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백두대간 보호활동의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Support Project for Resident Income: Focused on Citizen Participation in Baekdudaegan Protection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7 no.1, 2018년, pp.81 - 95  

전미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강은지 (지역활성화센터플러스) ,  김용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9월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으로 지역경제 위축, 공동체 활동축소 등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은 백두대간 보호라는 근본적인 목적과 연계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무분별한 사업신청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담당공무원 설문조사를 통해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주민을 백두대간 보호 및 관리의 주체로 육성하여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에 대한 책임의식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주민을 백두대간의 일부로 여기고 소득과 더불어 문화 및 공동체를 지킬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주민과 행정이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백두대간의 체계적인 보호와 관리를 통한 지역 활성화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백두대간을 보호하면서 개발제한구역의 주민과 지역발전을 이루는 사업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mp Page,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s such as the contrac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the reduction of community activities, it has designated Baekdudaegan as protect area since September 2005, also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implemented Support Project for National Income. However, the f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기존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현황, 보호 활동 주민참여와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담당 공무원 면담조사를 통해 주민소득지원사업에 대한 발전 방향과 주민이 참여 가능한 보호 활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문헌 조사와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기존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주민소득지원사업의 제도개선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Figure 1).
  •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개선 및 확대방안에 대한 담당 공무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32개 시·군과 산림청 담당 공무원 48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 동안 전화 및 직접 대면조사를 진행하였다.
  • 백두대간 주민지원 분야에서는 기존에 지원되어왔던 시설 위주의 주민소득지원사업과 함께 임산물 재배·유통·판매 지원, 역사·문화지원으로 사업의 범위를 확장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국내의 자연환경보전정책은 생태계보전지역, 조수보호구 등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동 지역 내의 행위 제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지역주민의 반발 증가 등으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을 환경보전의 주체로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면서 주민 소득보전도 할 수 있는 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백두대간 보호라는 본 취지에 맞게 사업수혜 주민들이 백두대간 보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연계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기존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현황, 보호 활동 주민참여와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백두대간의 보호는 우리 민족의 생활영역과 생활양식의 기반이 되는 민족의 정서와 정체성을 유지하고 계승함을 의미하며, 나아가 우리나라 대표적인 자연생태계의 관리를 의미한다(Kim,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 보호 활동을 백두대간 지역에 포함된 토지, 자연, 역사, 문화 등의 보존적인 가치와 지역주민의 편익, 지역개발, 관광개발, 자원 활용 등의 이용적인 가치의 대립을 해소하고 백두대간이 보유한 생태, 문화, 경제적인 가치를 높이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연구된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사업추진 현황 및 문제점, 관련 사례분석, 담당 공무원들의 의견을 Table 13과 같이 종합·수렴하여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개선 방향을 백두대간 보호·관리 주체 육성, 백두대간 주민지원, 백두대간 거버넌스 구축 3가지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Table 13).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백두대간 보호라는 본 취지에 맞게 사업수혜 주민들이 백두대간 보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연계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기존 백두대간 주민소득지원사업의 현황, 보호 활동 주민참여와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담당 공무원 면담조사를 통해 주민소득지원사업에 대한 발전 방향과 주민이 참여 가능한 보호 활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국토의 골격을 이루는 한반도 중심 산줄기로, 한반도 자연생태계의 핵심 축을 이루며 생물 종 다양성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Choi et al., 2014).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주민소득지원사업은 어떠한 양상을 보였는가? 그러나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주민소득지원사업은 개발제한에 대한 보상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주로 소규모 시설 위주의 사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에 따라 백두대간 보호라는 근본적인 목적과 연계성이 매우 부족하고, 국비 70%, 지방비 30%로 진행되는 전액 보조사업의 특성상 사후관리가 잘되지 않는 등 지원시설에 대한 주인의식이 결여되어있다.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주민소득지원사업이 가진 한계는? 그러나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주민소득지원사업은 개발제한에 대한 보상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주로 소규모 시설 위주의 사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에 따라 백두대간 보호라는 근본적인 목적과 연계성이 매우 부족하고, 국비 70%, 지방비 30%로 진행되는 전액 보조사업의 특성상 사후관리가 잘되지 않는 등 지원시설에 대한 주인의식이 결여되어있다. 또한, 무분별한 사업신청으로 인해 정작 지원을 받아야 할 대상이 사업선정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기존 타 사업과 성격 및 내용이 유사하여 사업비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Kim and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n, H.G., Jo, T.J. and Kim, D.J. 2006.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ts accommodation tendency.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9(4): 133-152. 

