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위성이 관측한 해수면 높이 자료를 활용하여 울릉분지 일대에서 발생하는 냉수성 소용돌이들을 1993년부터 2015년까지 Winding-Angle 방법을 이용하여 탐지하고 분류하였다. 냉수성 소용돌이들 중에서 동한난류 사행의 첫 번째 골에서 형성되어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의 주경로로부터 남서쪽으로 떨어져 나온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Dokdo Cold Eddy, DCE)를 구분하였고, 그 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이 관측한 수온과 염분 자료와 Hybrid Coordinate Ocean Model의 수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DCE 중심 근처에서 수온과 유속의 수직구조를 살펴보았다. DCE는 23년 동안 총 112개 발생하였고, 이 중 39개의 DCE가 서쪽으로 이동하여 한국 동해안 근처 연안에 도달하였으며, 평균 이동 거리는 250.9 km, 평균 수명은 93일, 평균 이동 속도는 3.5 cm/s였다. 나머지 73개의 DCE는 동쪽으로 이동하거나 생성된 위치 주변을 맴돌다가 소멸하였다. DCE 아래 50~100 m에서 수온(T)과 염분(S)이 주변보다 낮아(T < $5^{\circ}C$, S < 34.1) 등온선들과 등염선들이 돔(dome, 반구형으로 된 지붕 모양) 구조를 보였다. 또한 DCE의 중심에서 평균 38 km 떨어진 곳에서 10 cm/s 이상의 해류가 표층부터 수심 300 m까지 반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흐른다. 동한난류가 이안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울릉도 북쪽에서 울릉도를 끼고 시계방향으로 흘러서 사행을 시작하고, 울릉도 동쪽에 위치한 사행의 첫 번째 골이 남서쪽으로 깊이 파고들면, 해류사행의 마루와 마루가 연결되고 골 부분이 독립적으로 떨어져 나와 반시계방향 순환을 형성하면서 DCE가 생성된다. DCE가 서쪽으로 이동할 때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Ulleung Warm Eddy, UWE)의 가장자리를 따라 우회하여 시계방향으로 U 모양을 그리며 한국 동해안 쪽으로 이동한다. DCE가 연안 부근에 도달하면, 동한난류는 냉수성 소용돌이 보다 더 남쪽에서 이안하고, 냉수성 소용돌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우회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연안에서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가 약화되고 약 30일 후에 소멸하면, 동한난류가 다시 한국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흘러서 본래의 경로를 회복한다. DCE는 열과 염을 북쪽에서 남쪽으로 꾸준히 수송하고 울릉분지 남서쪽에 냉수해역 형성에 도움을 주며, 양의 상대와도를 가지고 와서 동한난류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쪽으로 이동하는 DCE 중에서 일부는 연안 냉수성 소용돌이와 병합되어 울릉분지 서쪽에 넓고 긴 냉수해역을 만들고 반시계 방향의 순환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병합된 소용돌이는 북쪽에 UWE를 남쪽에 동한난류로부터 분리시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ld eddies around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were identified from satellite altimeter sea level data using the Winding-Angle method from 1993 to 2015. Among the cold eddies, the Dokdo Cold Eddies (DCEs), which were formed at the first meandering trough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

주제어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소용돌이의 역할은? 해양 소용돌이(eddy)의 변동성은 크기와 기간의 범위에 따라 바다의 여러 가지 과정(process)에 영향을 준다. 소용돌이는 열,염, 운동량, 그리고 영양분 등 물질을 운반하고 혼합하며 에너지를 전달하여 대양에서의 순환과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해양의 소용돌이를 탐색하고, 소용돌이 구조와 이동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져왔다(Wyrtki et al.
동한난류의 사행에 의해 형성되는 소용돌이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면? 동한난류의 사행에 의해 형성되는 소용돌이는 크게 UWE와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Dokdo Cold Eddy, DCE)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UWE는 울릉도 주변에서 시계방향의 순환 형태로 나타나는 소용돌이이며, 소용돌이 내부에 난수를 포함하고 있어 해수면이 주변과 비교하여 높고, DCE는 독도 남서쪽에서 관측되는 반시계방향의 순환이며, 소용돌이 내부에 주변보다 수온이 낮은 냉수를 포함하고 있어 해수면 높이가 주변과 비교하여 낮다(Kang and Kang, 1990; Morimoto et al.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의 순환 방향 등 특징은? 동한난류의 사행에 의해 형성되는 소용돌이는 크게 UWE와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Dokdo Cold Eddy, DCE)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UWE는 울릉도 주변에서 시계방향의 순환 형태로 나타나는 소용돌이이며, 소용돌이 내부에 난수를 포함하고 있어 해수면이 주변과 비교하여 높고, DCE는 독도 남서쪽에서 관측되는 반시계방향의 순환이며, 소용돌이 내부에 주변보다 수온이 낮은 냉수를 포함하고 있어 해수면 높이가 주변과 비교하여 낮다(Kang and Kang, 1990; Morimoto et al., 2000;Gord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ruda, W.Z., D. Nof and J.J O'Brien, 2004. Does the Ulleung eddy owe its existence to ${\beta}$ and nonlinearities?. Deep-Sea Res. I, 51(12): 2073-2090. 

