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A를 적용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Human Right of Social Workers Who Works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 Focused on Busan Area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461 - 469  

김선주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시설에서 해결되어 할 인권문제의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539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인식 수준과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 실천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기술통계 결과, 중요도(전체 평균 6.27)에 비해 실행도(전체 평균 6.07)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인권 실천 항목들에 대해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실제 실천 정도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권 실천 하위영역별로 보았을 때 정치권/법 절차적 권리를 제외하고 자유권, 생존권, 사회권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of importance-performance about human right of social worker who works in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And based on this result, we wanted suggest strategies to implement human rights for the disabled. We collected data from 539 social w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6년 장애인복지시설 인권실태조사 지침 매뉴얼 분류표와 김미옥 외[15]에서 보고된 거주시설 장애인의 인권유형 및 인권보장 내용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생활과 가장 밀접해있는 장애인거주시설의 종사자의 인권중요도와 실행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시설에서 해결되어할 인권문제의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IPA분석을 활용하여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들의 인권 실천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현황과 그 양자 간의 간극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부산지역의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로 한정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존재하며 향후 조사의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IPA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장애인거주시설의 종사자의 인권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인권 실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수행하고 있고 수행해야 할 인권 실천에 대해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실행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고, 인권 실천 활동 중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개선 및 보완해야 할 세부 활동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실천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5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사하였고,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A란 무엇인가?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속성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서비스 품질 개선, 마케팅 활성화를 위해 활용해 오던 기법이다(조성심 외, 2016). 이 방법은 Martilla와 James(1977)의 성취도 분석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인권이 예방적 활동인 이유는 무엇인가? 인권은 예방적 활동이다. 인권침해 발생 후 처벌적 제도강화나 피해 장애인 당사자 지원도 중요하지만 인권침해 발생자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은 먼저 종사자스스로의 인권에 대한 의식 변화 없이는 불가능하다.
IPA는 데이터를 어떻게 나타내는가? 이 방법은 Martilla와 James(1977)의 성취도 분석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조사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X축과 Y축의 이차원 도표에 표시하고 그 위치에 따라 의미를 부여한다[16]. [그림 1]과 같이, 이차원 도표에서 4분면의 분포에 따라 구분된 제1, 2, 3, 4분면의 의미가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91408115304001, 2017.9.14. 

  2.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3권, 2017. 

  3. 김경희, 김미옥, "지적장애인 인권침해사건 해결과정에서의 딜레마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9권, pp.235-252, 2012. 

  4. 박경수, 장혜경, "장애인거주시설 실천가의 인권 딜레마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제2권, pp.249-272, 2013. 

  5. 변경희, 장애인거주시설종사자의 인권보호 및 서비스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산학협력단, 2014. 

  6. 송정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지적장애인거주시설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 김선주,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771-781, 2016. 

  8. 정은주, "가족중심실천에 관한 중요성인식과 현재실천의 차이 연구: IPA기법 활용-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2호, pp.67-93, 2011. 

  9. 최원희, "슈퍼바이저의 지식.기술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에 의한 슈퍼바이저 교육내용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3권, pp.39-67, 2013. 

  10. 문수열, "지역사회복지관 수행사업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에 관한 연구-경남지역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3권, pp.51-86, 2015. 

  11. 조성심, 홍순혜, 방진희, 엄경남, 안정선, "교육복지현장 실무자의 직무에 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학교사회복지, 제33권, pp.53-73, 2016. 

  12. 김경주, 김광수,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한국비영리연구, 제15권, 제2호, pp.39-53, 2016. 

  13. 김미옥, "사회복지사의 지적장애인 서비스과정 참여에대한 인식 연구-장애인거주시설 내의 참여를 중심으로 한 IPA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369-394, 2012. 

  14. 김선주,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경기도, 경상북도,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271-280, 2016. 

  15. 김미옥, 정진경, 김희성, 최영식, 윤덕찬, "장애인 생활시설 인권교육 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국가인권위원회, 2006. 

  16.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