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s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4, 2016년, pp.500 - 511  

신민우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이영옥 (대전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기능(ADL, IADL), 정신적 기능(CES-D, MMSE-K) 및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있는 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4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정신적 기능(CES-D, MMSE-K)은 신체적 기능(ADL, IADL)이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보다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기능과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정신적 기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hysical functions (ADL, IADL), mental functions (CES-D, MMSE-K)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on the quality of life (WHOQOL-BREF)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tudy subjects were 602 elderly people, who were surveyed at the e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 입소한 장기요양시설급여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일부 대도시의 장기요양시설에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시설급여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구강건강영향지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기능(ADL, IADL), 정신적 기능(CES-D, MMSE-K) 및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장기요양시설에서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고 수용되어 있는 시설급여노인 602명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대전시 장기요양시설의 입소 노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는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주고, 이 두 개의 변수가 정신적 기능과 삶의 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우선 직접적으로 측정이 불가능한 구강건강영향지수,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삶의 질을 잠재변수로 구성하였고, 모델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의 측정변수로는 기능적 한계(functional limitation), 신체적 불편(physical discomfort), 정신적 불안(psychological discomfort), 신체적 장애(physicaldisability), 정신적 장애(psychological disability), 사회적 장애(social disability), 핸디캡(handicap)점수로 하였으며, 신체적 기능의 측정변수로는 K-ADL과 K-IADL점수로 하였으며, 정신적 기능의 측정변수로는 CES-D와 MMSE-K로 부터 측정한 우울과 인지기능장애 점수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기능이란? 인지기능과 우울증은 노인의 정신적인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건강지표로 대변할 수 있다. 인지기능은 개인이 사고하고 행동하기 위해 외부에서 오는 다양한 감각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고 이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인지기능의 범위는 지남력, 집중력, 기억력, 주의집중, 시 지각, 시공간처리, 언어, 문제해결능력, 집행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5].
인지기능의 범위는 어떻게 분류하는가? 인지기능은 개인이 사고하고 행동하기 위해 외부에서 오는 다양한 감각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고 이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인지기능의 범위는 지남력, 집중력, 기억력, 주의집중, 시 지각, 시공간처리, 언어, 문제해결능력, 집행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5].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감퇴는 개인의 적응 능력을 저하시키고,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어려움을 일으켜 노인의 삶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킨다[6,7].
신체적 기능 중 IDAL은 어떤 항목들을 질문하는가? IADL은 미국 Duke대학의 Pfeiffer[20]가노인집단 또는 개인의 장애 및 안녕상태(well-bing)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Older Americans Resources and Services(OARS)의 IADL 부분을 번역하여 만든 한국어판 OARS이었다. OARS의 IADL은 전화사용, 장거리 여행, 시장보기, 식사준비, 집안 일하기, 약 먹기 및 금전관리 등 7개 항목의 일상생활을 질문하도록 되어 있다. 7가지의 일상생활 항목은 「도움 필요 없음」, 「약간 도움 필요」, 「수행 불가능」으로 구분하였고, 평가는「도움 필요 없음」 3점, 「약간 도움 필요」 2점, 「수행 불가능」 1점을 부여하여 총 득점 합계(7-21점)를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oung KJ, Longman AJ. Quality of life and persons with melanoma;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6:219-225, 1983. 

  2. Kim JH, Lee TY. The life satisfaction status in lower limb amputee subjects based on amputation lev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9(1):111-121, 2001. 

  3. de Haan R, Aaronson, N, Limburg M, Hewer RL, van Crevel H. Measuring quality of life stroke. stroke, 24(2):320-327, 1993. 

  4. Lee KJ, Park HS.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3):221-230, 2006. 

  5. Pendleton HM, Schultz-krohn K.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6th Ed.). St. Louis, MO : Mosby. 2006. 

  6. Zelinski, E. M., & Gilewski, M. J. A 10 item Rasch modeled memory self efficacy scale. Aging and Mental Health, 8:293-306, 2004. 

  7. Chang SH.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demential prevention program.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8. Kim HS, Park JY, Kwon IS, Cho YC.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in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0):3808-3819,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10.3808 

  9. Vinkers DJ, Ussekloo J, Stek ML, Westendorp RG, Mast RC. Temporal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in old age :Prospective population based study, Brain Medication Journal, 329:74-71, 2004. 

  10. Na SS. A study on social-welfare demand of low-incom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based on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of Gyeyang-gu, Incheon Metropolitan City-. Graduate School of Incho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11. Min KJ, Kim KJ, Cha C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index of the aged in Daejon a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2):1-26, 2001. 

  12. Shin SY. The study on the impact of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adjustment of relocation to a nursing home in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8:111-129, 2002. 

  13. Ryu KJ. The relevance between level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life quality among the elderly. Graduated School of Chungnam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8. 

  14. Hong MH. Impact of physical stress symptoms and psycho-emotional stress symptoms on oral health in adul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1663-1670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663 

  15. Kim GH, Hong MH, Jeong MY.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level and quality of life stud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Technology, 1(1):57-67, 2010. 

  16. Kung HS, Song EJ, Hwang SJ.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orphans in Dong-gu, Daejeo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3(3):223-229, 2013. 

  17. Park HR. A study on social efficacy of senior citizens in welfare centers in some area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1000-1009,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2.1000 

  18.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science. Behav Res Methods, 39(2):175-191, 2007. 

  19. Katz S.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 of Am Med Assoc, 185:914-919, 1963. 

  20. Pfeiffer E.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the OARS methodology. A manual. Du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975. 

  21. Weissman MM, Locke BZ.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mpto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102:430-431, 1975. 

  22.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urement, 1:385-401, 1977. 

  23. Folstein MF, Folstein SE &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189-198, 1975. 

  24. Park JH, Kwon YC. Part I :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125-131, 1989. 

  25.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1(1):3-11, 1994. 

  26.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28:551-558, 1998. 

  27. Min SK, Lee CI, Kim KI,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571-579, 2000. 

  28. Seo HS, Han YH. Effects of health-related indexes on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5:159-170, 2006. 

  29. Nam SK, Shim OS.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3:239-259, 2011. 

  30. Barge-Schaapveld DQ, Nicolson NA, Berkhof J, deVries MW. Quality of life in depression: daily life determinants and variability. Psychiatry Res, 88(3):173-189, 1999. 

  31. Kwon YO, Choi MS, Lee JH, Yun HK.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eriatric denture-related characteristics, denture satisfaction, and GOH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4):399-407, 2014. 

  32. Li, Y., Meyer, J.S. & Thornby, J. Depressive symptioms among cognitively normal versus cognitively impaired elderly su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455-461, 2001. 

  33. Bae JY.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8. 

  34. Cho ES. Effect of self awareness of halitosis 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607-614, 2013. 

  35. Locker D, Clarke M, Payne B: Self-reported oral health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n older adult population. J Dental Res, 79: 970-975, 2000. 

  36. Kim JH, Kang SH, Jeong MY. Assessment on quality of life: based on oral health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2):4873-4880, 2010. DOI: http://dx.doi.org/10.1007/s11136-010-9670-0 

  37. Chang IJ, Jeong SH, Park YA, et al. Association between denture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al health among the elderly with removable den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0(3):360-369, 2006. 

  38. Park JY. The impact of health status of for the elderly on oral health-related of life qu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271-28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