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단맛 인지도에 따른 식행동 및 간식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 평가
Dietary Behaviors and Total Sugar Intake from Snack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weet Taste Percep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2, 2016년, pp.267 - 274  

김미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  연지영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reasing sugar intake of population has become a nutritional issue in Korea. Sweet taste perception may be related to behaviors such as eating sweet food including high sugars and total sugar intak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bjective and subjective sweet taste perception and the associ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를 산출하였다. 2000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권고 기준(WHO 2000)에 따라 저체중은 BMI 18.5 미만, 정상은 18.5 이상 23 미만, 과체중 23 이상 25 미만, 비만은 25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 또한 미각은 주관적인 판단 기준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맛에 대한 선호나 섭취 경향은 실제 특정 맛을 내는 성분의 섭취와 다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Park 등 2013)를 통하여 개발된 미각판정도구를 이용하여 여대생들의 단맛 섭취 정도를 객관화하여 판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단맛을 내는 당류가 함유되어 있는 대표 간식류의 섭취 빈도와 섭취량을 조사하여 성인기 초기 여대생의 단맛 섭취 경향에 따른 식태도, 식행동, 간식 섭취 빈도, 총 당류 섭취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조사대상자는 충북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진행과정을 충분히 설명한 후, 조사에 참여할 것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하여 시행되었다. 조사는 2015년 4월에서 10월에 걸쳐 학기 중에 실시하였으며, 총 261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데이터처리

  • 3)을 이용하여 범주형 변수의 경우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한 후 유의성 검증은 χ2-test를 실시하였다. 점수화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각 군의 평균치 비교는 ANOVA test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다. 식태도, 식행동, 단 간식섭취 문항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하여 각 영역에 대한 신뢰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

이론/모형

  • 단맛 인지도 판정은 Park 등(2013)에 의해 개발된 단맛 미각판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단맛 시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된 것을 이용하였다. 단맛 시료는 5단계(0%,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도한 당류의 섭취의 건강 문제는? 단맛을 내는 대표적인 성분인 당류는 신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식품의 품질 향상, 저장기간의 연장 등을 목적으로 식품의 조리, 가공과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당류의 섭취는 비만,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충치, 기억력 손상, 여성의 경우 유방암의 위험성 증가 등의 건강문제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Mann 등 2007; Lustig 등 2012; Te Morenga 등 2012; Te Morenga 등 2014; Carwile 등 2015), 우리나라의 당류 섭취량을 평가한 일부 연구결과들에서 그 섭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등 2014). 
당류의 특징은? 단맛은 기본 맛 중에서도 인간의 본능적인 선호가 가장 높은 맛 중의 하나이며, 단맛에 대한 선호는 매우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Desor & Beauchamp 1987; Mennella 등 2011). 단맛을 내는 대표적인 성분인 당류는 신체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식품의 품질 향상, 저장기간의 연장 등을 목적으로 식품의 조리, 가공과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당류의 섭취는 비만,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충치, 기억력 손상, 여성의 경우 유방암의 위험성 증가 등의 건강문제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Mann 등 2007; Lustig 등 2012; Te Morenga 등 2012; Te Morenga 등 2014; Carwile 등 2015), 우리나라의 당류 섭취량을 평가한 일부 연구결과들에서 그 섭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등 2014).
당류섭취가 가장 높은 19~29세의 연령대는 주로 무엇을 통해 당을 섭취하는가? 우리나라에서 보고되고 있는 총 당류의 섭취량은 서구인의 섭취량이 100 g을 넘어서는 미국(Welsh 등 2011)이나 캐나다(Langlois & Garriguet 2011)의 결과와 비교하면 높지 않은 양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식생활 양식의 빠른 변화로 외식이 증가하고, 가공식품의 소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우리 국민의 당류 과다 섭취와 관련된 건강 문제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총 당류섭취기준은 총 에너지섭취량의 10~20%로 제한하고, 식품의 조리 및 가공 시 첨가되는 첨가당의 섭취를 총 에너지섭취량의 10%가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eslin PA, Spector AC. 2008. Mammalian taste perception. Curr Biol 18:R148-155 

