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의 이뇨제 사용, 증상의 중증도 및 신체활동능력과 영양소 섭취 상태와의 관련성
The Nutrient Intak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Use of Diuretics, Symptom Severity and Physical Functioning in Heart Failur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2, 2016년, pp.190 - 199  

장준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박영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전국진 (양산 부산대학교병원) ,  김종현 (BHS 한서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using diuretics, symptom severity and degree of physical functioning in heart failure patients. Method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baseline data of an intervention study for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영양소 섭취량과, 이뇨제 사용, 증상의 중증도 및 신체활동능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심부전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소 섭취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과 질병 증상 완화 및 신체기능 개선을 위한 영양관리 지침 마련에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이뇨제 사용, 질환 중증 정도 및 신체활동능력에 따른 영양소섭취 상태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일반인(N=27, Age=60±10)과 심부전 환자(N=39, Age= 66±10) 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한 연구에서 일반인의 총칼로리 섭취량은 2,275 kcal/day(SD=508)와 단백질 섭취량은 91.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이뇨제 사용, 증상의 중증도 및 신체활동능력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분석하여, 심부전 환자를 위한 식이요법과 식이 교육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식이 중재를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차 자료 분석 연구로, 부모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중 50세 이상의 대상자 131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이뇨제 사용, 증상의 중증도, 신체활동능력과 영양소 섭취 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동기상담을 제공하는 중재연구의 일차 자료를 이차 자료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부전 환자의 이뇨제 사용, 증상의 중증도, 신체활동능력과 영양소 섭취 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부전의 특징은? 심부전은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질병의 특성 상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식이요법은 심부전 증상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반면에 영양부족은 심부전 환자의 기능상태 저하와 근육의 손상, 면역질환 장애 및 빈혈, 인지기능 감소, 상처 치유 저하, 수술 시 회복 지연, 높은 재입원 율에 영향을 미친다[2].
영양부족이 심부전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심부전은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질병의 특성 상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식이요법은 심부전 증상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반면에 영양부족은 심부전 환자의 기능상태 저하와 근육의 손상, 면역질환 장애 및 빈혈, 인지기능 감소, 상처 치유 저하, 수술 시 회복 지연, 높은 재입원 율에 영향을 미친다[2]. 일반적으로 안정 시 대사 율은 일일 요구되는 에너지의 60.
각 나라별로 심부전 환자들에게 칼륨과 마그네슘의 섭취 상태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5%가 마그네슘 과다섭취 군 임을 보고 한[25]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볼 때 본 연구의 대상자는 칼륨과 마그네슘 모두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과 비교하여 풍부한 열대 과일과 콩, 옥수수를 기본으로 하는 브라질의 음식문화와 시리얼과 오트밀 같은 정제되지 않은 곡류로 이루어진 미국의 아침식사 문화[20]로 인하여 칼륨과 마그네슘의 섭취 상태가차이 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심부전 환자에게 칼륨과 마그네슘의 부족은 혈압과 심장 리듬에 영향을 미치므로[26], 칼륨과 마그네슘의 섭취를 위하여 토마토와 오이, 호박, 가지와 같은 근채류 및 녹색채소, 견과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를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akarewicz-Wujec M, Kozlowska-Wojciechowska M, Sygnowska E, Waskiewicz A. Does heart failure determine the nutrition of patients? Kardiol Polska 2013; 72(1): 56-63. 

  2. Lennie TA, Moser D, Biddle MJ, Welsh D, Bruckner GG, Thomas DT et al. Nutrition intervention to decrease symptoms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Res Nurs Health 2013; 36(2): 120-145. 

  3. Obisesan TO, Toth MJ, Donaldson K, Gottlieb SS, Fisher ML, Vaitekevicius P et al. Energy expenditure and symptom severity in men with heart failure. Am J Cardiol 1996; 77(14): 1250-1252. 

  4. Pasini E, Opasich C, Pastoris O, Aquilani R. Inadequate nutritional intake for daily life activity of clinically stable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Am J Cardiol 2004; 93(8): 41-43. 

  5. Lourenco BH, Vieira LP, Macedo A, Nakasato M, Marucci MDFN, Bocchi EA. Nutritional status and adequacy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s among heart failure patients. Arq Bras de Cardiol 2009; 93(5): 541-548. 

  6. Hughes CM, Woodside JV, McGartland C, Roberts MJ, Nicholls DP, McKeown PP. Nutritional intake and oxidative stress in chronic heart failure.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2; 22(4): 376-382. 

  7. Price RJ, Witham MD, McMurdo ME. Defining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intake of older heart failure patients. Eur J Cardiovasc Nurs 2007; 6(3): 178-183. 

