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rect Practice of Newborn Health Assessment on Students' Nursing Clin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17 - 125  

박설희 (목포미즈아이병원 간호부) ,  류세앙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direct practice of newborn health assessment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nd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clinical education on newborn care. Methods: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신생아실 임상실습 중 신생아 건강사정 영역에 대한 직접실습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차이를 검정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에 참여한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으며 신체계측 영역보다 신체사정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시차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차이를 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은 기존의 전통적 임상실습의 한계를 보완하고 간호학생의 신생아 간호에 대한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임상실무에서 유능한 실무능력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질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임상실습 교육이 시도되고 효과 및 타당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많이 필요하다[23].
  •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신생아실 임상실습 시 기존의 전통적 임상실습에 대한 대안으로 신생아의 건강사정을 직접실습하게 함으로써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간호수행능력은 전통적 임상실습을 받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자기효능감은 전통적 임상실습을 받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율적인 임상실습은 간호 학생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은 간호수행능력을 성공적으로 잘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가지게 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목표달성을 위해 자신을 조절하며 임상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한다[16]. 임상실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증진됨이 확인된 바[14] 직접실습을 통해 간호학생의 자신감과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며[17] 간호학생들의 간호수행능력이 향상된다면 임상현장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신규간호사가 될 것이다[18].
아동 간호학 임상실습에 참여하는 간호 학생들이 최근 유치원이나 보육원, 장애 아동 시설에서 실습하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분만율의 감소와 의료사고 등을 이유로 종합병원에서 분만실과 신생아실을 운영하지 않는 병원이 많아지고 있으며 적자를 면치 못한다는 이유로 축소, 폐쇄하는 병원이 늘어나고 있어[13] 일부 대학에서 간호학생들은 신생아실 임상실습지 부족으로 유치원이나 보육원 및 장애 아동 시설에서 실습을 하고 있다[14]. 신생아실 임상실습 없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면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저하로 이어진다[15].
임상실습교육의 문제점은? 임상 실습교육은 교실에서 배운 학습을 실습 현장으로 확대하여 간호학생을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전환해 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1]. 간호실습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켜 유능한 간호사를 키워내는 것이라고 볼 때 현장실습에 대한 두려움과[2,3] 직접실습 경험의 부족이 임상실습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고[4] 실무와 간호교육 사이에 연계가 부족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Zhang J, Xu Y.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evolution, structure and reform.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0;47(4):207-217. 

  2. Han JY, Park HS.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3):365-372. 

  3. Barrett C, Myric F.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 effect on the clinical clinical compete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8;27(2):364-371.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8.00511.x 

  4. Lim NY, Song JH. Delphi study on introduction of practical skills test in national examination for nursing licens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2):157-165. 

  5. Blum CA. Development of a clinical preceptor model. Nurse Educator. 2009;37(1):29-33. http://dx.doi.org/10.1097/01.NNE.0000343394.73329.1d 

  6. Shin YW, Lee HJ, Lim YJ.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0;16(1):37-47. 

  7. American Board of Nursing Specialties[Internet]. Nursing specialty certification organizations' clinical practice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and recertification. A Review of Entry Level Certification Programs. 2010;Available from: http://www.nursing certification.org/pdf. 

  8. Kwon IS, Seo, YM.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1):25-33.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25 

  9. Cho MH, Kwon IS.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2):143-154. 

  10. Shin HS, Shim KK.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2):147-155. 

  11. Yoo SY, Kim SH, Lee JH. Educational needs in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based program on neonatal emergency car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2;18(4):170-176.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4.170 

  12. Ahn YM, Lee SM. Relationship between brain injury and head circumference growth in extremely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1;17(4):281-287. http://dx.doi.org/10.4094/jkachn. 2011.17.4.281 

  13. Lee C. Seeking a better system for the better neonatal ca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6;49(11):1009-1016. 

  14. Kim JY, An MS, Park HJ. Effectiveness of infant care competence according to pediatric nursing practice at school.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Parent-Child Health. 2012;15(1):14-19. 

  15. Yoo SY.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for newborn emergency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468-477. http://dx.doi.org/10.4040/jkan.2013.43.4.468 

  16. Shin, EJ.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3):380-386. 

  17. Lee SH. Effect of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program on anxiety,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4):539-547. 

  18. Jin EH, Kang HJ. A nurs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 improves the self-efficacy ans self-esteem of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3;20(2):105-112. 

  1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PA:Routledge Academic;1988. 

  20. Sherer M, Maddux J.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663-671. 

  21. Hong HY.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Ehwa Woman University; 1995. p. 1-73. 

  22. Ahn HS. The pediatrics. Seoul, PA:Daehane Co.; 2011. 

  23. Jho MY. An analysis of research on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2):239-248. 

  24. Kim HR, Choi EY, Kang HY, Kim SM.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fter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emergency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5-13. 

  25. Lee ES, Kim JS, Kim AY. Effects of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the ICU.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2):262-274. 

  26. Park KJ. The experience of parenteral medication administration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 University; 2013. p. 1-99. 

  27. Hyeon KS, Jeong YH.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learning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0;22(2):221-228. 

  28. Lee MJ. Effectiveness of hands-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conducting clinical practice in operation rooms [master's thesis]. Seoul:EulJi University;2007. p. 1-72. 

  29. Sharif F, Masoumi S.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Bio Med Central Nursing. 2005;4:6. http://dx.doi.org/10.1186/1472-6955-4-6 

  30. Choi EH, Kwon KN, Lee EJ. Achievements of nursing students among simulation and traditional education of bleeding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1):52-59.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