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적 지형변화가 국지풍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Changes in Geographical Features on Local Wind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2 no.2, 2016년, pp.185 - 194  

김도용 (목포대학교 환경공학과(기후변화연구소)) ,  김재진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와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이용하여, 해상교량 건설에 따른 하의도 남쪽 지역의 인공적 지형변화가 국지풍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치모델의 지표 경계 입력 자료로써 대상영역의 3차원 수치지형은 GIS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유입류는 하의도 자동기상관측소(AWS)에서 관측된 바람자료로부터 설정하였다. 수치모의는 인공적 지형변화 전과 후에 대하여 계절별로 수행하였으며, 인근 염전지역의 바람 차단 효과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지표풍속은 접속도로 건설 구간에 인접한 남서쪽 지역에서 최대 유입류 대비 약 5~20%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전지역 전체에 대한 지표풍속은 평균 유입류 대비 약 2% 미만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서풍계열의 바람은 상대적으로 인공적 지형변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artificial changes in geographical features on local wind was analyz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bridge and fill-up bank in the southern part of Haui-d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were used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도서지역의 경우는 염전 및 수산양식장 등 어민들의 생활권이 연안에 집중되어 있어 국지적 기상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상세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최서남단에 위치하여 다수의 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상교량의 건설 사업이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신안군의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GIS 자료와 CFD 모델을 이용하여 해상교량 건설에 따른 접속도로 구간의 인공적 지형변화가 바람 차단 효과로 인한 풍속 저감 등 국지풍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IS 자료와 CFD 모델을 이용하여 인공적 지형변화가 국지풍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상영역은 해상교량 건설로 인하여 인공적 지형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신안군 하의도 남쪽의 접속도로 건설구간과 국지적 기상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인근 염전지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표풍이 변동성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 바람은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압경도력, 지구의 자전 운동에 의한 전향력, 유체의 곡률운동에 따른 원심력, 지표면 거칠기에 의한 마찰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대기의 운동현상이다. 특히, 인간의 생활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표풍은 지표면과 대기 간의 복잡한 역학적 상호관계로 인해 지형적 특징과 지리적 위치 등에 영향을 받아 그 변동성이 매우 크다(Kim et al., 2015).
바람이란 어떤 현상인가? 바람은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압경도력, 지구의 자전 운동에 의한 전향력, 유체의 곡률운동에 따른 원심력, 지표면 거칠기에 의한 마찰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대기의 운동현상이다. 특히, 인간의 생활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표풍은 지표면과 대기 간의 복잡한 역학적 상호관계로 인해 지형적 특징과 지리적 위치 등에 영향을 받아 그 변동성이 매우 크다(Kim et al.
국지풍을 비롯한 국지적인 기상 현상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이유는 무엇인가? 인공적 지형변화에 따른 국지풍의 크기(풍속) 및 방향(풍향)의 변화는 대상지역 내의 통풍, 환기, 역류, 정체, 오염물질의 확산 및 이동경로의 변화 등 국지적 미기상 및 대기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수 있으며, 지역 생태계 및 인간 활동의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Lee et al., 2009; Neophyto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ie, Y., Z. Qingming, X. Yinghui, W. Tao, C. Erzhuo, M. Fanshuo, and Q. Yi, 2014. Correlation between Urban Morphology and Wind Environment in Digital City using GIS and CFD Simul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Online Engineering, 10(3): 42-48. 

  2. Kim, D.Y., J.Y. Kim, and J.J. Kim, 2013. Mesoscale Simulations of Multi-Decadal Variability in the Wind Resource over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9(2): 183-192. 

  3. Kim, J.J., 2007. The effects of obstacle aspect ratio on surrounding flows, Atmosphere, 17(4): 381-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J.J. and J.J. Baik, 2004.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ambient wind direction on flow and dispersion in urban street canyons using the RNG k- ${\varepsilon}$ turbulence model, Atmospheric Environment, 38: 3039-3048. 

  5. Kim, J.J. and J.J. Baik, 2010. Effects of street-bottom and building-roof heating on flow in threedimensional street canyons,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7: 513-527. 

  6. Kim, J.J., E. Pardyjak, D.Y. Kim, K.S. Han, and B.H. Kwon, 2014. Effects of Building-Roof Cooling on Flow and Air Temperature in Urban Street Canyon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50(3): 365-375. 

  7. Kim, J.Y., D.Y. Kim, J.H. Oh, S.H. Kim, H.G. Kim, Y.H. Kang, J.J. Kim, and C.H. Cho, 2015. Sensitivity Evaluation of Surface Wind Simulations by Surface Drag Parameterization and Spatial Resolution using WRF Model,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19(3): 77-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Y.H., D.Y. Choi, and D.E. Chang, 2011. Characteristics of Urban Meteorology in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Atmosphere, 21(3): 257-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won, A.R. and J.J. Kim, 2015. Analysis on the Observation Environment of Surface Wind Using GIS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2): 65-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J.H., J.W. Choi, J.J. Kim, and Y.S. Suh, 2009. The effect of an urban renewal plan on detailed air flow in a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 69-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Y.S. and J.J. Kim, 2011. Effects of an Apartment Complex on Flow and Dispersion in an Urban Area, Atmosphere, 21(1): 95-1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eophytou, M., A. Gowardhan, and M. Brown, 2011. An inter-comparison of three urban wind models using Oklahoma City Joint Urban 2003 wind field measurements,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99(4): 357-368. 

  13. Park, S.J., D.Y. Kim, and J.J. Kim, 2013. Effects of Atmospheric Stability and Surface Temperature on Microscale Local Airflow in a Hydrological Suburban Area, Atmosphere, 23(1): 13-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tankar, S.V., 1980. Numerical Heat Transfer and Fluid Flow, McGraw-Hill, New York, pp. 197. 

  15. Rakowska, A., K.C. Wong, T. Townsend, K.L. Chan, D. Westerdahl, S. Ng, G. Mocnik, L. Drinovec, and Z. Ning, 2014. Impact of traffic volume and composition on the air quality and pedestrian exposure in urban street canyon, Atmospheric Environment, 98: 260-270. 

  16. Versteeg, H.K. and W. Malalasekera, 1995. An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he Finite Volume Method, Longman, Malaysia, pp. 257. 

  17. Yakhot, V., S.A. Orszag, S. Thangam, T.B. Gatski, and C.G. Speziable, 1992. Development of turbulence models for shear flow by a double expansion technique, Physics of Fluids, 4(7): 1510-1520. 

  18. Yang, H.J. and J.J. Kim, 2015. Evaluation of Observation Environment for Weather Station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2): 193-2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Zheng, Y., Y. Miao, S. Liu, B. Chen, H. Zheng, and S. Wang, 2015. Simulating Flow and Dispersion by Using WRF-CFD Coupled Model in a Built-Up Area of Shenyang, China, Advances in Meteorology, 2015: 5286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