  2. Choi, Y.H., Lee, J.W., Choi, T.J., Kweon, H.K., Heo, H., Kwon, K.I. and Kim, B.G. 2014.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directional sign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4(1): 93-94. 

  3. Choi, H.Y. 2009. The legal research on public aid program for residents and application possibility of resident agreement. The SNU Law Research Institute 16(3): 197-232. 

  4. Hong, K.J. 2007.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he supporting project for residents in drink water management area,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llanam-do, Korea. 

  5. Jang, Y.S. 2005. A study on environmental movement and forma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in Korea,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H.M.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pport program for the support areas of the dam,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S.B., Gwak, G.H., Back, I.H., Choi, Y.H. and Oh, D.G. 2005. Study on promoting income business considering development of Baekdudaegan ecological village and local characteristics, Korea Forest Service, pp. 360. 

  8. Kim, J.S. and Lee, J.G. 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expenses of residents income support project in baekdudaegan, The Korean Forest Society workshop presentation file. pp. 528-531. 

  9. Kim, Y.S. 2010. Development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round the baekdudaegan area,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ungcheongbuk-do, Korea. 

  10. KFS. 2015. Research on change in Baekdudaegan resources and study on management plan (2011-2014), pp. 259. 

  11. Kim, J.S. 2008.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the Income Assistance Project in Baekdudaegan Province, Korea Forest Service. 

  12. KFS. 2005a. Basic plan for Conservation of the Backdudaegan: 2006-2015, pp. 136. 

  13. KFS. 2005b. Protective measures for protection of the Backdudaegan, pp. 16. 

  14. KFS. 2006. 2005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60. 

  15. KFS. 2007. 2006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53. 

  16. KFS. 2008. 2007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63. 

  17. KFS. 2009. 2008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63. 

  18. KFS. 2010. 2009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90. 

  19. KFS. 2011. 2010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98. 

  20. KFS. 2012. 2011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80. 

  21. KFS. 2013. 2012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63. 

  22. KFS. 2014. 2013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70. 

  23. KFS. 2015. 2014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68. 

  24. KFS. 2016. 2015 Assessment report on the result of promoting Baekdudaegan protection plan, pp. 164. 

  25. Lee, M.N. 2006.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environmental conflict,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S.B. 2008. Estimation of benefit of the daechung-upstream residents support program. Korean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26(2): 19-36. 

  27. Lee, M.H., Yoon, J.S. and Yoon, I.S.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green belt community support program,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4(4): 317-332. 

  28. Lee, E.Y., Bae, M.S. and Lee, J.H. 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ssistance fund system for residents in the regulated area around dam,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Academic Conference, 2015(2): 16-17. 

  29. Lee, S.E. and Oh, C.H. 2015. A present condition research of biodiversity management contract scheme and proposal for improvement measuremen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ssociation Academic Conference, pp. 22. 

  30. MAFRA. 2006.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2159. 

  31. MAFRA. 2007.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2754. 

  32. MAFRA. 2008.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2267. 

  33. MAFRA. 2009.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2287. 

  34. MAFRA. 2010.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2169. 

  35. MAFRA. 2011.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1239. 

  36. MAFRA. 2012.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1393. 

  37. MAFRA. 2013.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1471. 

  38. MAFRA. 2014.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1344. 

  39. MAFRA. 2015.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1099. 

  40. MAFRA. 2016.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1256. 

  41. MAFRA. 2017. Guidebook for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ies, pp. 1403. 

  42. Park, S.J. 2016. Factors affection the residents' behavior intention for conservation of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s Protected Area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3. Park, G.C. 2013. A Study on business outcome incentive factor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enterprises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