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암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2, 2016년, pp.191 - 201  

강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강혜영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김나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이미정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김유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김주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여수정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서윤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부) ,  서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Methods: The translated scale was pilot tested and then administered to 360 patients with cancer.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adwin 등[6]이 개발한 ‘암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를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적용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해 ‘한국어판 암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암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OPPQNCS)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제공받은 돌봄에 대한 간호의 질 정도를 환자의 시각에서 측정하는 OPPQNCS의 구성타당도와 내적일관성을 검증하여 한국어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근거를 확보하였다. 문항분석 시행결과 전체 문항이 암 환자가 인식한 간호의 질 측정도구 항목으로 수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Oncology Pati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OPPQNC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어판 OPPQNC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암 환자가 인식하는‘간호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OPPQNCS 도구를 국내 암 환자들에게 적용가능할 것인가를 평가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 나은 양질의 의료를 요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인터넷의 보급과 미디어의 영향으로 환자들은 질병치료 관련 정보에 접근이 용이해졌으며 의료에 대한 지식과 의식이 향상되면서 더 나은 양질의 의료를 요구하고 있다. 의료서비스가 제공자에서 소비자중심으로 변화한 현대의 환자들은 의료진이 환자 개인의 요구, 선호도, 가치 등을 존중하면서 개인맞춤형 돌봄을 해주기를 원한다[3-5].
OPPQNCS의 민감성요소는 무엇인가? 환자중심간호를 기반으로 개발된 도구로 암 환자의 관점에서 간호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암 환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주요 간호활동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민감성’은 간호사가 환자를 돌볼 때 환자요구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를, ‘개별성’은 간호사가 환자의 느낌과 선호도 및 원하는 돌봄 참여정도에 따라 개별 맞춤형 간호를 하는 정도를, ‘조화’는 간호사가 다른 간호사와 환자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정도를, ‘능숙함’은 간호사가 전문지식으로 숙련된 간호를 제공하는 정도를 의미한다[6].
환자중심간호의 질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인 OPPQNCS는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가? OPPQNCS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는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중심간호의 질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Radwin 등에 의해 개발되었다[6]. OPPQNCS는 총 40문항으로 4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요소는 민감성(responsiveness)으로 22개의 문항, 두 번째 요소는 개별성(individualization)으로 10문항, 세번째 요소는 조화(coordination)로 3문항, 그리고 네 번째 요소는 능숙함(proficiency)인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중심간호를 기반으로 개발된 도구로 암 환자의 관점에서 간호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암 환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주요 간호활동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Institute of Medicine.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1. 

  2. Epstein RM, Street RL Jr.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n cancer care: promoting healing and reducing suffering. NIH Publication: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 Report No.: 07-6225. 

  3. Suhonen R, Schmidt LA, Radwin L. Measuring individualized nursing care: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scal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9(1):77-8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282.x 

  4. Radwin LE, Farquhar SL, Knowles MN, Virchick BG. Cancer patients' descriptions of their nursing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0(2):162-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375.x 

  5. Lee MA, Yom Y-H. A comparative study of patients' and nurse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satisfaction and intent to revisit the hospital: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7;44(4):545-55.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03.006 

  6. Radwin L, Alster K, Rubin KM.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oncology patient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cale. Oncology Nursing Forum. 2003;30(2):283-90. http://dx.doi.org/10.1188/03.onf.283-290 

  7. Kitson A, Marshall A, Bassett K, Zeitz K. What are the core elements of patient centred care? a narrative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from health policy, medicine an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3;69(1):4-1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2.06064.x 

  8. Izumi S, Baggs JG, Knafl KA. Quality nursing care for hospitalized patients with advanced illness: concep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10;33(4):299-315. http://dx.doi.org/10.1002/nur.20391 

  9. Larson PJ, Ferketich SL. Patients' satisfaction with nurses' caring during hospitalization.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93;15(6):690-703. 

  10. Mitchell PH, Heinrich J, Moritz P, Hinshaw AS. Measurement into practice: summary and recommendations. Medical Care. 1997;35(11):NS124-7. 

  11. Koberich S, Farin E. A systematic review of instruments measuring patients' perceptions of patient centred nursing care. Nursing Inquiry. 2015;22(2):106-20. http://dx.doi.org/10.1111/nin.12078 

  12. Sidani S, Collins L, Harbman P, MacMillan K, Reeves S, Hurlock Chorostecki C, et al.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healthcare providers' implementation of patient centered care. Worldviews on Evidence Based Nursing. 2014;11(4):248-57. http://dx.doi.org/10.1111/wvn.12047 

  13. Radwin L. Oncology patients' perceptions of quality nursing car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0;23(3):179-90. 

  14. Radwin LE, Cabral HJ, Wilkes G.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centered cancer nursing interventions and desired health outcomes in the context of the health care system.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9;32(1):4-17. http://dx.doi.org/10.1002/nur.20302 

  15. National Cancer Center. 2013 Cancer registry statistics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2015. 

  16.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003. 

  17. Comrey AL. Factor-analytic methods of scale development in personality and clinical psycholog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8;56(5):754-61. 

  18. Kim G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mos 18.0.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0. 

  19. Schmitt TA. Current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011;29(4):304-21. 

  20. Brislin RW. Back-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research.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970;1(3):185-216. 

  21. Duffy ME. Translating instruments into other languages: basic considerations. Clinical Nurse Specialist. 2006;20(5):225-6. 

  22. Lee E, Lim N, Park H, Lee I, Kim J,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msa Publishing; 2009. 

  23.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24. Kang H.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587-9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87 

  25. Tak J.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2nd ed. Seoul: Hakjisa; 2007. 

  26. Kang J, Suh EE. Perceptions of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5;12(2):115-23. http://dx.doi.org/10.16952/pns.2015.12.2.115 

  27. Kaiser H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1974;39(1):31-6. 

  28. Bagozzi RP,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88;16(1):74-94. 

  29. Fornell C, Larc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1;18(1):39-50. 

  30. Nunnally JC, Bernstein IH.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94. 

  31. Larrabee J, Bolden L. Defining patient-perceived quality of nursing care.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1;16(1):34-60. 

  32. Sofaer S, Firminger K. Patient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health services. Annual Reviews of Public Health. 2005;26:513-59. http://dx.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5.050503.153958 

  33. Williams SA. Quality and care: patients' perception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998;12(6):18-25. 

  34. Lee T, Kang KH, Ko YK, Cho S-H, & Kim EY.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e workforce policy: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106-16.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