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3~2015년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수온변동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Ulleung Warm Eddy during 2013~2015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2 no.2, 2016년, pp.205 - 211  

최용규 (동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수온 변동을 보기 위하여, 동해중부해역(동해항-독도의 지선)에서 2013년 7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소모성 수온기록계(XBT)와 국립수산과학원의 정선 해양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완전한 형태를 볼 수 없었을지라도, 조사 단면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특징을 잘 나타내었다. 그 결과, 수온의 변동계수는 평균 수온이 $3{\sim}4^{\circ}C$의 범위를 가지는 250 m 깊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50 m 층의 수온 변동계수의 수평적 분포는 울릉도와 한국 동해안 사이의 해역에서 가장 컸으며, 이는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핵이 아닌 주변부 해역이었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한국 동해 연안에서 남북 혹은 동서로 움직였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주로 울릉도 남서 해역에 존재하였으며, 남북 방향으로의 이동성이 동서 방향으로의 이동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250 m 깊이에서 수온의 변동계수가 크게 나타난 것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하층부에 있는 동해중층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하부 깊이에서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 주변부와 동해중층수와의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Expendable Bathythermograph (XBT) observation and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during July 2013 to July 2015, we examined the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Ulleung Warm Eddy (UWE) in the East Sea. The UWE was always shown during th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n, it would be a meaningful work to know an aspect of warm eddy, especially the interaction of UWE and ESIW in the mid-dep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warm eddy in relation to the ESIW in the mid-depth.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 H., K. Shim and H. R. Shin(1994), On the Warm Edd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the Japan Sea), J. Korean Soc. Oceanogr., Vol. 29, No. 2, pp. 152-163. 

  2. Chang, K. I., C. I. Zhang, C. Park, D. J. Kang, S. J. Ju, S. H. Lee and M. Wimbush(2016), Oceanography of the East Sea (Japan Sea), ISBN 978-3-319-22719-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Switzerland, p. 460. 

  3. Cho, K. D., T. J. Bang, T. B. Shim and H. S. Yu(1990), Three Dimensional Structure of the Ullung Warm Lens, Bull. Korean Fish. Soc. Vol. 23, No. 4, pp. 323-333. 

  4. Choi, Y. K. and K. D. Cho(1997), Distribut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 November , J. Korean Fish. Soc., Vol. 30, No. 1, pp. 119-127. 

  5. Gordon, A. L., C. F. Giulivi, H. H. Furey, A. Bower and L. Talley(2002), Japan/East Sea Intrathermocline Eddies, J. Phys. Oceanogr., Vol. 32, pp. 1960-1974. 

  6. Isoda, Y. and S. Saitoh(1993), The Northward Intruding Eddy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gr., Vol. 49, pp. 443-458. 

  7. Kim, D. S., K. H. Kim, J. Shim and S. Yoo(2007), The Effect of Anticyclonic Eddy on Nutrients and Chlorophy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Vol. 12, No. 4, pp. 280-286. 

  8. Kim, E., Y. J. Ro and Y. H. Youn(2006), Structure of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2003-2005 Profiles by the ARGO floats around the Ulleung-do area in the East Sea,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Vol. 11, No. 1, pp. 21-30. 

  9. Kim, K., K. R. Kim, J. Y. Chung, H. S. Yoo and S. G. Park(1991),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Ulleung Basin, J. Oceanol. Soc. Korea, Vol. 26, No. 1, pp. 5. 

  10. Kim, Y. G. and K. Kim(1999), Intermediate Waters in the East/Japan Sea, J. Oceanogr., Vol. 55, pp. 123-132. 

  11. Lie, H. J., S. K. Byun, I. Bang and C. H. Cho(1995), Physical Structure of Eddi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J. Korean Soc. Oceanogr., Vol. 30, No. 3, pp. 170-183. 

  12. Shin, C. W., S. K. Byun, C. Kim and Y. H. Seung(1998), Southward Intrus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to the Ulleung Basin: Observations in 1992 and 1993, J. Korean Soc. Oceanogr., Vol. 33, No. 4, pp. 146-156. 

  13. Shin, H. R., S. K. Byun, C. Kim, S. Hwang and C. W. Shin(1995),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of Warm Eddy Observed to the Northwest of Ullungdo in 1992, J. Korean Soc. Oceanogr., Vol. 30, No. 1, pp. 39-56. 

  14. Shin, H. R., C. W. Shin, C. Kim, S. K. Byun and S. C. Hwang(2005), Movement and structural variation of warm eddy WE92 for three years in the Western East/Japan Sea, Deep-Sea Res. II, Vol. 52, pp. 1742-176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