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바람장 생성을 위한 수치 모델의 상층기상 입력 자료로 윈드프로파일러 자료의 적용 가능성과 유용성을 조사했다. 10개 지점의 윈드프로파일러 자료와 기상 예측 모델 WRF의 결과를 기상진단 모델 CALMET에 입력하여 산출한 바람장을 8개 지역에서 관측된 라디오존데 자료와 통계적으로 비교 검증하였다. WRF 바람장 모의 결과를 CALMET에 적용하여 모의한 수평 풍속에 비해 1시간 간격의 윈드프로파일러 자료를 CALMET에 적용하여 모의한 수평 풍속이 평균 제곱근 오차 1.5 m/s 내에서 관측 결과와 일치하고 특히 연안 지역에서 해풍과 같은 국지적인 바람 변화를 잘 모의하였다. 풍향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50^{\circ}{\sim}70^{\circ}$로써 지형의 영향으로 오염된 윈드프로파일러의 풍향 오차에 기인한다. 윈드프로파일러 자료를 CALMET에 적용하면 대부분의 고도에서 상대적으로 정확한 바람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연안 지역의 기상뿐만 아니라 안전 환경 감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applicability and usefulness of windprofiler input data were investigated to generate three dimensional wind field. A logical diagnostic model CALMET with windprofiler data at ten sites and with weather forecasting model WRF output was evaluated by statistically comparing with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윈드프로파일러 자료의 유용성과 시공간적 고해상도를 고려하여, 기상예측모델 결과와 지상 및 상층 기상 자료를 결합하여 3차원 바람장을 산출하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지상과 상층 기상 자료만을 CALMET의 입력 자료로 이용하여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윈드프로파일러 자료의 적용 가능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운용되는 윈드프로파일러 네트워크는 세계에서 가장 고밀도이며 생산되는 자료도 우수하여, 이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수치 모델의 입력 자료로 적합할 것이라는 기대는 본 연구의 배경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경계층 내의 3차원 바람장을 정확하게 모의하기 위해 개발된 것은 무엇인가? 컴퓨터 성능의 발달과 함께 대기경계층 내의 3차원 바람장을 정확하게 모의하기 위해 종관규모 대기운동을 고려하고 중규모 기상 예측 모델과 상세 영역에서 지표 구조물과 지형을 포함하는 진단 모델이 개발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반도는 동북고 남서저의 큰 산맥들이 북부와 동부에 치우쳐 있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해안선이 길고 복잡하며 굴곡이 심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안가에서 매우 복잡한 바람장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한반도는 동북고 남서저의 큰 산맥들이 북부와 동부에 치우쳐 있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해안선이 길고 복잡하며 굴곡이 심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규모 공단이 위치하고 있는 해안가에서는 육지-바다 간의 온도차에 의한 해륙풍의 효과로 매우 복잡한 바람장이 나타나기 때문에 연안 도시 지역에서 대기 오염 물질의 분포는 해풍과 같은 국지풍에 의하여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Kawamura, 1985), 연안지역에 정박한 선박으로부터 발생한 대기 오염물질은 해륙풍 순환을 따라 수송된다(Lee et al., 1999).
라디오존데 자료와 달리 윈드프로파일러 자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예측 모델과 진단 모델의 입력 자료 또는 검증 자료로 사용되는 라디오존데 자료는 하루에 2회(0900 LST, 2100 LST) 비양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시간 분해능과 공간 분해능이 매우 떨어진다. 반면에 윈드프로파일러 자료는 연직 수 십 미터의 공간 분해능과 수 분의 시간 분해능으로 바람의 연직 변화를 제공할 수 있어서 위험기상을 분석하거나 수치예보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Ishihara et al., 2006; Holle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uce, J., C. Daniel, G. Kemal and A. Kaduwela(2006), Comparison of ozone simulations using MM5 and CALMET/MM5 hybrid meteorological fields for July/August 2000 CCOS episode, Atmospheric Environment, Vol. 40, pp. 2812-2822. 

  2. Byon, J. Y., Y. J. Choi and B. K. Seo(2010), Characteristics of a Wind Map over the Koean Peninsula Based on Mesoscale Model WRF, Atmosphere, Vol. 20, No. 2, pp. 195-210. 

  3. Chandrasekar, A., R. C. Philbrick, R. Clark, B. Doddridge and P. Georgopoulos(2003),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computationally efficient MMT/CALMET system for developing wind field inputs to air quality models,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7, pp. 3267-3276. 

  4. Dougals, S. G. and R. C. Kessler(1988), User's guide to the diagnostic wind model (Version 1.0), Systems Applications Inc., San Rafel, CA. 

  5. Dudhia, J.(1989), Numerical Study of Convection Observed during the winter monsoon experiment using a mesoscale two-dimensional model,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46, No. 20, pp. 3077-3107. 

  6. Holleman, I., H. van Gasteren and W. Bouten(2008), Quality assessment of weather radar wind profiles during bird migration, J. Atmos. Oceanic Technol., Vol. 25, pp. 2188-2198. 

