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다소비 식품 섭취에 관한 연구: 2012~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섭취 빈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Nutrient intakes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ased on the 2012~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9 no.2, 2016년, pp.125 - 133  

하애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세영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2,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성인의 김치 소비 실태 조사를 섭취 빈도와 1회 섭취량을 이용하여 김치의 섭취 패턴, 영양소섭취량 및 다소비 식품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성인의 아침결식률은 25~27%로 점심이나 저녁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끼니는 하루 3끼니를 섭취하는 대상자가 높았고, 간식은 섭취한 경우가 92% 이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외식 횟수는 하루 1회 이상이 2012년에 27.6%, 2013년도에는 33%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주 5회 이상 외식을 하는 비율이 2012년에 45%였으며, 김치 섭취 빈도 중 배추김치는 하루 2회 섭취 횟수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다소비식품 상위 30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배추김치만이 상위권 안에 들었고, 다른 김치류는 30위 내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김치 섭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utrient intake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y Korean adults. Methods: Data from analysis of 7,122 subjects aged 19~64 years from 2012, 2013 KNHANES were obtained from health beh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의 전통발효식품 중 하나인 김치를 소재로 국가데이터의 식품섭취빈도 조사를 활용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2,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빈도 조사를 이용하여 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1회 섭취량, 영양소 섭취 및 다소비 식품 섭취 빈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성인의 김치 소비 실태, 김치의 섭취 패턴 및 섭취량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영양학적 이점과 효능은?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제철에 나는 채소를 사계절 내내 섭취하기 위한 저장법이 발달하였다. 이 중 김치는 다른 채소에 비하여 다량의 식이섬유,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을함유하고 있고, 칼로리와 지방 함량이 낮아서 건강식품으로서의 그 가치가 최근에 들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김치의 항비만1,2 및 혈중 지질 감소 효과,3 항산화,3,4 항당뇨,5,6 항암,7,8 및 면역증진 효과9 등 다양한 건강증진 기능성이 보고되었다.
24시간 회상법이란? 한편 최근 식품 섭취 연구에 있어서 많이 이용되는 24시간 회상법은 응답자가 조사 전 날 24시간 동안 섭취했던 식품을 훈련된 조사원의 인터뷰에 의해 조사하는 방법으로,식이섭취조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개인의 하루 섭취량 만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섭취량을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23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식품섭취빈도 조사 (food frequency questionnaire)가 수행되고 있으며,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데이터인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부터 최근 식품섭취빈도조사를개선하였고, 기존의 약 2배인 128종의 식품의 장기간의 섭취 빈도와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는 24시간 회상법의 어떤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수행되고 있는가? 한편 최근 식품 섭취 연구에 있어서 많이 이용되는 24시간 회상법은 응답자가 조사 전 날 24시간 동안 섭취했던 식품을 훈련된 조사원의 인터뷰에 의해 조사하는 방법으로,식이섭취조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개인의 하루 섭취량 만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섭취량을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23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식품섭취빈도 조사 (food frequency questionnaire)가 수행되고 있으며,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데이터인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부터 최근 식품섭취빈도조사를개선하였고, 기존의 약 2배인 128종의 식품의 장기간의 섭취 빈도와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ang YJ, Ahn IS, Han JS. Anti-obesity effect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added to garcinia cambogia extracts (hydroxy citric ac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6): 776-783. 

  2. Kong YH, Cheigh HS, Song YO, Jo YO, Choi SY.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tablet composition in rats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12): 1529-1536. 

  3. Kim HY, Noh JS, Song YO. Inhibition effect of 3-(4'-hydroxyl- 3',5'-dimethoxyphenyl) propionic acid in kimchi with anti-atherogenic activity on the accumulation of lipids in the organs of ApoE(-/-)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11): 1415-1421. 

  4. Mo EK, Kim SM, Yang SA, Jegal SA, Choi YS, Ly SY, Sung CK. Properties of baechu kimchi treated with black rice water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2010; 17(1): 50-57. 

  5. Yang YR, Kim HL, Park YK. Effects of onion kimchi extract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nt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4): 445-451. 

  6. Lee SY, Song YO, Han ES, Han JS.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food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according to kimchi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3): 351-361. 

  7. Chang SK, Kim HJ.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vo anticancer effects of potato kimchi prepared by adding hot water extracts of potato.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8; 18(3): 302-310. 

