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료전지용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랜덤공중합체 강화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Random Copolymer Reinforced Membranes for Fuel Cell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6 no.2, 2016년, pp.146 - 151  

안주희 (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에너지공학과) ,  이창현 (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SPAES) 랜덤 공중합체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적용될 때 높은 수소이온전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 단가 그리고 열화학적 저항성등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반면, SPAES 공중합체는 가혹한 구동 조건하에서 낮은 화학적 안정성과 치수 불안전성으로 인해 실제 연료전지 막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에 타당한 해결책은 SPAES 공중합체를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와 높은 열화학적 강도를 가지는 지지체 필름(예 : 전기방사된 폴리이미드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함침막 제조를 위한 이오노머로 빠른 이온 수송을 위해 높은 자유 체적을 유도하는 회전 그룹을 갖는 SPAES 공중합체를 선택하였다. 제작된 막의 실용가능성은 막 특성화를 통해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SPAES) random copolymers have merits such as high proton conductivity, relatively low production cost, and thermochemical resistance when applied a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rectly employ SPAES copolymers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PAES 공중합체를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열화학적 저항성을 가지는 전기방사된 다공성 지지체 필름에 함침시켜 제조한 함침막(pore-filling membrane; PFM)을 이용하여 치수 불안정성을 해소함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 및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성을 유지시키고, 낮은 수소투과도를 가지는 효과적인 PEM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화복합막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소이온전도성 및 우수한 열화학적 저항성을 가지면서 술폰화도가 높은 SPAES 공중합체(BisA 40 random copolymer)를 함침용 이오노머로 선택하고, 기계적 강도와 열화학적 저항성이 우수한 PI 다공성 지지체 필름을 함침용 지지체로 선택하여 강화복합막을 제조하여 팽윤거동(swelling behavior) 분석과 온도에 따른 수소이온전도도 및 수소투과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 구동 시 발생하는 치수 불안 정성과 등방성 팽윤거동으로 인한 박리현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강화복합막을 제조하여 강화복합막의 팽윤거동과 온도에 따른 수소이온전도성 및 수소기체투 ㄷ과도의 특징을 다루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PEM은 연료전지의 특수한 구동 조건 때문에 1) 열화학적 저항성, 2) 높은 기계적 강도, 3) 우수한 치수 안정성이 요구된다.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소재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 PFSA)가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Dupont® 사의 Nafion® 시리즈(예 : Nafion® 212, Nafion® 117)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료전지란 무엇인가? 미래지향적 신재생 에너지원인 연료전지는 발전 시 연료의 연소반응을 이용하지 않아 기존의 내연기관보다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 표적인 친환경 에너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료전지란, 연료의 화학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연료전지의 구성 요소 중 핵심이 되는 소재로는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가 있으며 양극(cathode), 음극(anode),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으로 구성된다.
PEM의 특수한 구동조건로 인해 요구되는 성질은 무엇인가? PEM은 연료전지의 특수한 구동 조건 때문에 1) 열화학적 저항성, 2) 높은 기계적 강도, 3) 우수한 치수 안정성이 요구된다.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소재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 PFSA)가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Dupont® 사의 Nafion® 시리즈(예 : Nafion® 212, Nafion® 117)가 있다.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PEM 소재는 무엇인가? PEM은 연료전지의 특수한 구동 조건 때문에 1) 열화학적 저항성, 2) 높은 기계적 강도, 3) 우수한 치수 안정성이 요구된다.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소재로 과불소계 술폰화 이오노머(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 PFSA)가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Dupont® 사의 Nafion® 시리즈(예 : Nafion® 212, Nafion® 117)가 있다. PFSA는 생산단가가 비싸고, 연료전지 구동 시 고온저습 조건하에서 막의 내구성 및 높은 수소이온 전도성(proton conductivity)의 유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B. Stambouli and E. Traversa, "Fuel cells, an alternative to standard sources of energy", Renew. Sustain. Energy., 6, 297 (2002). 

  2. S. D. Knights, K. M. Colbow, J. St-Pierre, and D. P. Wilkinson, "Agingmechanisms and lifetime of PEFC and DMFC", J. Power Sources, 127, 127 (2004). 

