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BDMS) is a unique and traditional concept in Korea that puts importance on the connectivity of energy when Korean people recognize their mountain system. Two main national organizations that are in charge of managing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보고서에 독자적으로 포함된 조사 항목들은 해당 보고서의 연구 배경 및 목적을 고려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 자료를 비교하면서 나타난 차이점과 문제점을 수요자 입장에서 고찰하여 백두대간 자연 환경 조사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산림청의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2006-2010)와 환경부의 ‘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계 조사’(2007-2010)는 모두 2005년 지정 고시된 백두대간 보호 구역을 대상으로 비슷한 시기에 일치 또는 유사한 주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중복성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보고서를 비교하여 항목별 중복 여부와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개선된 결과를 도출하고 향후 백두대간 자연 환경 조사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 자연 환경 조사 자료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산림청과 환경부의 백두대간 보고서의 목적과 조사항목 및 결과 등을 비교하고, 자료의 활용과정에서 확인된 문제점을 수요자 측면에서 고찰하여 향후 효율적인 조사 수행과 조사 자료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대간 지역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지난 2003년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래 백두대간 보호구역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학문적 수요가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국가적으로는 ‘백두대간의 보호 기본계획’이2006년을 시작으로 10년 단위로 수립되어 백두대간의 장기적인 보전․관리 및 이용 방향을 제시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가 이뤄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Korea Forest Service, 2005).그러나 백두대간 지역은 법률적인 보호를 받기이전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많은 지역이 훼손되었으며 법률 제정 이후에도 방문객 증가와 기후변화 및 극단 기상 현상(Extreme weather effect)으로 인한 생태계 변화까지 더해지면서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전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Kong, 2008; You et al., 200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물리적 환경 조사에 있어서 산림청과 환경부의 지형 분석 방법은? 물리적 환경 조사 항목 가운데 지형은 두 사업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지만 유형 분류나 분석, 조사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먼저 산림청에서는 수치 표고 모형(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통해 추출이 가능한 해발고, 경사, 사면 방향에 따른 분석과 함께 산정, 산복, 산록과 같은 입지적 특성을 기준으로 지형을 분석하였다. 반면 환경부는 도면 및 문헌, 영상 자료 등을 기초로 사전에 지형 단위를 109 가지로 분류한 뒤 이를 기준으로 위성 영상과 현장 조사를 통해 지형을 분석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2006; 2011).
산림청의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 목적은 무엇인가? 산림청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의 목적은 백두대간의 자연 및 인문 자원의 실태 조사를 통해 백두대간 종합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토대를 형성하고 나아가 이를 국토 관리 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환경부의 ‘백두대간 보호지역 생태계조사’의 목적은 백두대간의 자연 환경 보전 및 복원에 활용 가능한 자연환경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Table 3). 지형 훼손 방지를 포함하는 자연 환경의 보전 및 복원이 백두대간 관리 방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점과 두 조사 사업의 배경에 백두대간자연 생태계의 높은 보전 가치가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점, 조사의 배경과 주요 활용 방안에 백두대간의 국제적 생물권보전지역 확대․지정추진이 포함되고 있는 점 등으로 볼 때 두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과 활용 가치는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Shin, 2004; Korea Forest Service, 20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 HC?Choo GC?Park SB?Cho HS?An JB? Park JG?Ha HW?Kim JJ and Kim BG. 2014. Phytosociological Community Classification of Mountain Ridge from Guryongryeong to Mt. Yaksu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28(6): 741-7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abeza, M. and Moilanen, A. 2001. Design of reserve networks and the persistence of biodiversity.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6(5): 242-248. 

  3. Cho HD?Min CG?Jeong SK?Lee SN?Yoon SJ?Lee DH?Jang YS?Baek DM and Hong EP. 2011. The Collaborativ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ulti-Ministerial R&D Programs and Policy Recommend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Policy research 201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HJ. 2009. Vegetation Types and Life-form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ests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8(4): 472-4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HJ?Lee BC and Shin JH. 2004.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3(5): 331-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ung YS. 1998. Characteristic Species Distribution of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at Kangwon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1(1): 154-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Geobank. 2006. The dictionary of physical geography, Hanul Publishing Group. 856pp. (in Korean) 

  8. Hwang KM?Lee JM and Kim JH. 2012.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Successional Trends in the Natural Forest of Baekdudaegan i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4): 4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1):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CH?Kang JH and Kim MJ. 2013. Statu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6): 724-7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NS?Cho YC?Oh SH and Kwon HJ. 2014. A Study on the Symbol Making for Mapping Landform of Eleme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0(3): 245-2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I?Chang CS?Shadie P?Park SJ and Lee DH. 2015. Does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Has Enough Values for World Heritage Inscripti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4(3): 476-4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ong WS. 2008. Biogeography of Korean Plants. Geobook. 335pp. (in Korean)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Geographical Range of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and Development of Restoration Model for It's Deteriorated Ecosystem.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224pp. (in Korean) 

  15. Korea Forest Service. 2005. Basic Plan for Baekdu-Daegan Conservation. Korea Forest Service 134pp.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 2006. Baekdu Daegan Mt. White Paper. Korea Forest Service. 625pp.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 2011. Survey Report about Resources in BDMS. Korea Forest Service 247pp.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 (in korean) 

  19. Lee SD. 2003. A study on The Master Plan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Compared with National Biological Survey in US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oact Assessment 12(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SD?Hong SH and Kim J. 2012.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aetjae(hill)-Baekbongryung(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 J. Env. Eco. 26(5): 719-7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Guideline for The 3rd Natural Environment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21pp. (in Korean)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Survey Report about Ecosystem in BDMS Protected Area. Ministry of Environment. 196pp. (in Korean)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Guideline for The 4th Natural Environment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486pp. (in Korean) 

  24.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3. The Official Gazette of Korea, Korea Forest Service Official Announcement 2013-85 (2013. 12. 24.).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419pp. (in Korean) 

  25. Rho PH and Choung EL. 2006. Alternatives of the Korean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Korea Environment Research 5(3): 25-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hin JH. 2004. Management Area and Management Strategy of Baekdudaegan. Kor. J. Env. Ecol. 18(2): 197-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Tasa, D. 2010. Mcknight's Physical Geography -A Landscape Appreciation- Prentice Hall 554pp. 

  28. You JH?Ra JH?Cho HJ and Ku JN. 2009. Practical Plan and Vascular Plants Around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in Baekdudaegan.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5): 4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un KS?Oh IS?Kang JH?Lee JH and Kim SH. 2014. The achievement of 3rd Natural Environment Survey in geomorphology part and the direction of 4th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1(3): 105-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