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hypoglycemic and kidney protective effect of black ginse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Methods and Results: Diabetes was induced by treating mice with streptozotocin (STZ) for four weeks. In vivo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y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Z로 유도한 당뇨 모델에서 흑삼의 프로사포게닌 추출물 (GBG05-FF)을 이용하여 당뇨로 인해 손상된 신장의 보호 작용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로 인한 신장 질환이 생기면 사구체 미세혈관 손상 및 사구체와 세뇨관의 비대, 당단백질의 분포 이상으로 인한 투과성 증대 등이 일어나다 결국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특히, 당뇨로 인한 신장 질환은 체내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사구체 미세혈관 손상 및 사구체와 세뇨관의 비대, 당단백질의 분포이상으로 인한 투과성 증대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단백뇨가 증가하고 사구체 여과율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이 감소되며, 이는 체내 삼투압 불균형을 초래하며 치사율과 관계가 깊은 심혈관계 조직 및 장기에도 손상을 주게 된다 (Tuomilehto et al., 1998; Wolf and Ziyadeh, 1999; Forbes and Cooper, 2013; Vlassara and Uribarri, 2014).
한방에서의 당뇨는 무엇이라 부르며 그 증상은? 당뇨는 한방에서 소갈 (消渴)이라 하며,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상초 (上焦) 즉 폐 (肺)와 연관된 상소 (上消)는 구갈희음 (口渴喜飮), 위 (胃)와 연관된 중소 (中消)는 다식이기 (多食易肌)의 증상이 나타나고, 신 (腎)과 연관된 하소 (下消)는 소변빈이양다 (小便頻而量多)의 증상을 나타낸다 (Gong et al., 2007; Song et al.
당뇨를 원인에 따라 나누었을 때 어떤 종류가 있는가? 최근 식생활의 변화 및 노령화로 인해 당뇨를 비롯한 대사성 질환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는 원인에 따라 인슐린 의존성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 (beta cell)의 분비장애로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체내 당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발생하는 제 1형 당뇨와 체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성에 의하여 인슐린의 당대사작용 효율이 줄어드는 인슐린 비의존성인 제 2형 당뇨로 분류된다. 특히, 당뇨로 인한 신장 질환은 체내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사구체 미세혈관 손상 및 사구체와 세뇨관의 비대, 당단백질의 분포이상으로 인한 투과성 증대 등이 나타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len PJ. (2012). Creatine metabolism and psychiatric disorders: Does creatine supplementation have therapeutic value?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36:1442-1462. 

  2. Al-Malki AL and El Rabey HA. (2015). The antidiabetic effect of low doses of Moringa oleifera Lam. seeds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and diabetic nephropathy in male rat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5:381040. http://www.hindawi.com/journals/bmri/2015/381040/(cited by 2015 Jan 5). 

  3. Asgari E, Le Friec G, Yamamoto H, Perucha E, Sacks SS, Khl J, Cook HT and Kemper C. (2013). C3a modulates IL-1 ${\beta}$ secretion in human monocytes by regulating ATP efflux and subsequent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Blood. 122:3473-3481. 

  4. Baek NI, Kim DS, Lee YH, Park JD, Lee CB and Kim SI. (1996). Ginsenoside Rh4, a genuine dammarane glycoside from Korean red ginseng. Planta Medica. 62:86-87. 

  5. Beppu H, Maruta K, Krner T and Kolb H. (1987). Diabetogenic action of streptozotocin: Essential role of membrane permeability. Acta Endocrinologica. 114:90-95. 

  6. Dobrzynski E, Montanari D, Agata J, Zhu J, Chao J and Chao L. (2002). Adrenomedullin improves cardiac function and prevents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83:E1291-E1298. 

  7. Forbes JM and Cooper ME. (2013). Mechanisms of diabetic complications. Physiological Reviews. 93:137-188. 

  8. Gong SE, Yoon IJ, Heo DS and Oh MS. (2007). Study of Oriental medical science documentory records of "So-gal". Journal of Daejeon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6:107-114. 

  9. Grover JK, Vats V, Rathi SS and Dawar R. (2001). Traditional Indian anti-diabetic plants attenuate progression of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6:233-238. 

  10. Hewitt SM, Dear J and Star RA. (2004). Discovery of protein biomarkers for renal diseas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15:1677-1689. 

  11. Kim AJ, Yoo HS and Kang SJ. (2012). Ameliorative effect of black ginseng on diabetic complications in C57BLKS/J-db/db mic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5:99-104. 

  12. Kim KT, Yoo KM, Lee JW, Eom SH, Hwang IK and Lee CY. (2007a). Protective effect of steamed American ginseng(Panax quinquefolius L.) on V79-4 cell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1:443-450. 

  13. Kim SJ and Kim AK. (2015). Anti-breast cancer activity of fine black ginseng(Panax ginseng Meyer) and ginsenoside Rg5.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9:125-134. 

  14. Kim SN and Kang SJ. (2009). Effects of black ginseng(9 timessteaming ginseng) on hypoglycemic action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insenosides on the steaming proces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1:77-81. 

  15. Kim SN, Ha YW, Shin H, Son SH, Wu SJ and Kim YS. (2007b).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14 ginsenosides in Panax ginseng C. A. Meyer(Korean red ginseng) by HPLCELSD and its application to quality control.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45:164-170. 

  16. Lee MR, Yun BS, In OH and Sung CK. (2011). Comparative study of Korean white, red, and black ginseng extract on 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and cholinergic function.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5:421-428. 

  17. Oh TW, Kang SY and Park YH. (2013). Histological analysis of five orga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8:39-45. 

  18. Park HJ, Shim HS, Kim KS and Shim I. (2011). The protective effect of black ginseng against transient focal ischemia-induced neuronal damage in rats.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15:333-338. 

  19. Renno WM, Abdeen S, Alkhalaf M and Asfar S. (2008). Effect of green tea on kidney tubules of diabetic rat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00:652-659. 

  20. Song JC, Kim SU, Chae SA and Eom DM. (2012). A review on thirst disease prescription in “Sikryochan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5:39-49. 

  21.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Pharmacology of Herb. (2006). Pharmacology. Dongmyeong Publishers. Paju, Korea. p.773-775. 

  22. Triantafilou K, Hughes TR, Triantafilou M and Morgan BP. (2013). The complement membrane attack complex triggers intracellular Ca2+ fluxes leading to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Journal of Cell Science. 126:2903-2913. 

  23. Tuomilehto J, Borch-Johnsen K, Molarius A, Forsn T, Rastenyte D, Sarti C and Reunanen A. (1998).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ype 1(insulin-dependent) diabetic subjects with and without diabetic nephropathy in Finland. Diabetologia. 41:784-790. 

  24. Vlassara H and Uribarri J. (2014).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AGE) and diabetes: Cause, effect, or both? Current Diabetes Reports. 14:453.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03318(cited by 2015 Dec 21). 

  25. Wolf G and Ziyadeh FN. (1999). Molecular mechanisms of diabetic renal hypertrophy. Kidney International. 56:393-405. 

  26. Yun TK. (1996). Experimental and epidemiological evidence of the cancer-preventive effec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Nutrition reviews. 54:S71-81. 

  27. Yun TK. (2003). Experimental and epidemiological evidence on non-organ specific cancer preventive effect of Korean ginseng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Mutation Research. 523-524:6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