  8. Aquilani R, Opasich C, Verri M, Boschi F, Febo O, Pasini E et al. Is nutritional intake adequate in chronic heart failure patients? J Am Coll Cardiol 2003; 42(7): 1218-1223. 

  9. Lee HR, Kang BR, Chung HK, Do HJ, Shim JS, Bae SH et al. The assessment for nutrient intakes of Korea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 Nutr Health 2010; 43(3): 224-232. 

  10. Bonilla-Palomas JL, Gamez-Lopez AL, Anguita-Sanchez MP, Castillo-Dominguez JC, Garcia-Fuertes D, Crespin-Crespin M, et al. Impact of malnutrition on long-term mortality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heart failure. Rev Esp Cardiol (Engl Ed). 2011;64(9):752-758. 

  11. Narumi T, Arimoto T, Funayama A, Kadowaki S, Otaki Y, Nishiyama S et al. The prognostic importance of objective nutritional indexes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J Cardiol 2013; 62(5): 307-313. 

  12. Dunn SP, Bleske B, Dorsch M, Macaulay T, Van Tassell B, Vardeny O. Nutrition and heart failure: impact of drug therapies and management strategies. Nutr Clin Pract 2009; 24(1): 60-75. 

  13. Cooper HA, Dries DL, Davis CE, Shen YL, Domanski MJ. Diuretics and risk of arrhythmic death in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Circ 1999; 100(12): 1311-1315. 

  14. Dudek SG. Nutrition essentials for nursing practice. 7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15. Evangelista LS, Heber D, Li Z, Bowerman S, Hamilton MA, Fonarow GC. Reduced body weight and adiposity with a high-protein diet improves functional status, lipid profiles, glycemic contro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 feasibility study. J Cardiovasc Nurs 2009; 24(3): 207. 

  16. Shimon H, Almog S, Vered Z, Seligmann H, Shefi M, Peleg E et al. Improved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thiamine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receiving long-term furosemide therapy. Am J Med 1995; 98(5): 485-490. 

  17. American Heart Association. Classes of heart failure [internet].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1 [cited 2016 Jan 16]. Available from: http://www.heart.org/HEARTORG/Conditions/HeartFailure/AboutHeartFailure/Classes-of-Heart-Failure_UCM_306328_Article.jsp#.VqCxkeRunIV. 

  18. Cahalin LP, Mathier MA, Semigran MJ, Dec GW, DiSalvo TG. The six-minute walk test predicts peak oxygen uptak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Chest J 1996; 110(2): 325-332. 

  1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16 Jan 28]. Available from: http://www.kns.or.kr/FileRoom/FileRoomview.asp?_modemod&restring%25-2FFileRoom%252FFileRoom.asp%253Fxsearch%253D0%253D%253Dxrow%253D10%253D%253DBoardID%253DKdr%253D%253Dpage%253D1&idx79&page1&BoardIDKdr&xsearch1&cn_search. 

  20. Woo MH, Woo KH, Kyun SI, Kim KH, Byeon TS. Food and cultur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eoul: Hakmoonsa; 2006. 

  21. Correia MITD, Waitzberg DL. The impact of malnutrition on morbidity, mortality,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osts evaluated through a multivariate model analysis. Clin Nutr 2003; 22(3): 235-239. 

  22. Trippel TD, Anker SD, von Haehling S. The role of micronutrients and macronutrients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heart failure. Heart Fail Clin 2013; 9(3): 345-357. 

  2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4. Lee HR, Kang B, Chung HK, Do HJ, Shim JS, Bae SH et al. The assessment for nutrient intakes of Korea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 Nutr Health 2010; 43(3): 224-232. 

  25. Grossniklaus DA, O'Brien MC, Clark PC, Dunbar SB. Nutrient intake in heart failure patients. J Cardiovasc Nurs 2008; 23(4): 357. 

  26. Lennie TA. Nutritional recommendations for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 Cardiovasc Nurs 2006; 21(4): 261-268. 

  27. Kenny AM, Boxer R, Walsh S, Hager WD, Raisz LG.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Osteoporos Int 2006; 17(9): 1420-1427. 

  28. Abou-Raya S, Abou-Raya A. Osteoporosis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in the elderly patient: double disease burden. Arch Gerontol Geriatr 2009; 49(2): 250-254. 

  29. Bettencourt P, Ferreira A, Dias P, Pimenta J, Frioes F, Martins L et al. Predictors of prognosis in patients with stable mild to moderate heart failure. J Card Fail 2000; 6(4): 306-313. 

  30. Scognamiglio R, Testa A, Aquilani R, Dioguardi FS, Pasini E. Impairment in walking capacity and myocardial function in the elderly: is there a role for nonpharmacologic therapy with nutritional amino acid supplements? Am J Cardiol 2008; 101(11): S78-S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