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sampling performance of different flow-based impactor samplers for collecting fungal spores and bacteria and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the level of bioaerosols with activity patterns of occupants in daycare center settings. Methods: For comparison of samp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유해인자 노출 평가 시 적절한 샘플러 선정을 위한 저유량 및 고유량 기반 샘플러의 성능(Performance)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어린이의 주된 생활공간인 어린이집에서 이들의 생활 패턴에 따른 농도 변화를 파악하여, 향후 이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노출 평가 등에 활용 가능한 생물학적 유해인자의 포집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학적 유해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7). 미생물 오염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생물학적 유해인자로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포자, 바이러스, 집먼지진드기 등이 있다. 이들은 실내에서 번식 환경이 충족될 경우, 빠른 속도로 증식하여 인체로의 노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런 위험인자들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천식, 폐렴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 등 다양한 질환들을 유발 시킬 수 있다(IOM, 2004; WHO, 2009).
생물학적 유해인자들이 유발할 수 있는 질병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미생물 오염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생물학적 유해인자로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포자, 바이러스, 집먼지진드기 등이 있다. 이들은 실내에서 번식 환경이 충족될 경우, 빠른 속도로 증식하여 인체로의 노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런 위험인자들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천식, 폐렴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 아토피피부염 등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 등 다양한 질환들을 유발 시킬 수 있다(IOM, 2004; WHO, 2009).
어린이가 대부분 생활하는 공간은? 어린이의 경우 대부분 실내에서 시간을 보내며 통상 자신의 집과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과 같은 보육시설(Child daycare center)이 주된 생활 공간이다. 따라서 어린이집 및 보육시설 등에서의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노출 수준 평가는 어린이 건강 보호 차원에서 매우 필요한 조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udia N, Halley R, Kennedy G, Lambert J, Gareau L, et al. Manganese concentrations in the air of the Montreal(Canada) subway in relation to surface automobile traffic dens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6;366(1):143-147 

  2. Cho JH, Paik NW. Assessment of airborne fungi concentrations in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9;35(6): 487-494 

  3. Didier N, Jacques L, Adel B, Muriel B, Jacques C,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impactor air samplers for quantification of fungal contamination.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1;47:149-155 

  4. Griffiths WD, DeCosemo GAL. The assessment of bioaerosols: A critical review.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1994;25(8):1425-1458 

  5. Hinds WC. Aerosol technology: properties, behavior, and measurement of airborne particles, 2nd ed.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1998. p. 394-396 

  6. Institute of Medicine(IOM). Damp Indoor Spaces and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p. 189-201 

  7.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ISO 16000-18:Indoor air-Detection and enumeration of moulds-Sampling by impaction.; 2011. p. 1-20 

  8. James P, Lodge JR. Methods of Air Sampling and Analysis. Lewis Publishers, New York.; 1989. p. 28-29 

  9. Kideso J, Wrtz H, Nielsen KF, Kruse P, Wilkins K, et al. Determination of fungal spore release from wet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Indoor Air 2003;13:148-155 

  10.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KAAACI),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s (KAPARD), National Strategic Coordinating Center of Clinical Research (NSCR), Korean Guideline for Asthma.; 2015. p. 11-14 

  11. Marta SM, Maria MV, Guillermo C, Raquel P, Ricardo A, et al. Comparison of three high-flow single-stage impaction-based air samplers for bacteria quantification: DUO SAS SUPER 360, SAMPL'AIR and SPIN AIR. Journal of Anal Methods 2012;4:399-405 

  12. Park JY, Kim SY.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oaerosol and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tectural Institute Conference 2007;27(1):829-832 

  13. Park JH. Exposure assessment of biological agents in indoor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9;35(4):239-248 

  14. Roh YM, Kim JC, Lee CM, Kim YS, Ha MN, et al. A Survey of Distribution for Indoor Air Pollutants in Classrooms of Some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07;4(4):204-213 

  15. Sahakian NM, qkrehd JH, Cox-Ganser JM. Dampness and mold in the indoor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asthma. Immunology and Aller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08;28:485-505 

  16. Salvi S. Health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in children. Pediatric Respiratory Reviews 2007; 8(4):275-280 

  17. Stolwijk JA. Risk assessment of acute health and comfort effects of indoor air pollu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92;641:56-62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for indoor air quality: Dampness and mould.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Denmark.; 2009. p. 65-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