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유산균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4 = no.192, 2016년, pp.468 - 474  

김용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해진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식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종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동섭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어성초의 효능을 더욱 증가시켜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하고자,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와 Lactobacillus sakei 383 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척도로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는데 10일간의 발효에서 두 균주 모두 발효 5일차에, 발효온도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가 30℃에서 71.67±0.52%, Lactobacillus sakei 383는 35℃에서 70.11±0.67%로 각각 최대의 활성이 나타났으며, 두 가지 균 모두 대조군인 미발효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약 20% 상승하였다. 총 페놀함량에서는 대조군이 35.90±0.61 mg/g 함유한 반면에 발효한 후 두 균주 모두 약 10 mg/g씩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대조군의 21.69±1.52 mg/g에 비해 약 6 mg/g 이상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발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해서는 미약하게 증가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어성초의 유산균 발효물이 발효하지 않은 어성초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더욱 높아,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식품의 원료로써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to increas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Houttuynia cordata Thunb. was fermented by two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통적으로, 발효는 가공의 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미생물을 이용해 향, 풍미 등을 증대시키거나, 초산과 알콜 발효를 이용해 저장성을 증가시키거나, 독성물질을 제거하고 생리활성물질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6].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어성초를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항산화 활성을 더욱 증대시킨 물질을 생성시키고자, 유산균인 Lactobacillus sakei 383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를 이용하여 어성초를 발효하였으며, 발효 물의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s, B. N., Shigenaga, M. K. and Hagen, T. M. 1993. Oxidant,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2. Bae, E. A., Han, M. J., Kim, E. J. and Kim, D. H. 2004. Transformation of ginseng saponins to ginsenoside Rh2 by acids and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ir transformations. Arch. Pharm. Res. 27, 61-67.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0. 

  4. Cha, J. Y., Jeon, B. S., Park, J. W., Moon, J. C. and Cho, Y. S. 2004. Effect of fermented compositions containing Inonotus obliquus with Houttuynia cordata on growth of human AGS gastric and HCT-15 colon cancer cells. J. Kor. Soc. Appl. Biol. Chem. 47, 202-207. 

  5. Cha, J. Y., Kim, S. Y., Jeong, S. J. and Cho, Y. S. 1999. Effects of hesperetin and naringenin on lipid concentration in oratic acid treated mice. Kor. J. Life Sci. 9, 389-394. 

  6. Chun, E. Y. 1997. Partial purification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and characterization of its immunological activities in huma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7. Droge, W. 2001.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8.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96-968. 

  9. Ha, J. H., Jeong, M. H., Seo, Y. C., Yong, C. W., Kim, J. S., Kim, H. H., Ahn, J. H. and Lee, H. 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Kor. J. Med. Crop Sci. 18, 421-428. 

  10. Jeong, H. J., Park, S. B., Kim, S. and Kim, H. 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ctions. J. Kor.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11. Jeong, H. R., Kwak, J. H., Kim, J. H., Choi, G. N., Jeong, C. H. and Heo, H. 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 culinary hub). Kor. J. Food Preserv. 17, 720-726. 

  12. Ju, J. C., Shin, J. H., Lee, S. J., Cho, H. S. and Sung, N. 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Kor. J. Soc. Food Sci. Nutr. 35, 7-14. 

  13. Jun, D. H., Cho, W. A., Lee, J. B., Jang, M. J., You, M. S., Park, J. Y., Kim, S. H. and Lee, J. T. 2014. Antioxidant activity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et Z.) bur fermented by Lactobacillus sakei. J. Life Sci. 24, 1193-1199. 

  14. Kawaguchi, K., Mizuno, T., Aida, K. and Uchino, K.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02-104. 

  15. Kim, K. Y., Chung, D. O. and Chung, H. J. 1997.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Kor. J. Food Sci. Technol. 29, 400-407 

  16. Lee, E. J. and Bae, J. 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 J. Food Nutr. 24, 204-209. 

  17. Lee, J. M., Chang, P. S. and Lee, J. H. 2007. Comparison of oxidative stability for the thermally-oxidezed vegetable oils using a DPPH method. Kor. J. Food Sci. Technol. 39, 133-137. 

  18. Lee, K. D., Kim, J. S., Bae, J. O. and Yoon, H. 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 Soc. Food Sci. Nutr. 21, 17-22. 

  19. Lee, S. C. 1992. A study on in vitro and pepsin digestibility of Robinia Pseudo-acacia Pueraria Thunbergiana and Vicia angustifolia.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 Lee, S. E., Kim, Y. S., Kim, J. E., Bang, J. K. and Seong, N. S.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i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Kor. J. Med. Crop Sci. 12, 321-327. 

  21. Lee, S. H., Kang, K. M., Park, H. J. and Baek, L. M. 200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use as functional materials in seasoning sauce for pork meat. Kor. J. Food Sci. Technol. 41, 100-105. 

  22. Liu, R. H. 2003. Health benefits of fruits and vegetables are from additive and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ytochemicals. Am. J. Clin. Nutr. 78, 517-520. 

  23.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4. McCord, J. M. and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er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 6049-6055. 

  25. Mello, B. C. B. S., Petrus, J. C. C. and Hubinger, M. D. 2010. Concentration of flavono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aqueous and ethanolic propolis extracts through nanofiltration. J. Food Engineering 96, 533-539. 

  26. Park, S. J., Seong, D. H., Park, D. S., Kim, S. S., Gou, J., Ahn, J. H., Yoon, W. B. and Lee, H. Y. 2009.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Kor. J. Soc. Food Sci. Nutr. 38, 396-400. 

  27. Son, H. S., Kim, H. S., Kwon, T. B. and Ju, J. S. 1992. Isolation, purification and hypotensive effect of bioflavonoids in Citrus sinensis. Kor. J. Soc. Food Nutr. 21, 136-142. 

  28. Song, H. S., Eom, S. H., Kang, Y. M., Choi, J. D. and Kim, Y. M. 2011.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Kor. J. Aquat. Sci. 44, 111-117. 

  29. Song, J. H., Kim, M. J., Kwon, H. D. and Park, I. 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al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root. J. Kor. Soc. Food Sci. Nutr. 32, 1053-1058. 

  30. Yoo, K. H. and Jeong, J. M., 2009.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8, 1691-16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