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의 신체활동과 규칙적 운동에 대한 측정의 일관성 및 운동역량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Consistency in Measuring Physical Activities and Regular Exercis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4, 2014년, pp.284 - 291  

이해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진혜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박지나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전국진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김종현 (BHS 한서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daily physical activity (DPA) can be considered the same as a regular exercise (R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 and DPA, and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of RE and DPA with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Q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심부전 환자의 신체활동량을 조사하였고, 신체 활동량과 규칙적 운동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결과, 심부전 환자의 경우, 신체활동량에 대한 보고보다는 규칙적 운동정도에 대한 보고가 건강결과와 더 일관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과 일상 중의 신체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운동 역량과 삶의 질에 대한 이들 개념들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심부전 환자의 규칙적 운동과 일상 중의 신체활동에 대한 환자 자가 보고는 차이가 있었으며, 심부전 환자의 건강 결과와 더 일관성 있는 관련성을 나타낸 지표는 규칙적 운동으로, 운동 역량과 건강관련 삶의 질(KCCQ)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특성, 규칙적 운동 정도 및 일상 중의 신체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운동역량과 삶의 질에 대한 이들 개념들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심부전 환자에게 제공된 동기상담의 1년 장기효과를 분석하는 중재 연구의 1차 자료를 분석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원시연구의 3개월단기효과에 대한 결과의 일부는 Kim과 Lee (2013)에 보고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과 일상 중의 신체활동에 대한대상자 반응의 일치성과 이들 개념과 건강결과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심부전 환자의 신체활동량 측정 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2009), 심부전 환자들의 신체활동량의 보고와 규칙적 운동량의 보고의 일관성이나, 건강혜택에 대한 연관성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규칙적 운동량과 일상 중의 신체활동량에 대한 보고의 일관성을 조사하고, 각 측정방법과 기존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심부전 환자의 건강결과인 운동역량과 삶의 질(Ades et al., 2013; Clark et al., 2014)과의 관련성을 조사함으로써, 추후 심부전 환자의 건강혜택과 관련성이 높은 신체활동 측정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효과는 무엇인가? , 2010).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심근기능과 증상, 기능적 능력을 향상시키고(Piepoli et al., 2011), 운동역량을 높이는(Chrysohoou et al., 2014)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유럽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2010)에서는 안정된 심부전 환자의 경우, 최소 하루 30-60분 동안 중정도 강도의 신체활동과, 하루 30분, 주 3회, 중정도 강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신체활동은 어떻게 구분할수 있는가? 신체활동은 개인이 시간, 운동량 등의 목표를 정해 실시하는 규칙적 운동(Han, 2004)과 계획적인 운동이 아닌 일상생활활동을 포함하는 일상 중의 신체활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Garland et al., 2011).
일상 중의 신체활동 측정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 2000). 그러나 활동이 많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활동량의 경우 다소 과장되거나 부정확하게 측정될 소지가 있다(Park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es, P. A., Keteyian, S. J., Balady, G. J., Houston-Miller, N., Kitzman, D. W., Mancini, D. M., et al. (2013). Cardiac rehabilitation exercise and self-care for chronic heart failure. JACC: Heart Failure, 1, 540-547. http://dx.doi.org/10.1016/j.jchf.2013.09.002 

  2. Ainsworth, B. E., Bassett, D. R. Jr., Strath, S. J., Swartz, A. M., O'Brien, W. L., Thompson, R. W., et al. (2000).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measuring the time spent in physical activ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2(9 Suppl), S457-64. 

  3.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1). Classes of heart failure, 2014, retrieved from http://www.heart.org/HEARTORG/Conditions/HeartFailure/AboutHeartFailure/Classes-of-Heart-Failure_UCM_306328_Article.jsp 

  4. Arslan, S., Erol, M. K., Gundogdu, F., Sevimli, S., Aksakal, E., Senocak, H., et al. (2007). Prognostic value of 6-minute walk test in stable outpatients with heart failure. Texas Heart Institute Journal/from the Texas Heart Institute of St. Luke's Episcopal Hospital, Texas Children's Hospital, 34(2), 166-169. 

  5. Caspersen, C. J., Powell, K. E., & Christenson, G. M. (1985).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orts (Washington, D.C.: 1974), 100(2), 126-131. 

  6. Cho, S. W., Sim, S. Y., & Nam, S. N. (2012). The effect of body composition, pulmonary fuction, and physical fitness in sedentary office worker by exercise.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9(3), 336-343. 

  7. Chrysohoou, C., Tsitsinakis, G., Vogiatzis, I., Cherouveim, E., Antoniou, C., Tsiantilas, A., et al. (2014). High intensity, interval exercise improves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QJM: Monthl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107(1), 25-32. http://dx.doi.org/10.1093/qjmed/hct194 

  8. Clark, A. P., McDougall, G., Riegel, B., Joiner-Rogers, G., Innerarity, S., Meraviglia, M., et al. (2014). Health status and self-care outcomes after an education-support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chronic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Epub ahead of print. http://dx.doi.org/10.1097/JCN.0000000000000169 

  9. Craig, C. L., Marshall, A. L., Sjostrom, M., Bauman, A. E., Booth, M. L., Ainsworth, B. E.,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5(8), 1381-1395. 