  2. Chaigneau, A., A. Gizolme and C. Grados, 2008. Mesoscale eddies off Peru in altimeter records: Identification algorithms and eddy spatio-temporal patterns. Prog. Oceanogr., 79: 106-119. 

  3. Chaigneau, A., G. Eldin and B. Deqitte, 2009. Eddy activity in the four major upwelling systems from satellite altimetry (1992-2007). Prog. Oceanogr., 83: 117-123. 

  4. Chang, K.I., W.J. Teague, S.J. Lyu, H.T. Perkins, D.K. Lee, D.R. Watts, Y.B. Kim, D.A. Mitchell, C.M. Lee and K. Kim, 2004. Circulation and current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overview and review. Prog. Oceanogr., 61: 105-156. 

  5. Chelton, D.B. and M.G. Schlax, 2003. The accuracies of smoothed sea surface height fields constructed from tandem altimeter datasets. J. Atmos. Oceanic Technol., 20: 1276-1302. 

  6. Choi, B.J., D.B. Haidvogel and Y.K. Cho, 2004. Nonseasonal sea level variations in the Japan/East Sea from satellite altimeter data. J. Geophy. Res., 109: C12028, doi:10.1029/2004JC002387. 

  7. Choi, B.J., D.S. Byun and K.H. Lee, 2012. Satellite-altimeter-derived East Sea Surface Currents: Estimation, Description and Variability Pattern. The Sea, 17: 225-242. 

  8. Gordon, A.L., C.F. Giulivi, C.M. Lee, A. Bower, H.H. Furey and L. Talley, 2002. Japan/East Sea Intra-thermocline eddies. J. Phys Oceanogr., 32: 1960-1974. 

  9. Hu, J., J. Gan, Z. Sun, J. Zhu and M. Dai, 2011. Observed three dimensional structure of a cold eddy in the southwestern South China Sea. J. Geophys. Res., 116: C05016, doi:10.1029/2010JC006810. 

  10. Kang, H.E and Y.Q. Kang, 1990.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Ulleung Warm Lens. Bull. Korean Fish. Soc., 23: 407-415. 

  11. Kim, Y.H., K.I. Chang, J.J. Park, S.K. Park, S.H. Lee, Y.G. Kim, K.T. Jung and K. Kim, 2009. Comparison between a reanalyzed product by 3-dimensional variational assimilation technique and observations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Japan Sea. J. Marine Syst., 78: 249-264. 

  12. Lee, D.K and P.P. Niller, 2005. The energetic surface circulation patterns of the Japan/East Sea. Deep-Sea Res. II, 52: 1547-1563. 

  13. Lee, D.K and P.P. Niller, 2010. Eddie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Deep-Sea Res. I, 57: 1233-1242, doi:10.1016/j.dsr.2010.06.002. 

  14. Lee, S.H., D.S. Byun, B.J. Choi and E. Lee, 2009. Estimation of the surface currents using mean dynamic topography and satellite altimeter data in the East Sea. The Sea, 14: 195-204. 

  15. Mitchell, D.A., M. Wimbush, D.R. Watts and W.J. Teague, 2004. The residual GEM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the southwestern Japan/East Sea. J. Atmos. Oceanic Technol., 21: 1895-1909. 

  16. Mitchell, D.A., D.R. Watts, M. Wimbush, K.L. Tracey, W.J. Teague, J.W. Book, K.I. Chang, M.S. Suk and J.H. Yoon, 2005a. Upper circulation patterns in the Ulleung Basin. Deep-Sea Res. II, 52: 1617-1638. 

  17. Mitchell, D.A., W.J. Teague, M. Wimbush, D.R. Watts and G.G. Sutyrin, 2005b. The Dok Cold Eddy. J. Phys. Oceanogr., 35: 273-288. 

  18. Mittelstaedt, E., 1987. Cyclonic cold-core eddy in the eastern North Atlantic. I. Physical Description. Marine Ecology, 39: 145-152. 

  19. Morimoto, A., T. Yanagi and A. Kaneko, 2000. Eddy field in the Japan Sea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ric data. J. Oceanogr., 56: 449-462. 

  20. Pascual, A., Y. Faugere, G. Larnicol and P.-Y. Le Traon, 2006. Improved description of the ocean mesoscale variability by combining four satellite altimeters. Geophys. Res. Lett., 33: doi:10.1029/2005GL024633. 

  21. Pichevin, T., H. Steven and F. France, 2009. Eddy Formation and Shedding in a Separating Boundary Current. J. Phys. Oceanogr., 39: 1921-1934. 

  22. Richardson, P.L., 1983. Eddy kinetic energy in the North Atlantic Ocean from surface drifters. J. Geophys. Res., 88: 4355-4367. 

  23. Sadarjoen, I.A. and F.H. Post, 2000. Detection, quantification, and tracking of vortices using streamline geometry. Comput. Graphics, 24: 333-341. 

  24. Saraceno, M., P.T. Strub and P.M. Kosro, 2008. Estimates of sea surface height and near-surface alongshore coastal currents from combinations of altimeters and tide gauges. J. Geophys. Res., 113: C11013, doi:10.1029/2008JC004756. 

  25. Wyrtki, K., L. Magaard and J. Hager, 1976. Eddy energy in the oceans. J. Geophys. Res., 81: 2641-26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