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어서서 걷기 검사 시 회전 방향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rection to be Used for the Timed Up and Go Test on Walking Tim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3 no.2, 2016년, pp.11 - 19  

이건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조철훈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임경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주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윤규리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우영근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the stroke patien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emiplegic gait, turning direction of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influences turning ti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walking response to turning directions in stroke patient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 시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이 요구되는 특성을 감안하여, 넘어짐의 위험도에 따른 버그균형척도 점수를 이용하여(Lee 등, 2002), 회전이 동반된 보행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보행 특성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에서 균형 능력에 따른 차이가 일어서서 걷기 검사 시 환측과 건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이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비 보행의 운동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비대칭적 보행 형태는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넘어짐의 위험이 증가하며(Di Fabio 등, 2004; Jørgensen 등, 2000; Zamparo 등, 1995), ‘편마비 보행’(hemiplegic gait)이라는 용어로 임상에서 설명한다(Kuan 등, 1999). 편마비 보행의 운동학적 특성에는 환측의 과도한 외측 움직임과 건측의 높은 지면 반발력이 나타나며 건강인과 비교했을 때 모든 하지의 관절에서 최대 회전력이 낮은 특성을 가진다(Lutzenberger와 Pfeiffer, 2000).
뇌졸중 환자의 보행 시 관찰되는 특성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은 개인의 자립, 삶의 질 그리고 참여 활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손상 이후에 보행 능력의 기능적인 향상은 많은 재활 프로그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된다(Lam과 Luttmann, 2009; Patterson 등, 2010; Yang 등, 2007). 뇌졸중 환자의 보행 시 관찰되는 특성은 양쪽 팔다리의 비대칭적 움직임 형태, 비정상적 운동 수행력과 근육간 협응의 손상이다(Titianova 등, 2003). 비대칭적 보행 형태는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넘어짐의 위험이 증가하며(Di Fabio 등, 2004; Jørgensen 등, 2000; Zamparo 등, 1995), ‘편마비 보행’(hemiplegic gait)이라는 용어로 임상에서 설명한다(Kuan 등, 1999).
일어서서 걷기 검사는 어떤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보행과 균형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동적보행지수(Dynamic Gait Index), 기능적 보행평가(Functional Gait Assessment), Rivermead 이동성 지수(Rivermead Mobility Index), Tinetti 수행지향성이동성평가(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와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등이 있으며(Oliver 등, 2004; Perell 등, 2001; Shumway-Cook과 Woollacott, 2012), 이중에 일어서서 걷기 검사는 기능적인 이동성을 수치화할 수 있고 쉽고 간편하며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검사 중 하나로 많이 사용한다(Posiadlo와 Richardson, 1991). 또한, 이 검사는 노인뿐만 아니라 뇌졸중, 파킨슨병, 관절염, 소뇌 손상 환자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의자에 앉고 일어서는 것과 직선 보행, 그리고 반환점에서 회전하는 것과 의자에 앉기 전 회전하는 것에 대한 보행 수행력과 균형 능력을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Morris 등, 2001; Podsiadlo와 Richardson,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 J Public Health. 1992;83(Suppl2.): S7-S11. 

  2. Bugane F, Benedetti MG, Casadio G, et al. Estimation of spatial-temporal gait parameters in level walking based on a single accelerometer: Validation on normal subjects by standard gait analysis.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2012;108(1): 129-137. http://dx.doi.org/10.1016/j.cmpb.2012.02.003 

  3. Carr JH, Shepherd RB.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2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010:255-261. 

  4. Cumming RG, Klineberg RJ. Fall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and the risk of hip fractures. J Am Geriatr Soc. 1994;42(7):774-778. 

  5. Di Fabio RP, Kurszewski WM, Jorgenson EE, et al. Footlift asymmetry during obstacle avoidance in high-risk elderly. J Am Geriatr Soc. 2004;52(12): 2088-2093. 

  6. Dite W, Temple VA. A clinical test of stepping and change of direction to identify multiple falling older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2002; 83(11):1566-1571. 

  7. Eng JJ, Chu KS. Reliab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1144. 

  8. Evans AL, Duncan G, Gilchrist W. Recording accelerations in body movements. Med Biol Eng Comput. 1991;29(1):102-104. 

  9. Faria CD, Reis DA, Teixeira-Salmela LF, et al. Performance of hemiplegic patients in $180^{\circ}$ turns in the direction of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before and after a training program. Rev Bras Fisioter. 2009a;13(5):451-459. 

  10. Faria CD, Teixeira-Salmela LF, Nadeau S. Effects of the direction of turning on the timed up & go test with stroke subjects. Top Stroke Rehabil. 2009b;16(3): 196-206. http://dx.doi.org/10.1310/tsr1603-196 

  11. Glaister BC, Bernatz GC, Klute GK, et al. Video task analysis of turning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Gait Posture. 2007;25(2):289-294. 

  12. Hendrickson J, Patterson KK, Inness EL, et al. Relationship between asymmetry of quiet standing balance control and walking post-stroke. Gait Posture. 2014;39(1):177-181.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13.06.022 

  13. Heung TH, Ng SS. Effect of seat height and turning direction on the timed up and go test scores of people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09;41(9): 719-722. http://dx.doi.org/10.2340/16501977-0411 

  14. Hyndman D, Ashburn A, Stack E. Fall events among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Circumstances of falls and characteristics of faller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2):165-170. 