  2. Carwile JL, Willett WC, Spiegelman D, Hertzmark E, Rich-Edwards J, Frazier AL, Michels KB. 2015.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age at menarche in a prospective study of US girls. Hum Reprod 30:675-683 

  3. Chun OK, Chung CE, Wang Y, Padgitt A, Song WO. 2010. Changes in intakes of total and added sugar and their contribution to energy intake in the U.S. Nutrients 2:834-854 

  4. Chung CE. 2007.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40:9-21 

  5. Desor JA, Beauchamp GK. 1987. Longitudinal changes in sweet preferences in humans. Physiol Behav 39:639-641 

  6. Kit BK, Fakhouri TH, Park S, Nielsen SJ, Ogden CL. 2013. Trends in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mong youth and adults in the United States: 1999-2010. Am J Clin Nutr 98:180-188 

  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Press release: Campaign to reduce sugar intake: Cheongju: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ay 24 

  8. Kumar GS, Pan L, Park S, Lee-Kwan SH, Onufrak S, Blanck HM. 2014.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mong adults-18 states, 2012. MMWR Morb Mortal Wkly Rep 63:686-690 

  9. Langlois K, Garriguet D. 2011. Sugar consumption among Canadians of all ages. Health Rep 22:23-27 

  10.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2014.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47:268-276 

  11. Lee YM, Bae YJ, Kim EY, Yeon JY, Kim MH, Kim MH, Cho HK. 2012. Relationship between total sugar intake and obesity indices in female collegians. Korean J Nutr 45:57-63 

  12. Loper HB, La Sala M, Dotson C, Steinle N. 2015. Taste perception, associated hormonal modulation, and nutrient intake. Nutr Rev 73:83-91 

  13. Lustig RH, Schmidt LA, Brindis CD. 2012. Public health: The toxic truth about sugar. Nature 482:27-29 

  14. Mann J, Cummings JH, Englyst HN, Key T, Liu S, Riccardi G, Summerbell C, Uauy R, van Dam RM, Venn B, Vorster HH, Wiseman M. 2007. FAO/WHO Scientific update on carbohydrate in human nutrition: conclusions. Eur J Clin Nutr 61:S132-S137 

  15. Mennella JA, Lukasewycz LD, Griffith JW, Beauchamp GK. 2011. Evaluation of the Monell forced-choice, pairedcomparison tracking procedure for determining sweet taste preferences across the lifespan. Chem Senses 36:345-355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Food and nutrition data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 [cited 2015 October 10]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pp. vii 

  18. Park HY, Lee YK, Im EG, Kim KW, Lee YM. 2013. The report of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model for reducing sugar intake. pp.163, 16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9. Park S, Pan L, Sherry B, Blanck HM. 2014.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mong US adults in 6 states: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2011. Prev Chronic Dis 11:E65 

  20. Park S, Xu F, Town M, Blanck HM. 2016. Prevalence of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mong adults - 23 states and the district of Columbia, 2013. MMWR Morb Mortal Wkly Rep 65:169-174 

  21. Te Morenga L, Howatson AJ, Jones RM, Mann J. 2014. Dietary sugars and cardiometabolic risk: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he effects of blood pressure and lipids. Am J Clin Nutr 100:65-79 

  22. Te Morenga L, Mallard S, Mann J. 2012. Dietary sugars and body weigh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cohort studies. BMJ 346:e7492 

  23. Welsh JA, Sharma AJ, Grellinger L, Vos MB. 2011. Consumption of added sugars is decreasing in the United States. Am J Clin Nutr 94:726-734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5. Guideline: Sugar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Available from: http://www.who.int [cited 2015 October 1] 

  26. Yeon JY, Shin KY, Lee SK, Lee HY, Kang BW, Park HK. 2013. A study on dietary habits, body satisfac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by body image of middle school girl students in Chung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8:442-4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