  8. Han GJ,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Park KY.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 (G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8): 996-1002. 

  9. Lee IH, Lee SH, Lee IS, Park YK, Chung DK, Choue R. Effects of probiotic extracts of kimchi on immune function in NC/Nga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8; 40(1): 82-87. 

  10. Jeong SH, Lee HJ, Jung JY, Lee SH, Seo HY, Park WS, Jeon CO. Effects of red pepper powder on microbial communities and metabolit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2013; 160(3): 252-259. 

  11. Jang MS, Seo KC, Nam KH, Park HY.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uttlefish kimchi with yogurt and vitamin C. Korean J Food Preserv 2012; 19(5): 774-782. 

  12. Lim JH, Park SS, Jeong JW, Park KJ, Seo KH, Sung JM.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3): 450-456. 

  13. Seo HS, Kim SH, Kim JS, Han JJ, Ryu JH.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originated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3; 45(5): 583-589. 

  14. Chang JY, Kim IC, Chang HC. Effect of solar salt on kimchi fermentation during long-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4; 46(4): 456-464. 

  15. Park JE, Lee JY, Jang MS.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lmoo Mulkimchi containing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40(7): 1006-1016. 

  16. Hahn YS, Oh JY, Kim YJ.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2; 34(4): 647-651. 

  17. Lee YS, Rho JO.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Backr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 and its acceptability by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um Ecol 2012; 21(6): 1211-1222. 

  18. Lee YS, Rho JO.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ves enzyme liquid and its acceptability by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um Ecol 2014; 23(3): 467-481. 

  19. You BR, Kim HJ.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allium hookeri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10): 1649-1655. 

  20. Hwang IG, Kim HY, Hwang Y, Jeong HS, Lee JS, Kim HY, Yoo SM.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the fres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2; 28(2): 167-174. 

  21. Kim SH, Kim MJ, Kim HJ, Song YO.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imchi menus for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7): 1148-1156. 

  22. Min SH. Perceptions and acceptances related to kimchi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ch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5): 564-571. 

  23.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5. Kwon Y. Association of curry consumption with blood lipids and glucose levels. Nutr Res Pract 2016; 10: e6. 

  26. Lee Y, Shim JE, Yoon J. Change of children’s meal structure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1998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09-118. 

  27. Kwon YS, Ju SY. Trends in nutrient intakes and consumption while eating-out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data. Nutr Res Pract 2015; 8(6): 670-678. 

  28.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6; 39(8): 841-849. 

  29. Kwon YS, Park YH, Choe JS, Yang YK. Investigation of variations in energy, macronutrients and sodium intake based on the places meals are provid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1998-2009). Nutr Res Pract 2014; 8(1): 81-93. 

  30. Kim EK, Park YK, Ju SY, Choi EO. A study on the kimchi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Korean J Food Cult 2015; 30(4): 406-412. 

  31. Park KY.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995; 24(1): 169-182. 

  32. Islam MS, Choi H.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in a type 2 diabetes model of rats. J Med Food 2009; 12(2): 292-297. 

  33. Kim HJ, Lee JS, Chung HY, Song SH, Suh H, Noh JS, Song YO.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an active principle of kimchi, inhibits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n rabbits. J Agric Food Chem 2007; 55(25): 10486-10492. 

  34. Kim EK, An SY, Lee MS, Kim TH, Lee HK, Hwang WS, Choe SJ, Kim TY, Han SJ, Kim HJ, Kim DJ, Lee KW. Fermented kimchi reduces body weight and improves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Nutr Res 2011; 31(6): 436-443. 

  35. Lee KW, Song WO, Cho MS. Dietary quality differs by consumption of meals prepared at home vs. outside in Korean adults. Nutr Res Pract 2015; 9: e80. 

  36. Chung HK. Hansik. Seoul: itreebook; 2009. 

  37. Kwon YS, Kim Y, Lee JY, Choe JS, Kim HR, Kim Y. An exploratory study of foods served to guests of head families (Jong-ga). Korean J Food Cult 2013; 28(1): 12-30. 

  38. Kim H, Oh SY, Kang MH, Kim KN, Kim Y, Chang N. Association between kimchi intake and asthma in Korean adults: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1). J Med Food 2014; 17(1): 172-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