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VM을 이용한 경상남도산림박물관의 환경교육 가치추정 연구
Study of Valu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Gyeongnam Forest Museum using CVM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149 - 156  

강기래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하성근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김희채 (국립수목원) ,  임연진 (국립수목원) ,  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박창건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박물관은 산림 및 산림과 밀접한 환경에 관련한 특화된 유물과 자료를 수집 전시 및 교육을 위한 시설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산림박물관을 대상으로 산림과 환경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도구는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가상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을 이용하였다. 가치추정을 위한 연구는 대상지의 선정, 제시금액의 결정, 설문종사자들에 대한 사전교육 등을 거쳐 2014년 4월에서 10월에 걸쳐서 실시되었으며 386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치추정방식은 DBDC방식의 로짓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투입된 모수는 방문횟수(time), 환경교육의 정도(contri), 응답자의 환경보존노력(execu), 응답자의 학력(edu), 응답자의 소득(inc) 등을 투입하여 절단된 평균값(WTPtruncated)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인당 1회 방문시 얻을 수 있는 식물과 환경교육에 대한 가치는 23,338원이었다. 이를 2010년에서 2014년 까지 연간 평균이용객 약 430,000명을 적용하면 경상남도산림박물관이 매년 이용객에게 제공하는 환경의 가치는 약 100억원 이상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박물관이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산림교육 및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용되는 화폐액으로 제시 한데 그 의의가 있으며 산림박물관의 가치를 더욱 직접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여 산림박물관에 대한 직접적인 가치를 판단하게 하여 산림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museums can be defined as facilities for the collec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the forest or forest related artifacts or dat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ducational value of Gyeongnam state forest museum's forest and its environment. The tool used was the Contingent Valu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박물관은 어떤 시설인가? 산림박물관은 산림 및 산림과 밀접한 환경에 관련한 특화된 유물과 자료를 수집 전시 및 교육을 위한 시설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산림박물관을 대상으로 산림과 환경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도구는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가상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을 이용하였다.
경상남도산림박물관의 교육적 가치를 추정하기위해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산림박물관은 산림 및 산림과 밀접한 환경에 관련한 특화된 유물과 자료를 수집 전시 및 교육을 위한 시설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산림박물관을 대상으로 산림과 환경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도구는 환경재의 가치추정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가상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s: CVM)을 이용하였다. 가치추정을 위한 연구는 대상지의 선정, 제시금액의 결정, 설문종사자들에 대한 사전교육 등을 거쳐 2014년 4월에서 10월에 걸쳐서 실시되었으며 386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산림박물관의 가치를 더욱 직접적으로 판단하는 근거를 제시하여 인식을 전환하는 기회를 가질수 있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박물관이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산림교육 및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용되는 화폐액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산림박물관의 가치를 더욱 직접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여 인식을 전환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iraicy-Wantrup, S.V. 1947. "Capital Returns from Soil-Conservation Practicies", Journal of farm Economics 29: 1181-1196. 

  2. Duffield, J.W. and Patterson, D.A. 1991. Inference and Optimal Disign for a Welfare Measure in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eation. Land Economics 67: 225-239. 

  3. Ha, S.G., Shin, H.T., Jung, T.Y., and An, J.B. 2013. An Analysi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atisfaction of Forest Museum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3): 382-389. 

  4. Haab Timothy C. and Kenneth E. McConnell 2002.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The Econometrics of Non-Market Valua-tion. New Horizons In Environmental Economics, USA. 

  5. Hanemann, W.M. 1984.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3): 1057-1061. 

  6. Huh, S.S., Kim, J.H., Han, K.H., Shin, U.D., and Kang, G. M. 1999. A study on the Choice,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Plantation for Development of Tourism Botanical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4): 36-58. 

  7. Hwang, J.B., Song, S.B., Lee, D.C., and Shim, K.K. 2001. Weed Survey at Arboreta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1(4): 314-319. 

  8. Johanson, P.B. Kristrom and Maler, K.G. 1989.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Comment.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 1054-1055. 

  9. Kang, K.R. 2013.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Values of Individual Services of an Arboretum Using the CE Method -Focused on Gyeongnam Arboretu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 41-49. 

  10. Kang, K.R. 2010. Comparative Study on Monetary Estimates of Recreational Value of Recreational Forests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25-36. 

  11. Kang, K.R. 2009. Study on Measuring the Value of Recreational Forest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5): 42-52. 

  12. Kwon, O.S. 1999. Environmental Economics. Seoul: Bakyoungsa. 

  13. Lee, C.K. and Cho, Y.M. 2004. Valuation of Experiential Tourism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Journal of Hospitality Tourism Research 18(2): 217-232. 

  14. Ra, J.H. 1999. Analysis of Biotop Structure in Daegok Botanical Garden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4): 167-172. 

  15. Kopp, R.J., Pommerehne, W.W., and Schwarz, N. 1997. Determining The Value of Non-Marketed Goo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6. Roh, H.J. 2001.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With Hangul SPSS 10.0. Hyeongseol Publisher: Seoul. 

  17. Shin, H.T., An, J.B., and Ha, S.G. 2013. Analysis of Experience and Education Program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Forest Museum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4): 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