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교 캠퍼스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안 연구
The Study of Investigating the Way Applying a School Garden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1, 2016년, pp.39 - 53  

문병찬 (광주교육대학교) ,  김용택 (광주교육대학교 목포부설초등학교) ,  임형선 (광주교육대학교 목포부설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applying a school garden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on the school learning program. For this study, the 27s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the 5th and 6th grad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the 10units lessons programs what were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캠퍼스에서 학생들이 교과연계 창의적 체험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교 캠퍼스가 창의적 체험활동을 포함한 과학수업을 위한 학습장(learning field)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지 탐색해보는 것을 연구목표의 중심에 두었다.
  • 본 연구는 학교캠퍼스를 교수/학습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차원에서 약 3개월 동안 10차시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보았다. 개발 된 프로그램의 핵심소재는 ‘암석’이었으며, 암석을 중심소재로 선정한 이유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은 초등교육과정에서 ‘암석’을 학습으로 경험하였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초등학교 캠퍼스에는 암석들이 양적으로 풍부할 뿐 만 아니라 암석을 이용한 여러 가지 설치물들이 분포하며, 일상생활에서 암석이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암석이 지니고 있는 물질로서의 유용한 가치에 대해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는 가정을 했기 때문이다.
  •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실제로 본 프로그램을 설계함에 있어서 핵심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캠퍼스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높이는 것과 학교 밖으로 나가지 않고, 학교캠퍼스에서 교과연계 체험활동을 교수/학습으로 유의미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학생의 진술한 내용, 즉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우리학교에서 모르고 지나갔던 여러 가지 암석들을 다른 눈으로 보게 되었고, 앞으로의 내 진로에 큰 도움을 줄 거라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학기제는 무엇인가?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2016년부터 중학교에서는 정규교육과정의 운영에서 한 학기 동안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토론․실습 등 학생 참여 형으로 수업을 개선하고,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교육부,2015).
우리나라 100대 기업에서 선정한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한편, 2009년 12월에 교육부는 우리나라 100대 기업에서 선정한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즉 창의성(71%), 전문성(65%), 도전정신(59%), 도덕성(52%), 팀워크(43%) 등(서울시교육청, 2011)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창의․인성교육을 핵심 요소로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공포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교육을 통해 단편적인 지식의 습득이나 축적보다는 지식의 활용성과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교육목표로 강조함과 동시에 교육과정에서 목표하는 인재를 양성함에 있어서 과거 교실수업의 형태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체험과 학습을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교수/학습의 새로운 형식으로 체계화하여 이를 정규교육과정에 포함하였다.
자유학기제를 시행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교육부가 밝힌 바와 같이 자유학기제의 시행배경은 OECD 등을 중심으로 협동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 21세기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혁신의 필요성과 협력적 상황에서 개인의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기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력 평가, 그리고 청소년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교육부, 2015). 이는 학교교육에서 그동안 강조해 왔던 교과지식에 대한 학습 측면 외에, 미래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역량과 협력 그리고 개인의 진로탐색이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유의미한 학습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역사회,그리고 산업현장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학교 밖 공간들이 학습활동의 장(learning field)으로 활용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개정교육과정 고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고시 제 2009-41 호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방법.평가체제 혁신방안 

  4. 교육부 (2015).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p. 58. 

  5. 서울시교육청 (2011). 창의, 인성 중심의 학력신장 방안(http://www.blog.naver.com). 

  6. 조명철 (2015). 초등과학에서 야외 지질학습장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 149. 

  7.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Project 2061); New York,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18 p. 

  8. Boyer Commission on Education Undergraduate in the Research University (1998). Reinventing undergraduate education; A blueprint for America's research universities: Available at: http://notes.cc.sunysb.edu/Press/boyer.nsf. 

  9. De Wet, A. P. (1994). Intergrating field observations with physical and computer models in an introductory environmental-geology course,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v. 42, p. 264-271. 

  10. Novak, J. D. (1976). Understanding the learning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in the classroom, laboratory, and field. Science Education, v. 60(4). p. 493-512. 

  11. Mason, J. L. (1980). Annotated bibliography of field trip researc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 80, p. 28-29. 

  12.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996). Shaping the future; New expectations for under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technology, Washington D. C., NSF Division of Undergraduate Education, 76 p. 

  13.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v.37, p. 13-17. 

  14.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 93(6), p. 325-331. 

  15. Orion, N. and Hop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 1097-1119. 

  16. Trop, J, M., Gerald, H. K. & Kenneth, D. R (2000). Integration of Field Observation with Laboratory Modeling for Understanding Hydrologic Processes in an Undergraduate Earth-Science Course. Journal or Geoscience Education, v.48, p.514-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