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몬테칼로 기법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에서의 2차 전자 발생 평가
A Monte Carlo Study of Secondary Electron Production from Gold Nanoparticle in Kilovoltage and Megavoltage X-rays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0 no.3, 2016년, pp.153 - 159  

황철환 (부산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강세식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사선과 상호작용으로 단일 금 나노입자로부터 나타나는 2차 전자의 발생과 입자 크기, 입사 에너지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선량 증가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CNPX MC code를 이용하여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X선 에너지는 50, 100, 150 kV와 6, 15 MV를 사용하였다. 물 팬텀 내부에 30, 50, 70, 90, 110 nm 직경의 단일 금 나노입자를 위치시켜 10 nm 간격으로 계수 체적을 지정하였다. 금 나노입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의 차이는 입자가 없을 때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나타내었으며, X선의 에너지가 낮을수록, 금 입자의 직경이 클수록 많은 전자의 발생을 보였다. 에너지가 낮을수록 나노입자의 크기와 전자 발생 간 선형식에서 높은 기울기 값을 나타내었으며, MV X선에 비해 kV X선에서 현저히 많은 전자의 발생을 보였다. 금 나노입자를 이용한 선량 증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금 나노입자를 포함한 다양한 선량 증가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electrons produced from single gold nanoparticle as a result of its interaction with radiation and particle size and incidence energy, provided basic data related to the dose enhancement effect based on gold nanoparticles. Monte Carlo simul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사선치료는 주변 정상장기를 충분히 보호함과 동시에 종양조직에는 충분한 선량을 조사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종양조직의 치료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적절한 방사선치료 방법의 적용 및 항암제 동시 투여, 온열 치료, 방사선 선량 증가제 등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입자의 크기와 방사선 선질에 따라 단일 금 나노입자로부터 발생하는 2차 전자의 발생량과 입자 크기와 선질 간의 관계를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치료 목적은? 방사선치료는 주변 정상장기를 충분히 보호함과 동시에 종양조직에는 충분한 선량을 조사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종양조직의 치료효과를높이는 방법으로는 적절한 방사선치료 방법의 적용 및항암제 동시 투여, 온열 치료, 방사선 선량 증가제 등이 있다.
방사선 선량 증가제란? 방사선 선량 증가제(dose enhancement agent)는 높은원자번호와 전자밀도를 가지는 물질이 조직 내에서방사선과 상호작용 함에 따라 발생하는 2차 전자의영향으로 이러한 물리적 현상은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컴프턴 산란(compton scattering) 등으로 설명할수 있다.[4] 선량 증가 현상은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를 높이게 되고,종양조직에 보다 많은 선량을 전달하여 치료 효과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선량 증가 현상은 무엇에 따라 차이를 보이게 되는가? [4] 선량 증가 현상은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 RBE)를 높이게 되고,종양조직에 보다 많은 선량을 전달하여 치료 효과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5] 이러한 효과는 선량 증가제의 종류, 입자의 크기, 물질 내 농도와 입사 방사선의선질에 따라 차이를 보이게 된다. 선량 증가 물질로는금(anrum, Au), 가돌리늄(gadolinium, Gd), 요오드(iodine, I) 등이 사용되며[6], 화학적 안정성이 높으면서 높은원자번호를 가지는 물질을 종양조직 내에 투여함으로써방사선의 흡수 단면적을 높이는 방법이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 M. Heo, J. B. Han, N. G. Choi, "Usefulness Evaluation on the Treatment Plan of Tomotherapy and VMAT in Radiotherapy for Prostate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9, No. 7, pp.449-457, 2015. 

  2. M. J. Kim, I. C. Im, J. S. Lee, S. M. Kang, "The Optimum of Respiratory Phase Using the Motion Range of the Diaphragm: Focus on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of Lung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7, No. 2, pp.157-163, 2013. 

  3. J. E. Sardi, M. A. Boixadera , J. J. Sardi, "A critical overview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cervical cancer", Current Oncology Reports, Vol. 6, pp. 463-70, 2004. 

  4. H .P. Kok, J. Crezee, N. A. Frankenl, "Quantifying the combined effect of radiation therapy and hyperthermia in terms of equivalent dose distribu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Vol. 88, pp.739-45, 2014. 

  5. L. Sim, A. Fielding, M. English, "Enhancement of biological effectiveness of radiotherapy treatments of protstate cancer cells in vitro using gold nanoparticle. Coogee Beach, Sydney", International Nanomedicine Conference. 2011. 

