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지방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BRM)의 단위과제 구축 사례 서울특별시 강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A Construction Case of BRM 'Danwigwaje' in Basic Local Governments : Focussing on Gangbuk District of Seoul Special City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49, 2016년, pp.247 - 275  

문찬일 (서울특별시 강북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록의 분류체계는 기록을 조직화하고 내적인 질서를 부여하여 기록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표를 말한다. 전통적인 기록관리 환경에서는 조직 분류의 원칙을 고수해왔으나, 현대에 이르러 '기능 및 업무'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도 2008년부터 기능 및 업무에 기반한 정부기능분류체계(BRM)를 기록의 분류체계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최하위 단위에 속하는 '단위과제'의 분석이 부실하여 기록의 분류체계의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에 따라 서울특별시 강북구에서는 단위과제의 업무분석을 실시하여 정부기능분류체계를 구축하였다. 우선 기록관리담당자가 단위과제의 원칙과 소기능 및 단위과제 분석을 실시하였고, 처리과 의견조회 과정과 시범운영을 통해 정부기능 분류체계 단위과제를 정비하였다. 이러한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사례를 통해 단위과제의 분석 절차와 방법, 기초지방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의 구축에 따른 시사점을 글로 정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records indicates a table that intends to express organic relations between records by organizing records and enabling internal order. Although the principles of organic classification have remained in traditional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they have been chang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는 처리과에서 작성하는 단위과제의 설명이 대부분 간략하게 작성되어 있어 단위과제의 업무 성격과 내용 및 중요성을 판단하기 어려우며, 단위과제 크기 또한 잘 관리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록관리 전문가가 단위과제의 크기와 레벨, 단위과제카드의 수, 단위과제별 보존기간과 책정사유를 사전에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대표적인 사례로는 기존의 ‘구청사시설장비보수’라는 단위과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아동복합청사관리’ 단위과제를 신설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앞선 선행 연구들은 연역적이고 원칙적인 방법론에 머물고 있고, 실제 현장에서 BRM 단위과제를 구축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사례 분석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2015년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BRM 단위과제 구축 사례를 소개하며, 단위과제 분석 절차 및 방법, 사례 분석을 통한 BRM 단위과제 관리의 시사점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이상으로 서울특별시 강북구 BRM 단위과제의 구축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기록학계와 기록관리 현장에서는 BRM 단위과제에 대해 연역적이고 추상적이며, 원칙론적인 수준에서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RM이란? BRM(Business Reference Model, 정부기능분류체계)은 정부의 기능과 업무를 분류하고 구조화한 표로써 2008년부터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등 각급 공공기관에서 활용 중이다. 우리나라의 국가 기록관리 체제하에서 BRM은 기록물 보존기간 책정의 기준이 되는 분류체계로 활용하고 있다.
기록분류체계의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평가가 제기되는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1) 그러나 BRM의 최하위 단위에 속하는 ‘단위과제’의 정의와 기준이 불분명하고, 관리의 부실함으로 기록분류체계의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최재희(2014)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설문원(2013) 의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화경, 김은주(2014)의 ‘BRM 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등의 연구에서 다루어졌다. 최재희(2014)는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 중 하나로 BRM의 관리에서 찾고 있다. 그는 처리과에서 작성하는 단위과제의 설명이 대부분 간략하게 작성되어 있어 단위과제의 업무 성격과 내용 및 중요성을 판단하기 어려우며, 단위과제 크기 또한 잘 관리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록관리 전문가가 단위과제의 크기와 레벨, 단위과제카드의 수, 단위과제별 보존기간과 책정사유를 사전에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설문원(2013)은 단위과제 기반의 평가방식이 기록의 보존기간 책정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조사하고 문제 유형별로 원인과 대안을 모색하였다. 그는 기록관리 전문가가 단위과제의 신설과 관리에 관한 권한을 가지지 못하고, 이미 생성된 단위과제의 보존기간 검토 등의 제한적 권한만을 행사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단위과제 범위가 크거나 단위과제가 중복되어 보존기간 책정의 어려움이 발생한다고 지적하였다. 김화경, 김은주(2104)는 단위과제의 운영상 문제점을 통해 단위과제 관리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업무분석을 통한 단위과제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각 기관이 BRM의 신속한 도입을 위해 충분한 업무 분석이 실행되지 못했다고 보고 있다. 그러한 문제들로 첫째, 단위과 제의 개념이 혼재되어 처리과 공통업무와 기관 고유업무가 잘못 분류 되어 있다는 점, 둘째, 단위과제의 현행화가 부재하여 단위과제명을 과거 기록물분류기준표의 단위업무명을 차용하거나, 업무내용을 이해 하기 어려운 단위과제명의 사용 등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업무분석을 통한 단위과제 도출 방안으로 법령, 기관의 규정 및 조례를 참고하여 처리과별, 업무담당자별 업무내용을 파악한 후, 현재 사용 중인 단위과제카드(기록철) 및 생산 기록건의 유형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2) 최재희, 설문원의 연구는 기록분류체계로서 BRM이 가지는 제도적, 정책적 한계와 문제점을 명확히 지적하고 있다. 또한 김화경·김은주의 연구는 단위과제 분석 절차에 대하여 비교적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앞선 선행 연구들은 연역적이고 원칙적인 방법론에 머물고 있고, 실제 현장에서 BRM 단위과제를 구축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사례 분석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2015년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BRM 단위과제 구축 사례를 소개하며, 단위과제 분석 절차 및 방법, 사례 분석을 통한 BRM 단위과제 관리의 시사점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기록의 분류체계란? 기록의 분류체계는 기록을 조직화하고 내적인 질서를 부여하여 기록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표를 말한다. 전통적인 기록관리 환경에서는 조직 분류의 원칙을 고수해왔으나, 현대에 이르러 '기능 및 업무'로 변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국가기록원. 2007.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조정 지침(NARS-P-2007-01). 대전: 국가기록원. 

  2. 김화경, 김은주. 2014. BRM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99-219. 

  3. 서울특별시. 2014. 서울시 기능분류모델 정비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용역 최종보고서. 서울특별시. 

  4.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5. 최재희. 2004.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53-1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