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지풍이 내륙의 안개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ocal Wind on Occurrence of Fog at Inland Areas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7 no.2, 2017년, pp.213 - 224  

심화남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이영희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local wind on occurrence of fog at two inland areas, Chuncheon and Andong, in Korea. The surrounding topography of two inland area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Chuncheon is located in the basin surrounded by ridges with north-south axis while Andong is locate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1) 지형적 특성이 다른 춘천(분지)과 안동(동서 방향 계곡축)의 안개의 월별 발생빈도 특성을 분석하고 2) 지형적 특성과 관련된 지상풍의 특징과 형성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3) 열적 국지풍의 발달이 이들 지역의 안개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춘천과 안동의 정규 기상 관측자료와 오산 고층 기상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춘천과 안동의 안개 발생과 국지풍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안개는 시정 값이 1 km 미만이고 강수 없이 기상 현상이 안개(낮은 안개, 땅 안개, 얼음 안개)로 보고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개란 무엇인가? 안개는 지표면 근처에서 발생하는 기상현상으로 수증기의 응결에 의해서 형성된 작은 물방울이 대기 중에 떠 있어 수평시정이 1 km 미만인 경우를 일컫는다(Ahrens, 2009). 안개에 의한 시정 장애는 교통사고들을 유발한다.
안동에서 가을에 비해 겨울철 주간 풍속이 더 강하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가을에 비해 겨울철 주간 풍속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종관풍이 가을보다 겨울에 더 강한데 기인한다. 한반도의 겨울에 종관풍이 더 강한 특성은 선행 연구들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Kim and Byun, 2008).
대부분의 국지풍은 어떤 현상과 연관되는가? 국지풍은 국지적으로 형성되는 수평 기압 경도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으로, 대부분의 국지풍은 지표의 비균질 가열의 결과로 나타나는 기온과 기압의 차이와 연관된다(Whiteman, 1990). 지표면 비균질 가열에 의해 유발되는 국지풍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rens, C. D., 2009: Meteorology today. 9th Ed. Brooks/ Cole, 549 pp. 

  2. Arya, S. P., 2001: Introduction to micrometeorology. 2nd Ed. Academic Press, 420 pp. 

  3. Belorid, M., C. B. Lee, J.-C. Kim, and T.-H. Cheon, 2015: Distribution and long-term trends in various fog types over South Korea. Theor. Appl. Climatol., 122, 699-710, doi:10.1007/s00704-014-1321-x. 

  4. Carrera, M. L., J. R. Gyakum, and C. A. Lin, 2009: Observational study of wind channeling within the St. Lawrence River Valley. J. Appl. Meteor. Climatol. 48, 2341-2361. 

  5. Clark, P. A., and W. P. Hopwood, 2001: One-dimensional site-specific forecasting of radiation fog. Part I: Model formulation and idealised sensitivity studies. Meteor. Appl., 8, 279-286. 

  6. Jhun, J.-G., E.-J. Lee, S.-A. Ryu, and S.-H. Yoo, 1998: Characteristics of regional fog occurrence and its relation to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South Korea. J. Korean Meteor. Soc., 34, 486-496. 

  7. Kim, D.-W., and H.-R. Byun, 2008: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wind resources over Korea. Atmosphere, 18, 171-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OAD, 2015: Fog zone - Road traffic safety management measures, Report 2015. 3, 17 pp. 

  9. Lee, H.-D., and J.-B. Ahn, 2013: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g type based on its generation mechanism and fog predictability using empirical method. Atmosphere, 23, 103-112, doi:10.14191/Atmos.2013.23.1.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K.-M., and M.-S. Suh,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g and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in the Chung-Cheong area. J. Clim. Res., 6, 200-218. 

  11. Lee, S., 1998: The impacts of the Chungju lake on the fog characteristics of its surrounding area. J. Korean Geographic. Soc., 33, 165-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ark, S.-Y., H.-W. Lee, D.-H. Kim, and S.-H. Lee, 2010: Numerical study on wind resources and forecast around coastal area applying inhomogeneous data to variational data assimilation. J. Environ. Sci. Int., 19, 983-999, doi:10.5322/JES.2010.19.8.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rabha, T. V., A. Karipot, and M. W. Binford, 2007: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circulations over an inhomogeneous surface simulated with large-eddy simulation. Bound.-Layer Meteor., 123, 239-261, doi:10.1007/s10546-006-9137-6. 

  14. Raasch, S., and G. Harbusch, 2001: An analysis of secondary circulations and their effects caused by smallscale surface inhomogeneities using large-eddy simulation. Bound.-Layer Meteor., 101, 31-59. 

  15. Reuter, H. I., A. Nelson, and A. Jarvis, 2007: An evaluation of void-filling interpolation methods for SRTM data. Int. J. Geogr. Inf. Sys., 21, 983-1008. 

  16. Sun, J., R. Desjardins, L. Mahrt, and I. MacPherson, 1998: Transport of carbon dioxide, water vapor, and ozone by turbulence and local circulations. J. Geophys. Res., 103, 25873-25885. 

  17. Tardif, R., and R. M. Rasmussen, 2007: Event-based climatology and typology of fog in the New York City region. J. Appl. Meteor. Climatol., 46, 1141-1168. 

  18. Vidale, P. L., R. A. Pielke Sr., L. T. Steyaert, and A. Barr, 1997: Case study modelling of turbulent and mesoscale fluxes over the BOREAS region. J. Geophys. Res., 102, 29167-29188. 

  19. Whiteman, C. D., 1990: Observations of thermally developed wind systems in mountainous terrain. In W. Blumen Ed., Atmospheric Processes over Complex Terrain, Meteorological Monographs. No. 23, Amer. Meteor. Soc., 5-42. 

  20. Whiteman, C. D., and J. C. Doran,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lying synoptic-scale flow and winds within a valley. J. Appl. Meteor., 32, 1669-16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