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 선발
Selection of Poplar Clones for Short Rotation Coppice in a Riparian A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103 - 107  

김현철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  이솔지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  이위영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  강준원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육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수변지에 포플러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을 조성한 후 2년생 포플러 클론들의 바이오매스 생산, 질소 및 탄소흡수량을 구명하여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을 선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공시수종은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 및 현사시나무 72-30클론 등의 포플러 3클론이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줄기 수는 5.0개로 나타났으며,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5.9개로 가장 많았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줄기직경 생장은 23.2 mm로 나타났으며,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25.4 mm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포플러 클론별 연평균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16.1 ton/ha/year, 현사시나무 72-30클론이 12.3 ton/ha/year 그리고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5.4 ton/ha/year로 나타나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가장 우수하였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질소흡수량은 연간 46.5 kg/ha/year로 나타났으며, 현사시나무 72-30클론이 연간 63.1 kg/ha/yea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 탄소흡수량은 연간 5.3 ton/ha/year로 나타났으며,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연간 7.7 ton/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고려할 때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수변지 포플러 목재에너지림에 가장 적합한 포플러 클론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poplar clones for planting on short rotation coppice poplar plantations in a riparian area. The research investigated biomass production, nitrogen and carbon absorption with 2-year-old poplar (Populus spp.) clones including P. euramericana clone Eco28,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변구역에 포플러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을 조성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 및 수종별 탄소흡수량을 분석하여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수종 및 클론을 선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장점은? , 2014). 또한 전분계 바이오매스와는 달리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식량자원과의 경쟁이 없으며(Gray et al., 2006), 탄소고정 능력이 높아 화석연료의 대체로 사용할 수 있는 재생가능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Hamelinck et al., 2005).
2010년 전체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자원은 얼마인가?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자원은 2010년 현재 804백만톤이며, 시장으로 공급 가능한 목질계 바이오 매스 자원은 연간 약 1,300천톤으로 추정되고 있다(Son et al., 2014).
수변지 포플러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흡수원으로써의 역할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변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서의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 탄소흡수량은 연간 5.3 ton/ha/year로 나타났으며, 미류 나무 교잡종 97-18클론이 연간 7.7 ton/ha/year으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F=18.79, P<0.01). 일반적인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의 수명이 약 20년 정도임을 고려한다면(Dillen et al., 2013) 미류나무 교잡종 97-18클론의 경우, 20년 동안 약 154.0 ton/ha/year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다른 수종들에 비해 많은 양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2014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artisano, R., Mattioli, W., Corona, P.G., Mugnozza, S., Sabatti, M., Ferrari, B., Cimini, D., and Giuliarelli, D. 2013. Assessing and mapping biomass potential productivity from poplar-dominated riparian forests: A case study. Biomass and Bioenergy 54: 293-302. 

  2. Dillen, S.Y., Djomo, S.N., Al Afas, N., Vanbeveren, S., and Ceulemans, R. 2013. Biomass yield and energy balance of a short rotation poplar coppice with multiple clones on degraded land during 16 years. Biomass and Bioenergy 56: 15-165. 

  3. Fortier, J., Gagnon, D., Truax, B., and Lambert, F. 2010a. Biomass and volume yield after 6 years in muliclonal hybrid poplar riparian buffer strips. Biomass and Bioenergy 34: 1028-1040. 

  4. Fortier, J., Gagnon, D., Truax, B., and Lambert, F. 2010b. Nutrient accumulation and carbon sequestration in 6-yearold hybrid poplars in multiclonal agriculture riparian buffer strip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37: 276-287. 

  5. Gray, K.A., Zhao, L., and Emptage, M. 2006. Bioethanol. Current Opinion in Chemical Biology 10(2): 141-146. 

  6. Hamelinck, C., Hooijdonk, G., and Faaij, A. 2005. Ethanol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technoeconomic performance in short-, middle- and long-term. Biomass and Bioenergy 28(4): 384-410. 

  7. Kelly, J., Kovar, J., Sokolowsky, R., and Moorman. T. 2007. Phosphorus uptake during four years by different vegetative cover types in a riparian buffer.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34: 197-224. 

  8. Kim, H.C., Lee, W.Y., Yeo, J.K., and Oh, C.Y. 2015. Aboveground biomass and adaptability of four-year-old poplar in a riparian a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9(1): 95-102. 

  9. Kim, H.C., Shin H., Lee, H.H., Yeo, J.K., and Kang, K.S. 2014a. Biomass production in the short rotation coppice of poplar species treated with low-concentrated liquid fertilizer.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46(1): 10-16. 

  10. Kim, Y.H., Jeon, E.J., Shin, M.Y., Chung, I.B., Lee, S.T., Seo, K.W., and Pho, J.K. 2014b. A study on the baseline carbon stock for major species in Korea for conducting carbon offset projects based on forest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 439-445. 

  11. Labrecque, M. and Teodorescu, T.I. 2003. High biomass yield achieved by Salix clones in SRIC following two 3-year coppice rotations on abandoned farmland in southern Quebec, Canada. Biomass and Bioenergy 25: 135-146. 

  12. Laureysens, I., Pellis, A., Willems, J., and Ceulemans, R. 2005. Growth and production of a short rotation coppice culture of poplar. III. Second rotation results. Biomass and Bioenergy 29: 10-21. 

  13. Laureysens, I., Deraedt, W., Indeherberge, T., and Ceulemans, R. 2003. Population dynamics in a 6-year old coppice culture of poplar..Clonal differences in stool mortality, Shoot dynamics and shoot diameter distribution in relation to biomass production. Biomass and Bioenergy 24: 81-95. 

  14. Pellis, A., Laureysens, I., and Ceulemans, R. 2004. Growth and production of a short rotation coppice culture of poplar. Clonal differences in leaf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biomass production. Biomass and Bioenergy 27: 9-19. 

  15. Schultz, R.C., Colletti, J.P., Isenhart, T.M,. Simpkins, W.W., Mize, C., and Thompson, M. 1995. Design and placement of a multi-species riparian buffer strip system. Agroforestry System 29: 201-206. 

  16. Schultz, R.C., Isenhart, T.M., Simpkins, W.W., and Colletti, J.P. 2004. Riparian forest buffers in agroecosystems-lessons learned from from the Bear Creek Watershed, central Iowa, USA. Agroforestry System 61: 35-50. 

  17. Son, Y.M., Lee, S.J., Kim, S., Hwang J.S., Kim, R., and Park, H. 2014. Mapping and assessment of forest biomass resour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 431-438. 

  18. Yeo, J.K., Lee, W.W., Koo, Y.B., Woo, K.S., and Byun, J.K. 2010. Nitrogen storage potential in aboveground biomass of three-year-old poplar clones in a riparian a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3): 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