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의 입지 및 거주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Space in Facilities for Impaired Persons in Chungcheongnam-Do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4, 2016년, pp.199 - 208  

이광수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  이정수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탈시설화로 대변되는 장애인 거주시설의 변화추세에 맞추어, 충청남도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의 입지 및 거주공간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남도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은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외곽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중증장애인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교육 및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존의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은 대부분 거주, 기능, 서비스 및 지원시설이 분리되어 각 실로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지만, 거실을 중심으로 한 단위세대(유니트) 구성형식으로 전환될 경우 중증 장애인에게 일반 가정환경과 같은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중증장애인 시설의 거주공간은 거실중심의 유니트로 재구성 및 증축을 통하여, 1인당 소요되는 거주공간 면적이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해외 기준 수준으로 확장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renovation guidelines for impaired persons' facilities in Chungcheongnam-Do by reviewing the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based on the standard and deinstitutionalization trends in foreign facilities. The facilities were located far from the downtown of cities. Therefore, educ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현재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에 적용되는 국내의 시설기준을 검토하여, 국내외 장애인 거주시설 변화추세와 비교하고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충청남도의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사례 분석을 통해, 중증장애인 시설의 입지특성과 거주공간 분석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현재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에 적용되는 국내의 시설기준을 검토하여, 국내외 장애인 거주시설 변화추세와 비교하고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충청남도의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사례 분석을 통해, 중증장애인 시설의 입지특성과 거주공간 분석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청남도 소재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9개소를 분석하였다. 사례대상은 정원 30명에서 89명까지 중형 이상의 시설을 포함하고 있으며, 거주시설이 3개동인 A 요양원을 제외하고 모두 1990년 이후 설립된 시설이다.
  • 따라서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의 도심으로 부터 거리는 입지특성파악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장애인거주시설로부터 도심에의 접근성을 평가하는 요소로 도심으로 부터의 거리 및 버스정류장 등과 같은 대중교통 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제적으로 자가운전 및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은, 중증장애인의 외부 출입뿐만 아니라 보호자·외부인의 해당 시설에의 접근 및 연계성 파악을 위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 특히, 분석대상 사례 중 2000년대에 건립된 시설이 5개소임에도 입지, 공간구성, 면적 특성에서 도심에 근접한 입지의 확보, 거주공간 형성 등의 측면에서 최근의 추세와 유사하게 변화된 모습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고찰과 중증장애인 시설 현황분석 등을 통하여, 충청남도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다음으로 충청남도 중증장애인 시설의 현장조사 및 도면검토를 통해, 입지특성, 거주공간 및 면적 등 중증장애인 시설의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충청남도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 시설 입지조건 적용의 현실적인 한계는? ”고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중증장애인 시설의 경우 시내 중심부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각종 근린시설이 나 의료시설 등과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장 애인 거주시설이 일반적인 주거시설로 변화되어 규모가 축소되고 있음에도 지역사회의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한 거부감은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 거주시설이란? 31.시행)」 제58조(장애인 복지시설)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장애인 거주시설은 “거주공간을 활용하여 일반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일정 기간 동안 거주ㆍ요양ㆍ지원 등의 서비 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사회생활을 지원하는 시 설”[1]로 정의하고 있다. 장애인 거주시설 중 중증장애 인 거주시설은 장애의 정도가 심하여 도우미가 항상 상 주하여 같이 생활하는 형태로서, 주거지원·일상생활지 원·지역사회생활지원·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말 한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최근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장애인들을 수용 하고 보살피는 시설화의 개념에서 치료와 재활을 강조하 는 지역사회재활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장 애인 정책이 보호ㆍ수용을 위한 시설화 개념이었다면, 무조건 수용의 개념에서 점차 재활과 사회복귀의 개념으 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An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revision 2015.12.31.], [an attached table 4] kind of handicapped person welfare facilities(related matters of the 41 article) 

  2. Ki-Sung Jang, "A probing study on the actualities & expansion direction for handicapped person accommodation facilities", Disability & Social Welfare, Vol.4, No.1, p.160. June, 2013. 

  3. Oh-Jung Kwon, Case Study on Living Environment of Small-sized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 S.,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Collection of learned papers of 2012 spring learning publication conference, Vol.24, No.1, p.392, April, 2012. 

  4. A Handicapped Person Welfare Law Enforcement Regulations [an attached table 5], assortment bussiness & install-operation standard for handicapped person welfare facilities, 1)living room, item ra) 

  5. Jeong-Soo Lee, Kwang-Soo Lee,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and Evacuation Management Guidelines based on Evacuation Behaviors in Reside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federation, Vol.17, No,2, p.86, April,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