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 에어로졸 고도 분포와 선포토미터 편광소멸도와의 연관성 연구
Retrieval of Depolarization ratio using Sunphotometer data and Comparison with LIDAR Depolarization ratio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2, 2016년, pp.133 - 139  

이경화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김관철 (광주과학기술원 국제환경연구소) ,  노영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주 고산과 공주에서 AERONET 선포토미터로 관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440, 675, 870, 1020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결과는 같은 지역에서 측정된 라이다 자료로부터 얻어진 532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와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선포토미터와 동 시간대에 라이다로 측정된 고도별 편광소멸도의 분석을 통하여 2 km 이상 상층으로 많은 양의 황사가 이동할 때 높은 편광소멸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편광소멸도가 측정된 경우에도 대기 상층에서 황사가 많이 이동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2 km 이하 하층의 경우에는 유입되는 황사가 적거나 오염 입자와의 혼합으로 상층에 비하여 낮은 편광소멸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s (DPRs) at 440, 675, 870 and 1020 nm are retrieved from AERONET sun/sky radiometer observations at Gosan and Kongju in South Korea. The retriev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DPRs measured by lidar at 532 nm. High DPRs are found when Asian dust passes through at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황사는 다양한 고도로 장거리 이동하며 타 오염 입자와 혼합되기도 하는데, 선포토미터 데이터로는 이러한 점을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포토미터와 라이다로부터 산출된 편광소멸도를 비교하고, 에어로졸 농도와 고도 분포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로졸은 어떤 물질인가?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분포하며 오염물질로 작용하여 시정을 저해하거나 공중보건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로 간주된다. 또한 대기 에어로졸은 태양광을 산란 또는 흡수하여 지구 전체의 복사 수지에 영향을 주어 기후변화를 유발한다.
대기 에어로졸은 어떻게 기후변화를 유발하는가?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분포하며 오염물질로 작용하여 시정을 저해하거나 공중보건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로 간주된다. 또한 대기 에어로졸은 태양광을 산란 또는 흡수하여 지구 전체의 복사 수지에 영향을 주어 기후변화를 유발한다. 대기 에어로졸은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인위적 오염물질과 산불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입자 등 다양한 종류로 존재한다.
황사의 분포 및 혼합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대기 에어로졸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성 파악에 매우 중요한 이유는? 황사 입자는 2.5 μm 이상의 조대입자 크기로 다른 에어로졸에 비하여 확연히 큰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황사의 주 성분인 산화철(Fe2O3)은 자외선 및 짧은 영역대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빛을 흡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Sokolik and Toon, 2006). 황사는 장거리 이동을 통하여 국내 및 동북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미주 지역까지 수송되기도 한다. 장거리 이동 시 다른 에어로졸과 혼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혼합 정도에 따라 광학적 및 물리적 특징이 변화하게 된다(Noh et al., 2013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im. K.C., S.C. Choi, Y.M. Noh, 2016. Retrieval of Depolarization ratio using Sunphotometer data and Comparison with LIDAR Depolarization ratio,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submitted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Lee, K.H., D. Muller, Y.M. Noh, S.K. Shin, and D.H. Shin, 2010. Depolarization Ratio Retrievals Using AERONET Sun Photometer Data,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14(3): 178-184. 

  3. Noh. Y.M., and K.H. Lee, 2012. Characterization of optical properties of long-range transported Asian dust in Northeast Asi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2): 243-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Noh, Y.M., C.K. Lee, K.C. Kim, S.K. Shin, D.H. Shin, and S.C. Choi, 2013. Retrieval of Vertical Single-scattering albedo of Asian dust using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4): 415-4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Shin, S.K., Y.S. Park, B.C. Choi, K.H. Lee, D.S. Shin, Y.J. Kim, and Y.M. Noh, 2014. Retrieval of the vari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plume according to their vertical distribution using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5): 597-6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Shin, S.K., D. Muller, C. Lee, K.H. Lee, D.S. Shin, Y.J. Kim, and Y.M. Noh, 2015. Vertical variation of optical properties of mixed Asian dust/pollution plumes according to pathway of air mass transport over East Asi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5: 6707-6720. 

  7. Sokolik, I.N., and O.B. Toon, 1996. Direct radiative forcing by anthropogenic airborne mineral aerosol. Nature, 381: 681-6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