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207 - 217  

김화영 (동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류세앙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고찰,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타당도 검증 및 사전조사를 통해 예비도구를 개발하고, 전국 종합병원급 이상의 병원을 대상으로 비례층화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된 28개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도구의 구성타당도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준거타당도환자안전문화 도구와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내적일관도는 Cronbach's ${\alpha}$로 검증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최종 10영역 72문항으로 구성된 4점 총화평정척도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설명변량은 70.3%이었으며, 요인적재량은 .74이상이었다. 본 도구는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유의한 상관관계(r=.51, p<.001)를 나타냈으며 Cronbach's ${\alpha}$는 .99였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실무현장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and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it. A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through various processes and pilot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900 nurses at 28 hospitals selected by proportionat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환자안전문화를 고취시키고 환자안전 간호 활동의 증진을 위하여 포괄적인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포괄적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외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대한 문헌고찰과 전문가 의견을 통해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예비도구를 개발하고 전국의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수립하여 포괄적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들이 본 도구를 활용하면 환자안전 간호활동과 관련된 문제와 개선방향을 보다 편리하게 파악하여 안전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위한 포괄적인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안전간호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써 환자안전과 관련된 간호실무 및 간호사의 간호활동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환자안전과 관련된 문헌고찰에서 표준 환자안전 간호활동 내용을 추출하고 종합병원 11개에서 환자안전을 전담하는 실무간호사 11명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로부터 의료기관인증평가의 경험과 현재의 안전간호활동 등에 관한 자문을 통해 환자안전 간호활동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 본 연구는 환자안전문화를 고취시키고 환자안전 간호 활동의 증진을 위하여 포괄적인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된 포괄적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또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으면 환자안전 간호활동의 수준도 높을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여 환자안전 간호활동의 정도를 간접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9, 12, 13, 18].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포괄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를 개발하여 환자안전 간호활동의 내용과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며 환자안전 간호활동의 지속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법의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른 보건의료인이 하는 보건의료 활동에 관한 준수사항 규정 내용은? 이러한 환자안전 인식의 증가는 국가에서도 국가환자안전위원회를 두고 환자안전 종합계획의 수립과 환자안전기준 등의 내용으로 환자안전법이 2015년 1월 제정되었고, 2017년 7월 시행되었다. 환자안전법의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르면 1. 진단 및 검사, 시술, 2. 수술 및 마취, 3. 의약품의 처방, 조제, 투약 및 관리, 4.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가 보건의료인이 하는 보건의료 활동에 관한 준수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다.
미국의 의료기관인증기관이 환자안전 전략에 대하여 제시한 내용은? 간호사 대상의 질 향상과 안전 교육(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QSEN)[2], 미국의 의료기관인증기관(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CAHO)의 환자안전목표[3], 의료기관인증 필수항목에 포함된 환자안전 기준[4, 5] 등이 그 예이다. 특히 미국의 의료기관인증기관 JCAHO는 국제적 환자안전 목표를 세우고 국제의료기관 인증평가위원회(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 인증기준으로 정확한 환자확인, 효과적인 의사소통개선, 고위험 투약의 안전개선, 3W (Wrong site, Wrong patient, Wrong procedure)의 배제, 의료관련 감염위험의 감소 및 낙상으로 인한 환자위험의 감소 등을 제시하였다[3].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환자안전에 대한 항목이 포함된 의료기관 평가(현 의료기관 인증평가) 제도를 3년 주기로 시행하였고 2007년에는 환자안전관련 평가기준이 더욱 강화되어 수술위치 표시, 투약 및 검체 채취 시 환자확인 등을 추가하였다[4].
IOM(Institute of Medicine) 보고서에서 제시한 질적 의료서비스 제공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은? 의료기관 역시 질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이 만족하는 경영을 통해 사회공공의 책임을 다함과 동시에 의료시장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자 노력한다. 질적 의료서비스 제공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환자안전과 관련된 사고라고 제시한 IOM(Institute of Medicine) 보고서를[1] 시작으로 의료계는 의료서비스의 오류에 대한 적극적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국내외의 의료기관 및 정부 주요기관은 다양한 환자안전 전략을 도입하거나 개발하게 되었다. 간호사 대상의 질 향상과 안전 교육(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QSEN)[2], 미국의 의료기관인증기관(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CAHO)의 환자안전목표[3], 의료기관인증 필수항목에 포함된 환자안전 기준[4, 5] 등이 그 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 Kohn, J. Corrigan & M. Donaldson. (2000). To Err Is Human :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Institute of Medicin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ISBN 0309068371 

