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기술(ICT) 경쟁우위가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of Competitive Advantage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2 no.1, 2016년, pp.151 - 163  

김정환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박종석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제통상학부)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업무프로세스 상에서의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통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업종별 비교분석을 통해 기업들의 효과적인 공급사슬통합을 위한 정보기술 경쟁우위달성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은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크게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이고, 두 번째 가설은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이 업종별로 차이가 있다는 가설이다.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보기술 경쟁우위 달성을 위해서는 IT인프라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IT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바탕으로 정보기술의 도입, 통합, 활용 등 정보기술 경쟁우위 그 자체로 기업성과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정보통합, 조직통합, 전략통합과 같은 공급사슬통합 수준향상에 전략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정보기술 경쟁우위 확보를 통해 공급사슬 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 기업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경쟁우위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기업의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업종 유형별 특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효과적인 공급사슬통합을 위한 정보기술 경쟁우위와 공급사슬통합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 of the competitive edge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in business process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y industry that suggests a way of achieving competitive edge in ICT for effective supply chain integration. B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업의 업무프로세스 상에서의 정보 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통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업종별 비교분석을 통해 기업들의 효과적인 공급사슬통합을 위한 정보기술 경쟁우위 달성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과 업종별 모형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공급사슬통합을 위한 기업의 정보기술 경쟁우위 달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요인에 대한 세부 측정변수에 대해서는 <표 1> 에 나타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해당문항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반분신뢰도를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을 산출한 크론바하 알파를 사용하여 해당 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항목들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타당성은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및 관련업계 종사자에 대한 인터뷰나 파일럿 서베이(Pilot Survey)를 통해 확인하였고, 예측타당성과 개념타당성은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는 것 이다.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보기술 경쟁 우위 달성을 위해서는 IT인프라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1] IT인프라능력, 정보기술 활용능력과 같은 정보기술 경쟁우위는 정보통합, 조직통합, 전략 통합의 공급사슬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업종에 따라서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은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크게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사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이고, 두 번째 가설은 정보기술 경쟁우위가 공급 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이 업종별로 차이가 있다는 가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략통합가설이 기각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기업의 IT인프라능력이 좋을수록 공급사슬상에서 정보통합과 조직통합이 잘 달성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략통합가설이 기각된 것은 아직까지 기업간 정보공유를 통한 신뢰도가 부족하여, 제한적인 정보만 공유하고 기업내부 정보공유를 통한 전략통합이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 로 사료된다.
정보기술이란 무엇인가? 정보기술이란 전자적 수단을 통해 전송 및 표시를 포함한 정보의 처리 및 통신기능을 실현 시키 거나 실현이 가능해야 하며, 이에 필요한 제품 및 시설을 공급, 설치, 운영 또는 유지 보수하는 것으로서 정보통신방송서비스, 정보통신 방송기기,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를 말한다(통계청, 2015). 구체적으로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장비와 관련 서비스 등의 기술들을 통칭한다.
통합 뮬류의 제대로된 운영을 위해 통합된 정보시스템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급사슬의 내부적 통합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기업의 원재료관리부터 생산, 수송, 판매에 이르는 모든 내부기능을 동기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급 사슬 내의 많은 부서는 책임과 권한이 서로 다르고 서로 간에 경쟁적이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상당히 힘들다. 이런 문제들 때문에 일차적으로 통합 물류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통합된 정보시스템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곽수일.문종범 (2005), "IT 기반의 공급사슬 통합과 기업의 성과 간의 구조적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론총", 경영정보연구소, 제15권 제1호, 1-16. 

  2. 김경규.이창희.박성국.신수정 (2005), "전자적 정보공유와 상대적 흡수능력이 공급망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제34권 6호, 1869-1894. 

  3. 김수욱 (2004), "기업성과향상을 위한 공급체인통합의 전략적 역할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제33권 제2호, 631-653. 

  4. 김형기.문종범 (2006),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공급사슬통합 요인, 한국품질경영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한국품질경영학회, 139-144. 

  5. 김형기.문종범.최창열 (2008), "공급사슬 통합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e-비즈니스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제9권 제1호, 3-25. 

  6. 문종범 (2006), "공급사슬의 유형에 따른 통합전략의 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론집, 제40권 제1호,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97-124. 

  7.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4년 국내기업 e-비즈니스와 IT활용 조사 보고서, 2014. 

  8. Beamon, B. M. (1998), "Supply Chain Design and Analysis: Models and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55, 281-294. 

  9. Bharadwaj, A. S and V. Sambamurthy (1999), "IT capa bilitie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mpirical operationalization," Proceeding ICIS 1999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378-385. 

  10. Cooper, M. C. and L. M. Ellram (1993), "Characteristics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Purchasing and Logistics Strategy,"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Vol.4 No.2, 13-24. 

  11. Fawcett, S. E. and G. M. Magnun (1997), "Integrating Product Life Cycle and Purchasing Life Cycle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rchasing and Materials Management, Vol.33 No.1, 23-31. 

  12. Lambert, D. M., C. C. Martha and D. P. Janus (1998), "Supply Chain Management: Implementation Issu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Vol.9 No.2, 1-20. 

  13. Mabert, V. A. and M. A. Venkatramanan (1998), "Special Research Focus on Supply Chain Linkage: Challenges for Design and Management for the 21 Century," Decision Science, Vol.29 No.3, 537-552. 

  14. Mentzer, J. T. (2001), "Defining supply chain management,"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Vol.22 No.2, 1-25. 

  15. Morash, E. A. and S. R. Clinton (1998), "Supply Chain Integration: Customer Value Through Collaborative Closeness Versus Operational Excellence,"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104-120. 

  16. Porter, M. E. and V. E. Millar (1985), "How information gives you competitive advantage," Harvard Business Review, 152. 

  17. Ross, J. W., C. M. BeathM and D. L.Goodhue (1996), "Develop Long-term Competitiveness Through IT Assets," Sloan Management Review, Vol.38 No.1, 31-42. 

  18. Tippins, M. J. and R. S. Sohi (2003), "IT Competency and Firm Performance: Is Organizational Learning a Missing Link?,"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4 No.8, 495-5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