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조가 복용한 죽(粥)에 대한 고찰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의 영조 기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Porridge that King Yeongjo Had Been Served - Based on The Daily Record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during King Yeongjo period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0 no.1, 2017년, pp.17 - 29  

엄동명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김영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송지청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Many curative methods are used utilized in order to rid human body of disease when people become sick. Traditional Korean medicine generally prescribe methods that involve acupunture, moxibustion, or herb formulae. However, different types of foods are sometimes used as well. While w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승정원일기』 영조 대에 따로 명칭이 있는 것으로는 갈근죽(葛根粥), 곽죽(藿粥), 녹두죽(菉豆粥), 두죽(豆粥), 백감죽(白甘粥), 백자죽(柏子粥), 백죽(白粥), 붕어죽(鮒魚粥), 양원죽(養元粥), 양죽(羘粥), 연자죽(蓮子粥), 의이죽(薏苡粥), 적두죽(赤豆粥), 주자죽(楱子粥) 총죽(葱粥), 타락죽(駝酪粥), 합죽(蛤粥), 행인죽(杏仁粥), 흑임자죽(黑荏子粥) 등 19가지가 있는데, 이들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죽의 효능을 살펴보기 위해 죽에 사용된 주재료의 본초적 특성을 고려하였는데, 이는 『승정원일기』에 언급된 영조의 병증과 죽의 주재료인 본초의 효능 및 주치를 비교하고자 함이었다. 다만 본초의 특성은 현재 전국한의과대학의 공통교재  9) 를 자료로 하였다.
  • 이에 『승정원일기』 영조대에 기록된 죽을 찾아 정리하여 조선 왕궁에서 사용된 죽을 바탕으로 죽의 적용 사례와 효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식동원이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의식동원(醫食同源)’ 또는 ‘약식동원(藥食同源)’이라는 말은 건강에 있어서 음식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으로 평소에 적당한 음식을 섭취하여 몸의 건강을 지키고 질병을 예방하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병에 걸려 몸이 평소와 다를 때는 평소의 음식을 먹을 수 없는데, 이 때 식사를 평소와 같이 하지 않고 죽과 같이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섭취한다.
죽 전문점이 등장함으로써 죽은 어떤 음식이 되었는가?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또는 현대의 음식생활이 과영양화로 너무 잘 먹어서 문제이기 때문인지 현재 죽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죽 전문점이 등장하였으며, 환자가 병을 회복할 때 복용하는 음식으로서 뿐만 아니라 수험생, 직장인 등 일반인들도 자주 접할 수 있는 음식이 되었다.
병에 걸렸을 때 죽과 같이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먹는 이유는? 하지만 병에 걸려 몸이 평소와 다를 때는 평소의 음식을 먹을 수 없는데, 이 때 식사를 평소와 같이 하지 않고 죽과 같이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섭취한다. 이는 인체의 기(氣)를 음식물을 소화하는데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기는 인체의 정기(正氣)로 하여금 사기(邪氣)와 잘 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am GJ. King's Meal Table. Seoul. 21th Century Books. 2010. 함규진. 왕의 밥상. 서울. 21세기북스. 2010. 

  2. Universities of Korean Medicin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Bonchohak. Seoul. Yeonglimsa. 2016.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16. 

  3. Heo J. Dongeuibogam. Seoul. Minjungseowon. 1993. 許浚. 東醫寶鑑. 서울. 민중서원. 1993. 

  4. Lee SG. King's Korean Medicine. Seoul. Science Book. 2014. 이상곤. 왕의 한의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2014. 

  5. Yim HJ, Cha WS. Review of Application of Medicinal Porridges by King-Injo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cords from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013. 28(5). 임현정, 차웅석. 조선 仁祖의 질병관리 중 약죽(藥粥)의 적용과 의미에 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3. 28(5). 

  6. Yoon SJ, Heo WD. A Study on Calorie and Proxima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 Gru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8. 37(7). 윤숙자, 허우덕. 한국 전통죽의 영양소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8. 37(7). 

  7. Cho MS, Lee KR. A Study on Changes in the Cooking Process of Gruel in Cook Books Written during Last 100 Yea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2011. 24(4). 조미숙, 이경란. 근대 이후 죽의 조리과정 변화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011. 24(4). 

  8. Kang YH. A Historical Study of Korean Gruel. Journal of Myongji University. 1979. 12. 강인희. 한국 죽(粥)의 역사적 고찰. 명지대학교 논문집. 1979. 12. 

  9. Lee MH, Lee WS. A Study of Traditional Herbal Soups fo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for the Age-related Disease. Journal of Busan Women's College. 2007. 29. 이명해, 이우숙. 노인성 질환의 예방과 재활치유에 효과적인 한방죽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전문대학 논문집. 2007. 29. 

  10. Park JE. A Review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ngmyeong-gruel and Maintaining Its Medicinal(Yaksun) Efficacy. Daegu Haany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박지은. 聰明粥의 品質特性 및 藥膳 效能維持 檢討.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1. Jeong YH. Review of the type and nutritional value of medicinal porridge provided to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cords from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Kyunghee University.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6. 정연형. 조선 숙종(肅宗)에게 진상된 약죽(藥粥)의 종류와 영양학적 가치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2.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cited 2017 Feb 14]; Available from: URL: http://sjw.history.go.kr/main.do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