  10. Davies, E. J., Moxham, T., Rees, K., Singh, S., Coats, A. J., Ebrahim, S., et al. (2010). Exercise training for systolic heart failure: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12(7), 706-715. http://dx.doi.org/10.1093/eurjhf/hfq056 

  11. Dontje, M. L., van der Wal, M. H., Stolk, R. P., Brugemann, J., Jaarsma, T., Wijtvliet, P. E., et al. (2014). Daily physical activity in stable heart failure patients.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9(3), 218-226. 

  12.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Corra, U., Piepoli, M. F., Carre, F., Heuschmann, P., Hoffmann, U., et al. (2010). Secondary prevention through cardiac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counselling and exercise training: Key components of the position paper from the cardiac rehabilitation section of the european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European Heart Journal, 31(16), 1967-1974. http://dx.doi.org/10.1093/eurheartj/ehq236 

  13. Garin, O., Ferrer, M., Pont, A., Rue, M., Kotzeva, A., Wiklund, I., et al. (2009). Disease-specific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s for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es. Quality of Life Research, 18, 71-85. http://dx.doi.org/10.1007/s11136-008-9416-4 

  14. Garland, T. Jr., Schutz, H., Chappell, M. A., Keeney, B. K., Meek, T. H., Copes, L. E., et al. (2011). The biological control of voluntary exercise, spontaneous physical activity and daily energy expenditure in relation to obesity: Human and rodent perspective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14(Pt 2), 206-229. http://dx.doi.org/10.1242/jeb.048397 

  15. Green, C. P., Porter, C. B., Bresnahan, D. R., & Spertus, J. A. (200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kansas city cardiomyopathy questionnaire: A new health status measure for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35(5), 1245-1255. 

  16. Han, S. J.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1), 14-26. 

  17. Heart Failure Society of America, Lindenfeld, J., Albert, N. M., Boehmer, J. P., Collins, S. P., Ezekowitz, J. A., et al. (2010). HFSA 2010 comprehensive heart failure practice guideline. Journal of Cardiac Failure, 16(6), e1-194. http://dx.doi.org/10.1016/j.cardfail.2010.04.004 

  18. Izawa, K. P., Watanabe, S., Oka, K., Hiraki, K., Morio, Y., Kasahara, Y., et al. (2011). Physical activity in relation to exercise capacity in chronic heart failur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52(1), 152-153. 

  19. Jin, Y. Y., Ahn, E. S., & Kang, H. S. (2011). The test of validity using an accelerometer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related energy expendi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4), 185-192. 

  20. Kim, S. M., & Lee, H. J. (2013). Effect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on disease-related knowledge, depression, self-car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2), 143-154. 

  21. Koltyn, K. F. (2001)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women. Women's Health Issues, 11(6), 471-480. 

  22. Lee, H. J., Lim, Y. J., Jung, H. Y., & Park, H. K. (2011). Sleep disturbanc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3), 607-621. 

  23. Lipkin, D. P., Scriven, A. J., Crake, T., & Poole-Wilson, P. A. (1986). Six minute walking test for assessing exercise capacity in chronic heart failure. British Medical Journal (Clinical Research Ed.), 292(6521), 653-655. 

  24. Oh, J. Y., Yang, Y. J., Kim, B. S., & Kang, J. H.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n Family Medicine, 28(7), 532-541. 

  25. Park, I. H., Lee, G. B., Cho, S. I., Kim, Y. S., Lee, S. W., Lee, W. H., et al. (2009).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2), 400-416. 

  26. Piepoli, M. F., Conraads, V., Corra, U., Dickstein, K., Francis, D. P., Jaarsma, T., et al. (2011). Exercise training in heart failure: From theory to practice. A consensus document of the heart failure association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13(4), 347-357. http://dx.doi.org/10.1093/eurjhf/hfr017 

  27. Pocock, S. J., Wang, D., Pfeffer, M. A., Yusuf, S., McMurray, J. J. V., Swedberg, K. B., et al. (2006). Predictors of mortality and morbid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European Heart Journal, 27(1), 65-75. http://dx.doi.org/10.1093/eurheartj/ehi555 

  28. Tabet, J. Y., Meurin, P., Driss, A. B., Weber, H., Renaud, N., Grosdemouge, A., et al. (2009). Benefits of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heart failure. Archives of Cardiovascular Diseases, 102(10), 721-730. http://dx.doi.org/10.1016/j.acvd.2009.05.011 

  29. Tung, H. H., Jan, M. S., Lin, C. Y., Chen, S. C., & Huang, H. C. (2012). Mediating role of daily physical activity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7(1), 16-23. http://dx.doi.org/10.1097/JCN.0b013e318211284b 

  30. van den Berg-Emons, H., Bussmann, J., Balk, A., Keijzer-Oster, D., & Stam, H. (2001). Level of activities associated with mobility during everyday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congestive heart failure as measured with an "activity monitor". Physical Therapy, 81(9), 1502-1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