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 분석
Analysis on Trends in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Historical Park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2, 2016년, pp.130 - 142  

길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  박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박재민 (한경대학교 건설공학연구소)

초록

2005년 도시공원법 개정 이후 국내에는 역사유산의 보전은 물론 도시민의 휴식과 교육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역사공원이 등장하였다. 이제는 역사공원의 운영 실태를 통해 국내 역사공원의 특성을 알고 그에 따른 제도적 보완을 모색할 때이다.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역사공원 제도의 특성과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을 분석하여 역사공원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되, 역사공원 현황과 조성 과정을 관계 공무원과 전문가에게 전화 및 이메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역사자원은 주로 조선시대 유적에 집중되어 있지만 인물, 사건, 장소 등의 유산도 포함되며 근대기 유산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역사공원은 기존도시와 신도시, 대도시와 지방도시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지방도시는 최근 경제 활성화와 정체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역사공원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원의 종류를 역사공원으로 변경한 경우, 기존 기능과 일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 역사공원은 역사유산공원, 역사기념공원, 역사주제공원과 역사적공원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부적 유형분류는 향후 역사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전략적 토대가 되며 역사공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ark Act in 2005, historical parks emerged in Korea to promote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heritage while also offering recreation and education to ordinary citizens. It is now tim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by examining their cur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역사공원은 무엇으로 세부 분류되는가? 또한, 공원의 종류를 역사공원으로 변경한 경우, 기존 기능과 일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 역사공원은 역사유산공원, 역사기념공원, 역사주제공원과 역사적공원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부적 유형분류는 향후 역사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전략적 토대가 되며 역사공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역사공원이 도시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 기능은 무엇인가? 그런 점에서 도시공원법에서 운영되고 있는 주제공원으로서 역사공원은 도시 환경에 긍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도시공원의 다양성 측면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도심 내 유산을 보전하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시설 확충으로 지역 정체성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역사공원은 다른 주제공원과는 다르게 어떤 특별한 상황을 가지나요? 역사공원은 ‘도시의 역사적 장소나 시설물, 유적․유물 등을 활용하여 설치하는 공원’3)으로, 다른 주제공원과는 다르게 역사자원을 다뤄야 하는 특별한 상황을 가진다.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쟁점이 있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G. B.(2001) A study on th conception of historic park and its typ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9(36): 1-14. 

  2. Commission of Urban Park in Japan(2005) Urban Park in Japan(日本の都市公園). Tokyo: Environmental Greening Newspaper. 

  3.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2011) A Research for Legislating Preservation Principle of Cultural Heritage(1): Groundwork(문화유산보존원칙 제정을 위한 연구(1) 기반조성연구). 

  4. Hakodateshinbun(函館新聞) on November 4, 2006. 

  5. Hong, S. K., M. W. Lee, S. M. Lee and M. J. Ahn(2007) Searching for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park iden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5): 29-36. 

  6. Kim, N. O.(1988) A study on the use and preservation of American historic landscape - Mesaverde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6(1): 15-34. 

  7. Kim, W. J., K. Y. Kang, H. B. Kim, Y. A. Seo and S. J. Park(2015) "Bringing colour to history": Revitalization of Historical Parks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8. Ko, Y. K. and H. S. So(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current status historical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1): 107-117. 

  9. Lee, J. J., M. H. Park, M. H. Park, D. G. Lee and Y. S. Jang(2004) Plan for urban park and green space system and management. Urban Information Service 273: 3-12.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2006) Operational Guidelines for Urban Plan. 

  11. National Park System(2009) The National Parks: Index 2009-2011.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National Park Service. 

  12. Pendlebury, J.(1996) Historic Parks and Gardens and Statutory Protection. Electronic Working Paper 12, Global Urban Research Unit,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13. Act on Urban Parks, Greenbelts, etc.(도시공원및녹지등에관한법률). 

  14.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Urban Parks, Greenbelts, etc.(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시행령). 

  15.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Urban Parks, Greenbelts, etc.(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시행규칙). 

  16. Guideline on the Detailed Criteria of Urban Parks and Greenbelts Type(도시공원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17. www.en.wikipedia.org / Accessed in 2016. 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