맞춰 물리적 공간을 분석한 연구 중 평면자료를 토대로 LDK의 조합관계 및 특징을 분석한 연구를 주로 고찰하였다. 특히 LDK의 배치특징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연구에 주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에서 협소주택의 위상은 어떠한가? 소규모 단독주택은 규모가 작을수록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성해야 되는데 그 중 초소형주택으로서 “狹小住宅(협소주택)”1)이 1977년 이후부터 작은 공간을 극복할 수 있는 여러 아이디어를 공간에 반영함으로 이슈화 되었고, 2000년 일본의 ‘Memo 남자의 방’ 잡지에 “협소주택 시리즈”가호평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졌다. 일본에서 협소주택은 도심이라는 지역적 편리성과 작은 필지의 경제성, 단독주택을 꿈꾸는 사람들의 소망에 의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며 도심 속의 주거양식으로 자리잡았다. 한국에서는 2012년에 TV매체2)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의 협소주택 사례가 소개되어 주목받기 시작하였으며, 같은 해 전문잡지3)를 통해서도 처음으로 구도심 주거밀집지에 신축한 작은 규모의 단독주택이 소개되었다.
협소주택이 일본에서 대중들에게 알려진 계기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일본 도심 소규모 단독주택은 건축가에 의하여 건축된 주택으로서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대지의 특성이 공간에 반영된 것들이다. 소규모 단독주택은 규모가 작을수록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성해야 되는데 그 중 초소형주택으로서 “狹小住宅(협소주택)”1)이 1977년 이후부터 작은 공간을 극복할 수 있는 여러 아이디어를 공간에 반영함으로 이슈화 되었고, 2000년 일본의 ‘Memo 남자의 방’ 잡지에 “협소주택 시리즈”가호평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졌다. 일본에서 협소주택은 도심이라는 지역적 편리성과 작은 필지의 경제성, 단독주택을 꿈꾸는 사람들의 소망에 의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며 도심 속의 주거양식으로 자리잡았다.
한국에서는 초소형주택이 어떻게 알려지게 되었는가? 일본에서 협소주택은 도심이라는 지역적 편리성과 작은 필지의 경제성, 단독주택을 꿈꾸는 사람들의 소망에 의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며 도심 속의 주거양식으로 자리잡았다. 한국에서는 2012년에 TV매체2)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의 협소주택 사례가 소개되어 주목받기 시작하였으며, 같은 해 전문잡지3)를 통해서도 처음으로 구도심 주거밀집지에 신축한 작은 규모의 단독주택이 소개되었다. 이후 TV와 잡지, 인터넷 블로그 등 매체를 통하여 꾸준히 소개되면서 2015년에는 ‘올해 주택시장의 핫이슈’로 뽑히기까지 하였다.4) 서울시에서도 ‘저층 주거지 관리방안’5)을 통하여 구도심 재생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꼴북스 편집부, 도심 속 일본의 작은 집, 이꼴북스, 2014 

  2. 주부의 친구 편집부, 작아도 기분 좋은 일본의 땅콩집, 마티, 2011 

  3. 주부의 친구, 작은 땅 내 집 짓기, 로그인, 2012 

  4. 혼마 이타루, 최고의 평면, 마티, 2013 

  5. Linda David, 일본 소형 단독주택 디자인의 발견, 엠지에이치북스, 2013 

  6. Linda David Shi, 일본 도시의 작은주택 그리고 전원주택, 엠지에이치북스, 2014 

  7. 김유나, 1990년대 중반 이후 현상설계 아파트 평면계획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 석사논문, 2010 

  8. 김지민, 중.소형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유형의 특성 및 변화경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11 

  9. 양천규, 국내 단독주택의 평면구성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인하대 박사논문, 2005 

  10. 이선미, 이상적인 아파트 실내공간에 대한 심적지도의 내용분석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995 

  11. 이성민, 고층 집합주거의 평면에 있어서 LDK의 연결과 분할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1999 

  12. 이은민, 브랜드 아파트의 단위평면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4 

  13. 이종각, 1990년 이후 아파트 단위평면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6 

  14. 임효진, 주택 내부 공적공간(LDK)의 구성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02 

  15. 송창섭, 아파트 단위주호평면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경북산업대 석사논문, 1996 

  16. 심종욱,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계획의 변화요소에 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3 

  17. 추선경, 브랜드 아파트의 단위평면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과기대 석사논문, 2011 

  18. 홍종우, 아파트 단위세대 평면의 변화특성, 연세대 석사논문, 2003 

  19. 김미경, 최근 분양된 수도권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2007 

  20. 박남희.이준민, 브랜드 아파트의 평형별 평면계획 내용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Vol.22 No.3, 2006 

  21. 박찬.김정균, 일본 도시 LDK형 주택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4 No.1, 2013 

  22. 손세관.전경화, 평면의 형상으로 바라본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공간구성적 특성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3호, 1998 

  23. 최은희, 공동주택 평형별 단위평면 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No. 38 

  24. 전원주택라이프, 2012년 10월호 

  25. SBS스페셜 '내 생애 처음 지은 집', 304회, 20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