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문재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Suaeda asparagoide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3 = no.78, 2016년, pp.1 - 10  

안호기 (백석문화대학교 외식산업학부) ,  조승균 (백석문화대학교 외식산업학부) ,  홍금주 (백석문화대학교 외식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나문재를 밀가루 중량에 대해서 0%, 2%, 4%, 6%로 대체 첨가하여 스펀지케이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비중은 나문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용적은 나문재 함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무게는 나문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굽기 손실은 나문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낮은 경도와 가장 높은 탄력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조직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구에 비해 실험군의 수치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향, 맛, 외관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2~4%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stitution of flour with Suaeda asparagoides(at the levels of 0%, 2%, 4%, and 6%) on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The specific gravity of batter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tent of Suaeda asparagoides increased. The specific volum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문재의 응용 범위를 다양화하고 상품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나문재 분말 첨가량을 각기 달리하여 스펀지케이크에 첨가하여 제조된 제품의 색도, 부피,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영양적으로 더 우수한 나문재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 제조의 최적조건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문재는 어떤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가? 이러한 염생식물에는 갈대, 나문재, 갯잔디, 칠면초, 퉁퉁마디 등이 있으며, 이 중 나문재(Suaeda asparagoides)는 필수 영양소인 단백질, 지방 등과 미량원소인 무기질, 인, 칼슘, 철, 나트륨 그리고 비타민 A, B1, B2, C 등 많은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이나 민간약초로도 사용되어 왔다(Lee BH et al 2002). 나문재는 쌍떡잎 식 물로서 종자 내에 배유층이 존재하지 않으며, 종자를 화피가 감싸고 있고, 결실기에 화피가 바깥 쪽으로 신장되어 오각형의 별모양의 형태를 보이 며, 적정 생육 염농도는 50~100 mM 정도로 판단 된다(Kwon HK et al 2015).
염생식물이란? 염생식물은 염에 내성을 갖고 자라는 식물로 염습지, 갯벌, 해안가 등에서 서식을 하며, 전 세 계적으로 약 5,000여종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생식물은 육상식물과 달리 염 스트레스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삼투압 조절을 통한 세포기능 보호 등 다양한 자기 방어의 일환으로 미네랄이나 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한 2차 대사산 물이 풍부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염생식물 중 나문재의 어린잎과 씨는 어떻게 사용되는가? 나문재는 쌍떡잎 식 물로서 종자 내에 배유층이 존재하지 않으며, 종자를 화피가 감싸고 있고, 결실기에 화피가 바깥 쪽으로 신장되어 오각형의 별모양의 형태를 보이 며, 적정 생육 염농도는 50~100 mM 정도로 판단 된다(Kwon HK et al 2015). 나문재는 잎이 솔잎처럼 좁고 가늘어서 일명 ‘갯솔나물’이라고도 하는 데 어린잎은 삶아서 나물로 먹고, 씨는 기름을 짜서 식용하거나 비료로 쓴다. 나문재는 잎 모양이 수송나물과 비슷하나, 키가 더 크고 가지가 많은 것이 다르다(Lee BH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ACC (1983).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8th ed. Method 10-15.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innesota. USA. 

  2. An HK, Hang GJ, Lee EJ (2010). Properties of sponge cake with added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Culture 25(1):47-53. 

  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Gaithersburg MD. USA. 

  5. Bennion EB, Bamford GST (1997). The Technology of Cake Making. 6th ed,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275-286, London.. 

  6. Chabot JF (1979).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3:279-286. 

  7. Gaines GS, Donelson JR (1985). Effect of varying flour protein content on angel food and highratio white ayer cake size and tenderness. Cereal Chem 62(1):63-66. 

  8. Hong GJ (2011). Bread Development and Usage Plan of Added Halophyte Suaeda glauca and Spergularia marina. Kyonggi University Ph. D. 

  9. Jeon SM, Ahn JY, Park SN (2007). A study on the stability test for the cream containg Suaeda asparagoides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33(4):231-238 

  10. Jeong HC, Yoo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by black soybean powder of different ratio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909-915. 

  11. Kang CS (2007).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Gastrodiae rhizoma powder.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3(4):211-219. 

  12. Kim HS, Lee CH, Oh JW, Lee JH, Lee S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lotus leaf and lotus root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9):1285-1291. 

  13. Kim MK, Lee EJ, Kim KH (2014). Effects of Helianthus tuberosus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sponge cakes. J Food Culture 29(2):195-204. 

  14. Kim SH, Lee WK, Choi CS, Cho S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with added acorn jelly powder and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3):369-375. 

  15. Ksouri R, Ksouri WM, Jallali I, Debez A, Magne C, Hiroko I, Abdelly C (2012). Medicinal halophytes:potent source of health promoting biomolecules with medical, nutraceutical and food applications. Crit Rev Biotechnol 32(4):289-326. 

  16. Kwon HK, Jun HJ, Pack JS, SHin SH, Jeong JH, Lee SJ, Chung NJ (2015). Seed germination and seeding growth response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salt concentration. Korean Society of Breeding Science Symposium 2015(7):271. 

  17. Kwon MS, Lee M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rice bran powder.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1(3):168-180. 

  18. Lee BH, Moon YH, Jeong BC, Kim KS, Ryu SN (2002). Growth characteristics and it's potentiality of use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Miq. Korean J Int Agri 14(2):87-93. 

  19. Lee HJ (2010). Evalu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mugwor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9(1):95-102. 

  20. Lee JH, Heo SA (201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ponge cakes incorporated with Ecklonia cava powder. Korean J Soc for Food Eng 14(3):222-228. 

  21. Lee JH, Kwak EJ, Kim JS, Lee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y Sci 23(1):83-8. 

  22. Lee JH, Son SM (2011).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Food Engineering Progress 15(4):376-381. 

  23. Lee JS, Seong YB, Jeong BY, Yoon SJ, Lee IS, Jeong Y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lack garlic powder add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1222-1228. 

  24. Lee SB, Lee JH (2013). Quality of sponge cakes supplemented with cinnam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4):650-654. 

  25. Lim E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Laminaria japonia powder. Korean J Food & Nutr 25(4):922-929. 

  26. Lim EJ, Lee HS, Lee YH (2010).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broccoli(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ck) Powder. J East Asian Dietary Life 20(6):873-880. 

  27. Min JG, Son KT, Kim JH, Kim TJ, Park JH (2002).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eaf extracts. Nutraceut Food 7(3):261-264. 

  28. Nam YK, Baik JA, Chiang MH (2007). Effects of different NaCl comcentrations of the growth of Suaeda asparagoides, Suaeda maritima and Salicornia herbacea. J Soil Sci Fert 40(5):349-353. 

  29. Oh SC, Nam HY, Cho JS (2002).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as affected by addition of Dioscorea japonica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185-192. 

  30.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 II, Sosland Pub. Co. Manhattan Kansas, p 891-895. 

  31. Seo EO, Ko SH, Jeong HC (2015). Researc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red ginseng powder.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1(2):130-140. 

  32. Shin GM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citrus peel powder.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21(5):88-97. 

  33. Son KH, Park DY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prepar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and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977-986. 

  34. Yang HJ, Park SN (2008). Component analysis of Suaeda aspargoide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34(3):157-165. 

  35. Yoon KH, Kim M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chiffon-cake containing added bamboo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4(5):552-560. 

  36. Yoon SB, Hwang SY, Chun DS, Kong SK, Kang KO (2007).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1):20-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