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 교과서 생명영역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Life Science Area in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Korean Elementary Curriculum Chang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2, 2016년, pp.203 - 219  

고연숙 (서울강남초등학교) ,  김효남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교과서의 생명영역 내용을 분석 통하여 앞으로 과학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교수요목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 영역의 단원을 대상으로 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포함 여부와 포함된 학년을 알아보았고, 학습내용의 구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TIMSS 2015 생명과학 분석틀 4학년과 8학년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맞게 수정 개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국제적 기준으로 볼 때, '생물의 특성'에 대한 하위 요소로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점'은 대부분 교육과정에서 1학년에 제시가 되었으나, 1차와 6차 교육과정,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아서 학생들의 생명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균류 세균의 특징과 분류'는 7차 교육과정까지 대체로 균류만 다루어졌고,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하여 제시되었다. '한살이, 생식과 환경'의 하위 요소로 '자손의 생존을 돕기 위한 전략'과 '동물과 식물의 유전'은 주로 저학년에 편성되어 기초적인 학습 내용만 있어서 고학년에서 심화된 학습 내용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생물의 특징'은 교수요목기에서 2차 교육과정까지 주로 농촌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습 내용으로 제시되었으나, 3차 교육과정부터 삭제되고 주변의 생물들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이 제시되었다. '건강'의 하위 요소로 '감염성 질병'은 1차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강조되어 다루어졌는데, 이는 한국전쟁 직후 보건 위생 문제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보건과 위생과 관련하여서 모든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제시되었다. TIMSS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교과서가 국제적인 기준에 중심으로 볼 때, 개정 교육과정 과학교과서에는 유전과 진화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건강에 관한 학습 내용이 좀 더 심화하여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analyzing the contents of life science area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Korean science curricula change to get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curriculum. The framework of content analysis was developed by revising TIMSS 2015 life science ev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MSS 분석틀이란? 생명 영역 학습 내용 분석을 위해 2015년 TIMSS 생명 과학 4학년과 8학년의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TIMSS 분석틀은 세계의 여러 나라의 교육 제도와 교육과정에 맞추어 객관적으로 설계된 국제적 기준으로 특정 국가의 교육과정 체계나 내용과 관계없이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교과서가 국제적 학습 내용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주요 범주는?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주요 범주는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이다. 이중 생명 영역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이며, 학생들의 발달 단계상 가장 흥미를 가지고 학습하는 영역이다.
초등학교에서 ‘감염성 질병의 전파, 증상, 예방’에 관한 학습 내용이 사라졌다가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시 제시된 이유는? Table 7은 ‘감염성 질병의 전파, 증상, 예방’에 관한 학습 내용은 1차 교육과정에서 여러 학년에서 다루어지다가 3차 교육과정부터 사라졌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균과 바이러스와 관련된 증상, 전염, 예방에 대하여 다시 제시되었다. 이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대한 영향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eong, Y. (1988)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chang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 Cho, J., Kim, S., Lee, S., Kim, M., Ok, H., Rim, H., Park, Y. Lee, M., Han, H. & Son, S. (2011)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1): A Technical Report of the Main Surve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of Research RRE 2011-4-1. 

  3. Jones, L. R., Wheeler, G., & Centurino, V. A. S. (2013). TIMSS 2015 Science Frameworks. In Mullis, I. V. S, & Martin, M. O.(eds). TIMSS 2015 Assessment Frameworks.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4. Kang, H., Kong, Y., Kwon, H., Kim, J., Bae, J., Song, M., Shin, Y., Yang, I., Yoon, H., Lee, D., Lee, M., Im, C., Im, H., Jang, S., Jeon, Y. & Chae, D. (2007). Theorie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kbook Publication Co. 

  5. Kim, H. (2012). Study on the process of science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from epoch of the syllabus to 2009 revised curriculum.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Kim, H., Park, J. & Song, J.(2005).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framework of material fields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Journal of the Science Education.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29, 15-28. 

  7. Kim, J. (1993). Recent science education. Seoul: Hakjisa. 

  8. Kim, J., Lee, Y., Hwang, J. & Lee, H. (1997).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Seoul: Kyoyookbook Publication Co. 

  9. Kim, S & Kim, H. (2012). Analysis of Content Change in Material Field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Journal of the Elementary society 16, 21-54. 

  10. Kim, S. (2013). The quality of the 8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in Korea: Findings from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of Korea(TIMSS 200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of research RRE 2013-7-3. 

  11. Kim, S., Dong, H., Kim, J. & Seo, J. (2013). TIMSS 2011 Open question anaiysis(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of research ORM 2013-48-2. 

  12. Kim, S., Kim, M., Park, J., Chon, K., Kim, M. & Seo, J. (2014). Preparation of TIMSS 2015 Field Trial: Technical repor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of research ORM 2014-27-5. 

  13. Kim, J., & Kim, S. (2013). An Analysi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TIMSS 2011.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Education. 32(4), 423-436. 

  14. Kim, S., Lee, J. Park, J., & Lee, M. (2015). Analysis of mathematics and science contents through consistency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a and TIMSS 2015 item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of research ORM 2015-50-2. 

  15. Kim, J., & Lee, S. (2010). A development and effects of biodiversity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ESD..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6(3), 161-182. 

  16. Kim, M., & Kim, K. (2011). A Content Analysis of Biology Domain of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Based on the TIMSS Framework. Biology Education. 39(2), 217-234. 

  17. Kwon, J., Kim, B., Kang, N., Choi, B., Kim, H., Paik., S., Yang, I., Kwon, Y., Cha, H., Woo, J., & Chung, J. (2012). Theories in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kbook Publication Co. 

  18. Lee, D. & Cha, H. (2009).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rograms considering emotion and preconception on bacteri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application effects. Biology Education, 37(4), 565-578. 

  19. Lee, M., Oh, S., & Lee, K.(2005)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cepts in evolution based on science histor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2), 145-159. 

  20. Lee, Y., Yoon, Y., Song, J. & Bang, D. (2014).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of Singapore, Canada and US focused on the integrated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1), 21-32. 

  21. Lim, Y. & Kim, Y. (2013) A historical study on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iology Education, 41(3), 483-503. 

  22. Ministry of Education (2011).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ES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3. Ryu, J. (2011). A Study on the Changes of'Wise Life' Textbooks.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4. Son, Y. & Lee, D. (2004) A study on transition of the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Science Education,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27, 147-174. 

  25. Suh, Y. (2007).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U.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5), 509-5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