  6. Faiz M. Khan,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Fourth edition, Wolters Kluwe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 D. Regulla, E. Schmid, W. Friedland, "Enhanced values of the RBE and H ratio for cytogenetic effects induced by secondary electron from an X-irradiated glod surface", Radiation Research, Vol. 158, pp. 505-15, 2002. 

  8. P. Retif, S. Pinel, M. Toussaint, "Nanoparticle for radiation therapy enhancement: the key parameters", Theranostics, Vol. 5, pp. 1030-45, 2015. 

  9. W. Ngwa, H. Korideck, A. Kassis, "In vitro radiosensitization by gold nanoparticles during continuous low-dose-rate gamma irradiation with I-125 brachytherapy seeds", Nanomedicine, Vol. 9, pp. 25-7, 2013. 

  10. G. Duc, I. Miladi, C. Alricl, "Toward an image-guided microbeam radiation therapy using gadolinium-based nanoparticle", ACS nano, Vol. 5, pp. 9566-74, 2011. 

  11. K. Sora, "Feasibility study on the use of gold nanoparticles as a dose enhancement agent for a superficial X-ray therapy applied to melanom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date school. 

  12. S. Unezaki, K. Maruyama, J. I. Hosoda, "Direct measureemtn of the extravasation of polyethy- leneglycol-coated liposomes into solid tumor tissue by in vivo fluorescence microscopy",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 144, pp. 11-17, 1996. 

  13. H. Maeda, J. Fang, T. Inutsuka,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effect for anticancer nanomedicine drug targe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harmacology, Vol. 3, pp. 319-328, 2003. 

  14. A. Mesbahi, F. Jamali, N. Gharehaghaji, "Effect of photon beam energy, gold nano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on the dose enhancement in radiation therapy" BioImpacts, Vol. 3, pp. 29-35, 2013. 

  15. M. K. Leung, J. C. Chow, B. D. Chithrani, BD, "Irradiation of gold nanoparticles by X-rays: Monte Carlo simulation of dose enhancements and the spatial properties of the secondary electrons production", Medical Physics Vol. 38, pp. 624-631, 2011. 

  16. K. Cranley, B. J. Gilmore, G. Fogarty, IPEM Report 78, Catalogue of Diagnostic X-ray Spectra and Other Data. The Institute of Physics and Engineering in Medicine, 1997 

  17. K. Cranley, B. Gilmore, G. Fogaty, Catalogue of Dia gnostic X-ray Spectra and Other data, Diagnostic Radiology and Magnetic Resonance Special Interest. Group of the Institute of Physics and Engineering in Medicine. 4-43, 1997. 

  18. M. Asghar, F. Michael, A. Mahmoud, "Monte Carlocalculation of Varian 2300C/D Linac photon beam characteristics: a comparison between MCNP4C, GEANT3 and measurements",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Vol. 62, pp. 467-77, 2005. 

  19. J. Chow, M. Leung, D. Jaffray, "Monte carlo simulation on a gold nanoparticle irradiated by electron beams",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 57, pp. 3323-31, 2012. 

  20. A. Mesbabi, F. Jamali, N. Garehaghaji, "Effect of photon beam energy, gold nano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on the dose enhancement in radiation therapy" Bioimpacts, Vol. 3, pp. 29-35, 2013. 

  21. K. Butterworth, S. Mcmacho, L. Taggart, "Radiosensitization by gold nanoparticles: effective at megavoltage energies and potential role of oxidative stress", Translational Cancer Research, Vol. 2, pp. 269-79, 2013. 

  22. J. Hubbell, S. Seltzer: Tables of X-ray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and mass energy-absorption coefficients from 1 keV to 20MeV for Elements Z1-92 and 48 Additional Substances of Dosimetric Intere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US Department of Commerce, Gaithersburg, MD 20899, 1996. 

  23. K. Micheal, C. James, B. Devika, "Irradiation of gold nanoparticles by x-rays: Monte Carlo simulation of dose enhancements and the spatial properties of the secondary electron production", Medical. Physics. Vol. 38, pp. 624-631, 2011. 

  24. G. Jungfang, Y. Yuanshui, "Monte Carlo study of secondary electron production from gold nanoparticle in proton beam irrad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Therapy and Onology. Vol. 2, pp. 1-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