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심해 저서환경의 접근 한계로 서식생물과 인근환경 연구를 위한 정밀채집이 불가능하였으나, 6,000 미터급 심해 무인잠수정 해미래의 개발로 가능성이 열렸다. 활용가능성 확인을 위해, 2015년 6월에 2주간 동해에서 연구선 온누리호와 무인잠수정 해미래를 이용하여 울릉분지와 후포퇴 사면의 8개 정점에서 심해 종합해양연구를 국내최초로 수행하였다. 수심 범위가 194~2,080m인 조사해역에서 총 10회 잠수를 수행하였고, 잠수시간은 운용조건에 따라 약 1~6시간 소요되었다. 조사 결과, 1) 주요 심해 해저면의 실제 영상, 2) 주요 수산자원인 홍게류의 서식밀도 및 미기록 생물종을 포함한 심해생물상 자료, 3) 해저협곡의 경사면 등 특이 지형 확인, 4) 압력주상채니기를 이용한 퇴적물 주상시료 채집, 5) 육상폐기물 해양 투기현황을 확인 및 획득하였다. 본 탐사결과 심해 저서환경 및 생물의 직접관찰 및 채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MIRE is a 6,000-meter-class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that has been developed for observation and sampling of objects of interest on the deep seabed. We first carried out deep-seabed exploration around the slopes of the Hupo Bank and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in June 2015. Over two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곳은 이전에 가스 하이드레이트 조사를 위해 시추된 시추공이 위치한 지역이다. 잠수정 탐사는 해저면 영상관찰을 통해 시추공을 확인하고 시추공 주변 지역의 퇴적물을 채취하고자 하였다. 2015년 6월 18일 오전에 탐사가 시작되었고, 시추공 예상 위치 300m 전방에서 잠수정을 착지시킨 후 시추공 정점으로 잠수정 고도 3m를 유지하여 정밀지형을 확인하며, 잠수정 행동반경 범위(약 20m 내외)에서 영상탐사를 했으나, 시추공 흔적은 발견하지 못했다.
  • 다중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지형도 및 음향산란도를 획득하고, 기존 퇴적물 시료채취 정점을 활용하여 잠수정 조사 측선을 선정하였다. 조사 측선은 메탄수화물이 확인된 정점을 포함하였고, 해저면 영상관측을 통해 압력주상채니기로 채취하고자 하였다. Dive #02에서는 해저면 도달 후 1시간 10분 이후 잠수정 전원이 차단되어 퇴적물 시료채취 지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잠수정을 회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에 의한 심해 해저면 및 생태계의 실질적 조사는 언제부터 가능해졌는가? 이로 인해 해저면의 직접적 영상관측 등의 시각적 해양연구가 드물고, 수온 및 염분 측정 장비(CTD: ConductivityTemperature- Depth), 심해 계류장비 등의 물리 관측 장비 및 박스주상 채니기(box corer)나 수산용 어구를 활용한 심해생물 채집 등의 간접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인간에 의한 심해 해저면 및 생태계의 실질적 조사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해양과학 선진국인 미국, 프랑스, 러시아, 일본을 중심으로 심해용 영상장비 및 유무인 잠수정 기술이 개발된 후 가능해졌다[2, 3]. 심해조사를 위한 특수 장비의 개발과 운용에는 우주탐사에 버금가는 비용이 소요되므로, 국가적 차원의 개발의지와 적극적 투자가 필요하다[3, 4, 5].
동해는 대부분 해역이 수심 200m 이하의 심해환경이며, 높은 압력과 낮은 수온으로 인간의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어떤 연구가 주를 이루었는가? 동해 (평균 수심 약 1,684m, 최대 수심 4,049m)는 남부해역을 제외한 대부분 해역(전체 면적의 약 90%)이 수심 200m 이하의 심해환경이며[1], 높은 압력과 낮은 수온으로 인간의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다[2]. 이로 인해 해저면의 직접적 영상관측 등의 시각적 해양연구가 드물고, 수온 및 염분 측정 장비(CTD: ConductivityTemperature- Depth), 심해 계류장비 등의 물리 관측 장비 및 박스주상 채니기(box corer)나 수산용 어구를 활용한 심해생물 채집 등의 간접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인간에 의한 심해 해저면 및 생태계의 실질적 조사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해양과학 선진국인 미국, 프랑스, 러시아, 일본을 중심으로 심해용 영상장비 및 유무인 잠수정 기술이 개발된 후 가능해졌다[2, 3].
동해의 특징은? 동해 (평균 수심 약 1,684m, 최대 수심 4,049m)는 남부해역을 제외한 대부분 해역(전체 면적의 약 90%)이 수심 200m 이하의 심해환경이며[1], 높은 압력과 낮은 수온으로 인간의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다[2]. 이로 인해 해저면의 직접적 영상관측 등의 시각적 해양연구가 드물고, 수온 및 염분 측정 장비(CTD: ConductivityTemperature- Depth), 심해 계류장비 등의 물리 관측 장비 및 박스주상 채니기(box corer)나 수산용 어구를 활용한 심해생물 채집 등의 간접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ast sea/Dokdo Marine Science Progra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3-9, 2009. 

  2. Peter Herring, The Biology of the Deep Ocean, p.1-26,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W. Kim, Endless scientific exploration of a mysterious deep-sea, Sci. Technol. (7), pp.69-73, 2007. 

  4. S. Jin, S. Lim, S. Park, S. Yoo, Measuring the Scientific Benefits from the Deep-sea Human-operated Vehicle Project: A Choice Experiment Study, Ocean and Polar Res., 36(3), pp.277-288, 2014. DOI: http://dx.doi.org/10.4217/OPR.2014.36.3.277 

  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Development of deep-sea manned Submersible, pp.25-219, 2014. 

  6. P. Lee, Y. Seo, Development of 6k class deep-sea ROV 'Hemire' and "Henubi", World of Electricity, 55(3), pp. 20-24, 2006. 

  7. P. Lee, Discovering undersea world below 11,782 m, Sci. Technol., 7, pp.74-79, 2007. 

  8. S. Yoo, D. Jung, S. Park, The economic impacts of pacific ocean deep-sea manganese nodule development project, Ocean and Polar Res., 32(4), pp.489-499, 2010. DOI: http://dx.doi.org/10.4217/OPR.2010.32.4.489 

  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Development of overseas marine bioresources and a system for their utilization, 341p,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10.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Study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ork of Hydrothermal Vent Community, 370p,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02. 

  11. H. Baek, B. Jun, G. Choi, P. Lee,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Strategy of Hemire from the Analysis of Deep-Sea ROV Operations, Abstract book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pp.1723-1729, 2012. 

  12. K. Fujikura, T. Okutani, T. Maruyama, Deep-Sea Life - Biological Observations Using Research Submersibles, 487p, Tokai University Press, 2008. 

  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ocean dumping waste [III], 1242p,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6. 

  14. Maria R Cunha (eds), 14th deep-sea biology symposium abstract book, 367p, Universidade de Aveiro,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