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차귀도 서북쪽 해역 내 퇴적 환경 및 퇴적물 조사
Survey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Sediment at the West-Northern Site of Chagwi-do nearby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9 no.2, 2016년, pp.137 - 143  

김한수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현종우 (블루코리아 이노베이션) ,  김창수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김정록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조일형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0 MW급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복합발전 플랫폼의 석션 매립 앵커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제주도 차귀도 서북쪽 인근해역에서 퇴적 환경 및 퇴적물 성분 조사를 수행하였다. Chirp III을 이용하여 획득한 탄성파 단면도를 Chough et al.[2002]의 분류 방법에 따라 음향상 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사 해역내의 중앙 및 서북부 지역에서는 주로 편평한 해저면 아래 두께 5~15 m의 내부 반사층이 존재하는 Type I-3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동남부 지역에서는 표층 반사 신호가 상대적으로 큰 Type I-1, I-2 그리고 III-1로 확인되었다. 또한 8개의 대표 정점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5종류의 물리적 시험(단위중량, 함수비, 입도분석, 액성 및 소성 한계, 비중)을 수행한 결과 조사 해역 내에는 모래(SP)와 실트가 섞인 모래(SM) 그리고 SP-SM이 혼합된 퇴적물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sediment were surveyed at the West-Northern site of Chagwi-do nearby Jeju Island for the design of the embedded suction anchor system of 10 MW-class floating wave-offshore wind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Chough et al.[2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에서는 Hong et al.[2013]이 제안한 10 MW급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복합발전 플랫폼의 석션 앵커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설치 대상 해역인 제주도 차귀도 서북쪽 해역에 대하여 탄성파 탐사를 이용한 퇴적 환경 조사와 해저면 시료채취를 실시하였다. 탄성파 탐사를 통해 얻은 음향상 자료를 Chough et al.
  • 본 연구에서는 복합발전 플랫폼의 앵커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주도 차귀도 서북쪽 해역의 퇴적 환경 조사와 그에 따른 퇴적물 성분 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퇴적 환경 조사를 위해 탄성파 탐사 장비 중 하나인 Chirp III를 이용하여 얻은 탄성파 단면도를 Chough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력 코어 채취기를 사용하여 어떻게 해저면 퇴적층 시료를 채취하는가? 중력 코어 채취기는 코어가 해저면에 박히는 순간 내부로 해저면 시료가 삽입되는 원리로, 깊이에 따라 시료 채취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해저면으로부터 약 15~20 m 위의 지점에서 윈치(Winch)에서 코어를 분리하여 자유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중력 코어 채취기의 내부 라이너(Liner)의 길이는 1.
해저 지형 및 해저면 탐사방법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은? 현재까지 해저 지형 및 해저면 아래 지층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탐사방법 중 탄성파 탐사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Kearey and Brooks[1991]). 탄성파 탐사의 원리는 수중에서 인공적으로 음파를 발생시키고, 수신기에서 받는 반사파의 신호를 분석하여 해저 지층 구조를 파악한다.
앵커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는? 특히, 계류/앵커시스템은폭풍과같은강한 파랑 외력에도 부유 구조물의 위치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부유체의 수명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매우 중요한 설계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앵커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파랑, 바람, 조류와 같은 해양환경외력 뿐만 아니라 설치 대상해역의 해저 지형 및 해저 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퇴적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복합 발전 플랫폼의 앵커 시스템으로 현재 고려중에 있는 석션 매입 앵커(Embedded Suction Anchor; ESA)는 석션의 기초와 동일한 원기둥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석션 기초 선단부에 부착되어 해저면 아래 원하는 깊이에 설치할 수 있는 앵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S.H., Kang, D.H., Lee, C.K., Jung. S.K., Choi, J.W. and Oh, S.T., 2015, "Overview of the KIOST-HYU joint experiment for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water geological environment", J. Acous. Soc. Kr., Vol. 34, No. 6, 411-422. 