  3. S. Kundu, M. W. Fowler, L. C. Simon, and S. Grot, "Morphological features (defects) infuel cell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J. Power Sources, 157, 650 (2006). 

  4. C. H. Lee, K. S. Lee, O. Lane, J. E. McGrath, Y. Chen, S. Wi, S. Y. Lee, and Y. M. Lee, "Solvent-assisted thermalannealing of di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random copolymers for lowhumidity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RSC Adv., 2, 1025 (2012). 

  5. F. Wang, M. A. Hickner, Y. S. Kim, T. A. Zawodzinski, and J. E. McGrath, "Direct polymerization of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random (statistical) copolymers : candidates for new proton exchange membranes", J. Membr. Sci., 197, 231 (2002). 

  6. M. J. Sumner, W. L. Harrison, R. M. Weyers, Y. S. Kim, J. E. McGrath, J. S. Riffle, A. Brink, and M. H. Brink, "Novel proton conducting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copolymers containing aromatic nitriles", J. Membr. Sci., 239, 199 (2004). 

  7. Y. Li, F. Wang, J. Yang, D. Liu, A. Roy, S. Case, J. Lesko, and J. McGrath,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ntrolled molecular weight di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co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s to proton exchange membranes", Polymer, 47, 4210 (2006). 

  8. Y. Li, R. A. VanHouten, A. E. Brink, and J. E. McGrath, "Purity characterization of 3,30-disulfonated-4,40-dichlorodiphenyl sulfone(SDCDPS) monomer by UV-visspectroscopy", Polymer, 49, 3014 (2008). 

  9. M. Sankir, V. A. Bhanu, W. L. Harrison, H. Ghassemi, K. B. Wiles, T. E. Glass, A. E.Brink, M. H. Brink, and J. E. McGrath,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3,3'-disulfonated-4,4'-dichlorodiphenyl sulfone (SDCDPS) monomer for proton exchangemembranes (PEM) in fuel cell applications", J. Appl. Polym. Sci., 100, 4595 (2006). 

  10. G. H. Li, C. H. Lee, Y. M. Lee, and C. G. Cho, "Preparationof poly (vinyl phosphate-b-styrene) copolymers and its blend with PPO as proton exchange membrane for DMFC applications", Solid State Ionics, 177, 1083 (2006). 

  11. J. Chen, L. S. Loo, and K. Wang, "A novel time lag method to measure the permeation of vapor-gas mixtures", J. Membr. Sep. Technol., 1, 94 (2012). 

  12. T. Yamaguchi, F. Miyata, and S. Naka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ith a pore-filling structure for a direct methanol fuel cell", Adv. Mater., 15, 1198 (2003). 

  13. S. E. Kang and C. H. Lee,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PTFE pore-filling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Membrane fuel cells", Membr. J., 25, 171 (2015). 

  14. M. Rikukawa and K. Sanui, "Proton-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based on hydrocarbon polymers", Prog. Polym. Sci., 25, 1463 (2000). 

  15. R. Nohe, K. Ledjef, M. Bauer, and R. Mtilhaupt, "Partially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 A versatile proton conducting membrane material formodern energy conversion technologies", J. Memb. Sci., 83, 211 (1993). 

  16. J. S. Lee, N. D. Quan, J. M. Hwang, S. D. Lee, H. Kim, H. Lee, and H. S. Kim,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s", J. Ind. Eng. Chem., 12, 175 (2006). 

  17. T. Yamaguchi, H. Zhou, S. Nakazawa, and N. Hara, "An extremely low methanol crossover and highly durable aromatic pore-filling electrolyte membran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Adv. Mater., 19, 592 (2007). 

  18. S. Y. Lee, H. J. Kim, S. Y. Nam, and C. H. Park, "Synthetic strategies for high performance hydrocarbon polymer electrolyteMembranes(PEMs) for fuel cells", Membr. J., 26, 1 (2016). 

  19. E. H. Kim, B. J. Chang, and J. H. Ki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ally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PTFE composite membranes for fuel cell", Membr. J., 22, 191 (2012). 

  20. Y. S. Kim and B. S. Pivovar, "Moving beyond mass-based parameters for conductivity Analysis of sulfonated polymers", Annu. Rev. Chem. Biomol. Eng., 1, 12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