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농도 이산화탄소 포집용 활성탄소섬유 흡착제의 질소작용기 함침연구
Impregnation of Nitrogen Functionalities on Activated Carbon Fiber Adsorbents for Low-level CO2 Capture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2 no.2, 2016년, pp.176 - 183  

황수현 (경희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동우 (경희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동원 (경희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영민 (경희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tivated carbon fibers (ACFs) for $CO_2$ adsorption were prepared from polyacrylonitrile (PAN) fiber through the systematic processes such as oxidation, activation and amination with the focus on the formation of nitration functional groups. Textural analysis of test samples reveal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N 섬유에 존재하는 염기성질소작용기를 최대한 유지시킴으로서 흡착제의 표면에 형성되는 활성점을 증가시켰던 이전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험제조한 활성탄소섬유에 고온에서 암모니아가스를 흘려줌으로써 아민기를 비롯한 질소관능기를 표면에 추가적으로 함침하였다. 이러한 질소관능기가약산성의 이산화탄소 분자 포집에 미치는 효용성을 상대적으로 저농도 분위기에서의 흡착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험용 활성탄소섬유의 산화(안정화)단계에서의 특징은? 활성탄소섬유의 전구물질은 PAN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시험용 활성탄소섬유는 그림 1과 같이 산화(안정화), 활성화, 세척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안정화는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서 200~300℃의 온도로 PAN 섬유를 표면 열처리시켜주는 단계이며, 이때, 고리화(cyclization), 산화(oxidation), 탈수소화(dehydrogenation)가 일어나기 때문에 PAN 섬유의 사슬형 구조가 사다리 구조로 바뀌게 되며, 섬유의 열적 안정성과 융점이 증가하게 된다(Shin et al., 2014).
이산화탄소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이산화탄소를 제어하는 방법에는 흡수법, 막분리법, 흡착법 등이 있지만, 실내환경을 고려할 경우에는 흡착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흡착공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는 제올라이트, 건식 아민, 활성탄, 활성탄소섬유 등이 있으나, 흡착제 중에서도 세공이 잘 발달되어 매우 유용한 흡착제로써 활성탄이 활용되고 있다.
흡착공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산화탄소를 제어하는 방법에는 흡수법, 막분리법, 흡착법 등이 있지만, 실내환경을 고려할 경우에는 흡착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흡착공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는 제올라이트, 건식 아민, 활성탄, 활성탄소섬유 등이 있으나, 흡착제 중에서도 세공이 잘 발달되어 매우 유용한 흡착제로써 활성탄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성탄소섬유의 기계적 및 열적 안정성, 균일한 세공분포, 존재하는 세공의 크기, 높은 비표면적과 세공부피, 가공하기 쉬운 장점 때문에 활성탄소섬유가 활성탄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착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L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delodun, A.A., Y.H. Lim, and Y.M. Jo (2014a) Stabilization of potassium-doped activated carbon by amination for improved $CO_2$ selective capture, J. Anal. Appl. Pyrolysis, 108, 151-159. 

  2. Adelodun, A.A., Y.H. Lim, and Y.M. Jo (2014b) Surface oxidation of activated carbon pellets by hydrogen peroxide for preparation of $CO_2$ adsorbent, J. Indust. Eng. Chem., 20, 2130-2137. 

  3. Bikshapathi, M., N. Verma, R.K. Singh, H.C. Joshi, and A. Srivastava (2011)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ibers from cost effective commercial textile grade acrylic fibers, Carbon letter, 12, 44-47. 

  4. Cho, Y.M., D.S. Park, S.B. Kwon, J.Y. Lee, and Y.H. Hwang (2011) Study on the removal of carbon dioxide in the subway cabin using zeolite type carbon dioxide adsorbent, J. Korean Soc. Railw., 14(1), 1-5. 

  5. Hwang, S.H., H.S. Park, D.W. Kim, and Y.M. Jo (2015)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iber adsorbent for enhancement of $CO_2$ capture capacity, J. Korean Soc. Atmos. Environ., 31(6), 538-547 

  6. Lee, J.Y., D.S. Park, Y.M. Cho, S.P. Kwon, Y.H. Hwang, H.J. Song, and S.B. Lee (2012) A study on the low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adsorbent and optimal condition, J. Korean Oil. Chem. Soc., 29, 1-12. 

  7. Lee, K.M. and Y.M. Jo (2009) Ambient adsorption of low-level carbon dioxide by metal treated activated carbon, J. Korean Soc. Atmos. Environ., 25(4), 316-324. 

  8. Li, J., H.L. Dickon, P. Song, C. Kong, Y. Song, and P. Yang (2015)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surface-area activated carbon fibers from silkworm cocoon waste for congo red adsorption, Biomass. Bioenerg., 75, 189-200. 

  9. Lim, H.H., Y.H. Lim, and Y.M. Jo (2012) Characterization of AC-based adsorbents for $CO_2$ capture, J. Korean Soc. Indoor Env., 9(1), 9-18. 

  10. Maroto-Valer, M.M., Z. Tang, and Y. Zhang (2005) $CO_2$ capture by activated and impregnated anthracites, Fuel Process. Technol., 86, 1487-1502. 

  11. Meng, L.Y. and S.J. Park (2012) MgO-templated porous carbon-based $CO_2$ adsorbents produced by KOH activation, Mater. Chem. Phys., 137, 91-96. 

  12. Moon, S.Y., D.Y. Han, B.H. Lee, and Y.S. Lim (2005)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XI-PAN based carbon fibers activated by hydroxides, J. Korea Ceramic Soc., 42(7), 469-474. 

  13. Plaza, M.G., C. Pevida, A. Arenillas, F. Rubiera, and J.J. Pis (2007) $CO_2$ capture by adsorption with nitrogen enriched carbons, Fuel, 86, 2204-2212. 

  14. Shen, W. and W. Fan (2013) Nitrogen-containing porous carbons: synthesis and application, J. Mater. Chem. A., 1, 999-1013. 

  15. Shin, H.K., M.R. Park, P.H. Kang, H.S. Choi, and S.J. Park (2014)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crylontrile-based carbon fibers produc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pretreatment, J. Ind. Eng. Chem., 20, 3789-3792. 

  16. Swietlik, U., B. Grzyb, K. Torchala, G. Gryglewicz, and J. Machnikowski (2014) High temperature ammonia treatment of pitch particulates and fibers for nitrogen enriched microporous carbons, Fuel Process. Technol., 119, 211-217. 

  17. Wu, H., R.S. Reali, D.A. Smith, M.C. Trachgtenberg, and J. Li (2010) Highly selective $CO_2$ capture by a flexible micropore metal-organic framework material, Chem. Eur. J., 16, 13951-139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