  2. Chon, H.J., Seo, Y.K., Kim, D.C., Kim, J.C. and Keene, J., 1998, "Physical Properties and Facies of the Sand Ridge Sediment, South Sea of Korea", J. Korean Fish. Soc., Vol. 31, No. 5, 609-621. 

  3. Chough, S.K., Kim, J.W., Lee, S.H., Shinn, Y.J., Jin, J.H., Suh, M.C. and Lee, J.S., 2002, "High-resolutio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pocontinental sea deposits, central-eastern Yellow Sea", Mar. Geol., Vol. 188, 317-331. 

  4. Damuth J.E., 1980, "Use of high-frequency (3.5-12 kHz) echograms in the study of near-bottom sedimentation processes in the deepsea: a review", Mar. Geol., Vol. 24, 73-95. 

  5. Das, B.M., 1990,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second ed., PWS-KENT. 

  6. Folk, R.L., 1974,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 Austin. 

  7. Hong, K., Lee, K.S., Ki, K.H., Lee, K., Sohn, J.M. and Shim, W.S., 2013, "Introduction of R&D Project on 10MW class waveoffshore wind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The 2013 World Congress on Advances in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ASEM 13. 

  8. Jin, J.H. and Chough, S.K., 1998, "Partitioning of transgressive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Yello Sea: 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Mar. Geol., Vol. 149, 79-92. 

  9. Kearey, P. and Brooks, M., 1991, "An introduction to geophysical exploration", Second edi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USA, 254. 

  10. Kim, K.O., Kim, Y.S., Kim, T.H. and Ko, B.H., 2005a, "Centrifuge model test on the pullout capacity of embedded suction anchor with flanges in sand layer", Proc. of KSCE, 3427-3430. 

  11. Kim, K.O., Kim, Y.S. and Ko, B.H., 2005b, "Centrifuge Model Tests on the Pullout Capacity of Embedded Suction Anchor without Flanges in Sand layer", Proc. of KSCE, Kyeonggi, Korea, 517-520. 

  12. LeBlanc, L.R., Mayer, L., Rufino, M., Schock, S.G. and King, J., 1992, "Marine sediment classification using the chirp sonar", J. Aco. Soc. Am., Vol. 91, 107-115. 

  13. Lee, G.S., Kim, D.C., Seo, Y.K., Yi, H.I. and Yoo, S., 2009, "Sedimentry environment and sequence study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survey in Gyunggi Bay, the Yellow Sea", Korean J. Fis. and Aqu. Sci., Vol. 42, No. 6, 683-694. 

  14. Oh, J., Lee, Y.G., Yun, H., Kim, S.R. and Choi, J.M., 2000, "Sediment Distribution of the Yeosu S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Based on the 3.5 kHz Profiles", Econ. Environ. Geol., Vol. 33, No. 5, 425-434. 

  15. Schubel, J.R., Shen, H.T. and Park, M.J., 1984, "A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 sedimentation processes of estuaries entering the yellow sea", Proc. Korea-U. S. Seminar and workshop on marine geology and physical processes of the Yellow Sea, Seoul, 286-308. 

  16. Schock, S.G., LeBlanc, L.R. and Mayer, L.A., 1989, "Chirp subbottom profiler for quantitative sediment analysis", Geophysics, Vol. 54, 445-450. 

  17. Shinn, Y.J., Chough, S.K., Kim, J.W., and Woo, J., 2007, "Development of depositional system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during the postglacial transgression", Mar. Geol., Vol. 239, 59-83. 

  18. Yoo, D.G., Lee, C.W., Kim, S.P., Jin, J.H., Kim, J.K. and Han, H.C., 2002, "Late Quaternary transgressive and highstand systems track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mid-shelf", Mar. Geol., Vol. 187, 313-328. 

  19. Yu, S., 2010, "High resolution seismic study on sedimentary structure in the southern shelf of Jeju Island", The Graduate School of Pukyung Univ.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