  15. Jorgensen L, Crabtree NJ, Reeve J, et al. Ambulatory level and asymmetrical weight bearing after stroke affects bone loss in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femoral neck differently: Bone adaptation after decreased mechanical loading. Bone. 2000;27(5):701-707. 

  16. Keenan MA, Perry J, Jordan C.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 Orthop Relat Res. 1984;(182):165-171. 

  17. Kim JH, Lee SM, Jeon SH. Correlations among trunk impairment, functional performance, and muscle activity during forward reaching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 Phys Ther Sci. 2015;27(9): 2955-2958. http://dx.doi.org/10.1589/jpts.27.2955 

  18. Kim TW, Kim YW. Effects of visual cue deprivation during sideways treadmill training on balance and walking in stroke patients. Phys Ther Korea. 2014;21(1):20-28. http://dx.doi.org/10.12674/ptk.2014.21.1.020 

  19. Kuan TS, Tsou JY, Su FC. Hemiplegic gait of stroke patients: The effect of using a can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7):777-784. 

  20. Lam T, Luttmann K. Turning capacity in ambulatory individuals post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9;88(11):873-883. http://dx.doi.org/10.1097/PHM.0b013e3181bc0ddf 

  21. Lamontagne A, Fung J. Gaze and postural reorientation in the control of locomotor steering afte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3): 256-266. http://dx.doi.org/10.1177/1545968308324549 

  22. Lee HJ, Yi CH, Yoo EY. Correlations among the berg balance scale, gait parameters, and falling in the elderly. Phys Ther Korea. 2002;9(3):47-66. 

  23. Lutzenberger CH, Pfeiffer F. Analysis of hemiparetic gait by using mechanical models. In: Proceedings of the Adaptive Motion in Animals and Machines. ThP-I-1, 2000. 

  24. Mackintosh SF, Hill K, Dodd KJ, et al. Falls and injury prevention should be part of every stroke rehabilitation plan. Clin Rehabil. 2005;19(4):441-451. 

  25. Marigold DS, Eng JJ. The relationship of asymmetric weight-bearing with postural sway and visual reliance in stroke. Gait Posture. 2006;23(2):249-255. 

  26. Morris S, Morris ME, Iansek 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Up &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 Ther. 2001;81(2):810-818. 

  27. Ng SS, Chan LH, Chan CS, et al. Parallel walk test: Its correlation with balance and motor function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5;96(5):877-884. http://dx.doi.org/10.1016/j.apmr.2014.11.002 

  28. Oliver D, Daly F, Martin FC, et al.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 tools for falls in hospit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ge Ageing. 2004; 33(2):122-130. 

  29. Pai YC, Rogers MW, Hedman LD, et al. Alterations in weight-transfer capabilities in adults with hemiparesis. Phys Ther. 1994;74(7):647-657. 

  30. Park G, Woo Y. Comparison between center of mass and a foot pressure sensor system for measuring gait parameters in healthy adults. J Phys Ther Sci. 2015;27(10):3199-3202. http://dx.doi.org/10.1589/jpts.27.3199 

  31. Patterson KK, Gage WH, Brooks D, et al. Changes in gait symmetry and velocity after stroke: A crosssectional study from weeks to years afte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9):783-790. http://dx.doi.org/10.1177/1545968310372091 

  32. Perell KL, Nelson A, Goldman RL, et al. Fall risk assessment measures: An analytic review.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1;56(12):M761-M766. 

  33.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148. 

  34. Reinfelder S, Hauer R, Barth J, et al. Timed Upand-Go phase segmentation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using unobtrusive inertial sensors.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015:5171-5174. http://dx.doi.org/10.1109/EMBC.2015.7319556 

  35. Shiu CH, Ng SS, Kwong PW, et al. The timed $360^{\circ}$ turn test for assessing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6;97(4):536-544. http://dx.doi.org/10.1016/j.apmr.2015.11.010 

  36.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383-399. 

  37. Tinetti ME, Williams TF, Mayewski R. Fall risk index for elderly based on the number of chronic disabilities. Am J Med. 1986;80(3):429-434. 

  38. Titianova EB, Pitkanen K, Paakkonen A, et al. Gait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in patients with chronic unilateral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3;82(10):778-786. 

  39. Thiqpen MT, Light KE, Creel GL, et al. Turning difficulty characteristics of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Phys Ther. 2000;80(12):1174-1187. 

  40. von Schroeder HP, Coutts RD, Lyden PD, et al. Gait parameters following stroke: A practical assessment. J Rehabil Res Dev. 1995;32(1):25-31. 

  41. Weiss A, Herman T, Plotnik M, et al. Can an accelerometer enhance the utility of the Timed Up & Go Test when evaluating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d Eng Phys. 2010;32(2):119-125. http://dx.doi.org/10.1016/j.medengphy.2009.10.015 

  42. Yang YR, Chen YC, Lee CS, et al.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7;25(2):185-190. 

  43. Zamparo P, Francescato MP, De Luca G, et al. The energy cost of level walking in patients with hemiplegia. Scand J Med Sci Sports. 1995;5(6): 348-352. 

  44. Zijlstra W, Hof AL.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from trunk accelerations during human walking. Gait Posture. 2003;18(2):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