  2. QSEN institute. (2014). Cleveland: QSEN competencies. An Interactive Teaching Strategy Using I-SBAR-R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Quality and Safety in Patient Care. http://qsen.org/%20competencies 

  3. The Joint Commission. (2016).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Washington DC: The Joint Commission. https://www.jointcommission.org/standards_information /npsgs.aspx 

  4.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07).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Seoul: http://khna.or.kr/bbs/linkfile/2007/070527.pdf 

  5.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http://www.koiha.kr/member/kr/contents/sub02/ sub02_01_02.do 

  6. H. Gong & Y. Son. (2012). Impa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9(4), 453-462. DOI.org/10.7739/jkafn.2012.19.4.453 

  7. G. Glancy & G. Chaimowitz. (2005). The Clinical use of Risk Assessment.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0(1), 12-17. http://dx.doi.org/10.1177/070674370505000104 

  8. J. Kim, M. Kang, K. An & Y. Sung.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69-179. UCI : I410-ECN-0102-2012-510-003403310 

  9. H. Kim & H. Kim. (2011).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13-422. 

  10. S. Im (2018).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63), 259-270. https://doi.org/10.14400/JDC.2018.16.6.259. 

  11. S. Kim & B. Kim. (2005). Fall of the elderly in Korea.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12. N. Lee & J. Kim. (201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462-473. 

  13. S. J. Park, J. Y. Kang & Y. O. Lee. (2012).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The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1), 44-55. 

  14. Y. Kim, S. Kim, M. Kim, J. Kim, S. Lee & M. Jang. (2010). Patient Safety Program and Safety Cul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55-465. 

  15. S. Kim, M. Kim & M. Jung. (2013). The Level of Elderly Fall Prevention Activities &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 81-87. 

  16. E. Park, I. Jang. (2013). Development of the Home Fall Prevention Checklist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5), 354-365. 

  17. Y. Kim, J. Jang, M. Song, M. Oh, Y. Lee. (2015). Effect of Integrative Pressure Ulcers Nurs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15-1029. 

  18. K. Lee, Y. Lee, H. Park, J. Rhu & I. Byun. (2011).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04-214. 

  19. E. Lee et al. (2007). Research evaluation & utilization, Seoul: KoonJa. 

  20. M. Lynn.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21. R. Gorsuch. (1983). Factor analysis, 2nd Ed, Hillsdale, NJ: Psychology Press. 

  22.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Rockvill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http://www.ahrq.gov/sites/default/files/wysiwyg/profes 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hospi tal/resources/hospscanform.pdf 

  23. K. Lee & S. Shin. (2013).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6), 697-70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697 

  24. W. Cho. (2001). A Study on the Types and Causes of Medication Errors and Related Drugs-by Analyzing AJNs Medication Error 73 Ca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6(1), 176-189. 

  25. D. Evans, B. Hodgkinson, L. Lambert & J. Wood. (2001). Falls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 38-45. http://dx.doi.org/10.1046/j.1440-172x.2001.00269.x 

  26. C. Kim & M. Suh. (201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2), 210-228. 

  27. K. Kim, J. Kim, S. Kwon & M. Song. (2010).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1), 177-196. 

  28.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Psychosocial Aspects of Child and Family Health. (2001).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cute Pain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ics, 108(3), 793-797. http://dx.doi.org/10.1542/peds.108.3.7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