  7. Holtslag, A. A. M. and A. P. Van Ulden(1983), A simple scheme for daytime estimates of the surface fluxes from routine weather data, J. Appl. Meteorol., Vol. 22, pp. 517-529. 

  8. Hong, S. Y. and J. O. J. Lim(2006), The WRF single-moment 6-class microphysics scheme (WSM6),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42, No. 2, pp. 129-151. 

  9. Ishihara, M., Y. Kato, T. Abo, K. Kobayashi and Y. Izumikawa(2006),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operational wind profiler network of the Japan Meteorological Agency,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Vol. 84, pp. 1085-1096. 

  10. James, O. P. and W. B. Roger(1998), Analyses of the CALMET/CALPUFF modeling system in a screening mode, Research Triangle Park, NC 27711. 

  11. Jennifer, B. and S. Joe(2011), Generic guidance and optimum model settings for the calpuff modeling system for inclusion into the 'approved modes for the modeling and assessments of air pollutants in NSW, Australia', NSW office of environment and heritage, Sydney Australia, pp. 1-63. 

  12. Jeong, J. H., S. Y. Lo, S. K. Song and Y. K. Kim(2010), The application of wind profiler data and its effects on wind distributions in two different coastal area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9, No. 6, pp. 689-701. 

  13. Joseph, S. S., R. R. Francoise, E. F. Mark and J. Y. Robert(2000), A user's guide for the calmet meteorological model(Version 5), Earth Tech, Inc., 196 Baker Avernue, Concord, MA 01742, pp. 1-332. 

  14. Jung, S. H. and G. W. Lee(2010),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Conditions related to Radar Beam Propagating using Radiosonde Data in 2005-2006,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31, No. 6, pp. 584-599. 

  15. Kawamura, T.(1985), Recent change of atmosphere environment in Tokyo and its surrounding area,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Vol. 58, No. 1, pp. 83-94. 

  16. Kim, C. H. and J. G. Jhun(1992),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three-dimensional land and sea breezes under synoptic flows over south Korea, J. korean meteor. soc., Vol. 28, No. 2, pp. 165-181. 

  17. Kim, K. H., M. S. Kim, S. W. Seo, P. S. Kim, D. H. Kang and B. H. Kwon(2015), Quality evaluation of wind vectors from UHF wind profiler using radiosonde measure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4, No. 1, pp. 133-150. 

  18. Kim, K. H., P. S. Kim, M. S. Kim, D. H. Kang and B. H. Kwon(2016), Improvement in Wind Vector of UHF Wind Profiler Radar through Removing Ground Echo,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5, No. 1, pp. 41-56. 

  19. Kim, M. S., B. H. Kwon and D. H. Kang(2014), Estimation of atmospheric turbulent fluxes by the bulk transfer mode over various surfac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3, No. 6, pp. 1199-1211. 

  20. Kim, S. T.(2003), A study of fine-scale wind field generation method using MM5 and CALMET in Korea peninsula, Anyang University Master of Science degree, pp. 0-50. 

  21. Kwon, B. H.(2005), Turbulence of the coastal atmospheric surface layer and structure of the coastal atmospheric boundary layer,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Vol. 17, No. 3, pp. 404-412. 

  22. Kwon, B. H., B. Benech, D. Lambert, P. Durand and A. Druihet(1998), Structure of the marine atmospheric boundary layer over an oceanic thermal front: SEMAPHORE experi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3, No. C11, pp. 25159-25180. 

  23. Lee, C. B. and J. C. Kim(2009), Evaluation of the calpuff model using improved meteorological fields in complex terrain of east sea coas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5, No. 1, pp. 15-25. 

  24. Lee, H. W., D. H. Kim, S. H. Lee, M. J. Kim, S. Y. Park and H. G. Kim(2010), Skillful wind field simulation over complex terrain using coupling system of atmospheric prognostic and diagnostic model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9, No. 1, pp. 27-37. 

  25. Lee, H. W., Y. K. Kim, G. M. Won and I. S. Cho(1999), An emission of pollutants including ship source in the Pusa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15, No. 5, pp. 587-598. 

  26. Maruri, M., J. A. Romo and L. Gomez(2014), Aspects of quality control of wind profiler measurements, Atmos. Meas. Tech., Vol. 7, pp. 135-148. 

  27. Mlawer, E. J., S. J. Taubman, P. D. Brown, M. J. Iacono and S. A. Clough(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 Geophys. Res., Vol. 102, No. D14, pp. 16663-16682. 

  28. Robert, E. and J. Barbre(2012), Quality control algorithm for the Kennedy Space Center 50-MHz Doppler radar wind profiler winds database, J. Atmos. Oceanic Technol., Vol 29, pp. 1731-1743. 

  29. Yim, S. H. L., J. C. Fung, A. K. H. Lau and S. C. Kot(2007), Developing a high-resolution wind map for a complex terrain with a coupled MM5/CALMET system, J. Geophys. Res., Vol. 112, D051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