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작관찰 신체훈련을 병행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Combin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t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for Balance and Gait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1 no.2, 2016년, pp.93 - 102  

강권영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태윤 (원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plu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treatment on the weight distribution indexes (heel and toe; right and left), stability indexes, gait velocities, and stride lengths of stroke patients.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동작관찰 신체훈련을 병행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전⋅후 체중지지와 좌⋅우 체중지지, 안정성지수, 보행속도와 걸음거리의 증가를 위해 동작관찰 신체훈련을 병행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하여 뇌졸중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실제 실험에 들어가기 전 대상자들에게 균형과 보행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고, 실험목적과 방법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의 동의를 받았다. 대상자 모두 입원환자로 일반적인 물리치료 처방인 중추신경계발달치료, 보행훈련 및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받는 자이다.
  • 하지 대퇴부의 최대비의 변화율 평가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둘레의 증가가 일부 환자에게만 나타나거나(Bremner 등, 1992) 나타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다(Jin 등, 1995).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능동적 프로그램이나 새로운 치료방법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운동학습이 되지 않았거나 잊어 버렸어도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동작을 모방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관찰 신체훈련을 병행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동작관찰 신체훈련은 대뇌겉질의 운동영역을 자극함으로써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에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Lee와 Lee,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작관찰 신체훈련을 병행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이유는? 또한 동작관 찰 신체훈련은 시각적 관찰과 목적 있는 움직임 그리 고 운동상상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신경 네트워크가 포함된다(buccino 등, 2006). 따라서 뇌졸 중환자의 소실된 신경학적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감각적 자극과 이전에 학습되어 있던 운동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동작관찰 신체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궁극적으로 뇌의 가 역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일반인과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동작관찰 신체훈련의 연구가 시도 되었으며 (Atienza 등, 1998; Roure 등, 1999), 결과적으로 주목 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일반화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뇌 가역성의 향상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뇌 가역성의 향상은 다양한 감각자극과 반복적이고 집중적인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 중 하나가 거울신경시스템에 근거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다. 동작관찰 신체훈련은 동작을 관찰하고 관찰한 동작을 반복하는 방법이다(Lee와 Kim, 2011).
동작관찰 신체훈련은 어떤 방법인가? 뇌 가역성의 향상은 다양한 감각자극과 반복적이고 집중적인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 중 하나가 거울신경시스템에 근거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다. 동작관찰 신체훈련은 동작을 관찰하고 관찰한 동작을 반복하는 방법이다(Lee와 Kim, 2011). 거울신경시스템은 움직임을 실제로 하거나 관찰할 때도 대뇌 겉질을 활성화 시킨다(Rizzolatti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oyagi Y, Tsubahara A. Therapeutic orthosis and electrical stimulation for upper extremity hemiplegia after stroke: a review of effectiveness based on evidence. Top Stroke Rehabil. 2004;11(3):9-15. 

  2. Atienza FL, Balaguer I, Garciia-Merita ML. Video modeling and imaging training on performance of tennis service of 9-to 12-year-old children. Percept Mot Skills. 1998;87(2):519-29. 

  3. Bremner LA, Sloan KE, Day RE, et al. A clinical exercise system for paraplegics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Paraplegia. 1992;30(9):647-55. 

  4. Buccino G, Solodkin A, Small SL. Functions of the mirror neuron system: implications for neurorehabilitation. Cogn Behav Neurol. 2006;19(1):55-63. 

  5. Burridge J, Taylor P, Hagan S, et al. Experience of clinical use of the Odstock dropped foot stimulator. Artif Organs. 1997;21(3):254-60. 

  6. Cho MS. The Effect on Ankle Joint Movement by FES Application on Tibialis Anterior Muscl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1; 6(3):277-86. 

  7. Choi JH, Park SH. The Effect of Weight Shifting and Motor Imagery Training on the Ability of Weight Shifting Task and Functional Activit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09;48(4):169-82. 

  8. Davis GM, Hamzaid NA, Fornusek C. Cardiorespiratory, metabolic, and biomechanical responses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leg exercise: health and fitness benefits. Artif Organs. 2008;32(8):625-9. 

  9. Di Fabio RP, Badke MB. Relationships of sensory organization to balance function in patients with hemiplegia. Phys Ther. 1990;70(9):542-8. 

  10. Dijkerman HC, Ietswaart M, Johnston M, et al.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 Rehabil. 2004; 18(5):538-49. 

  11. Han KJ. The Effect of 3D Image Action Observation on the Mirror Neuron Activity of Normal Subjects and People with Chronic Stroke. Doctor's Degree. Seonam University. 2012. 

  12. Jackson PL, Lafleur MF, Malouin F, et al. Potential role of mental practice using motor imagery in neurologic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8): 1133-41. 

  13. Jenannerod M. Neural simulation of action: a unifying mechanism for motor cognition. Neuroimage. 2001; 14(1):103-9. 

  14. Jin MR, Park CI, Park ES. Changes of muscle strength afte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complete paraplegia. J Korean Acad Rehab Med 1995;19(3):620-8. 

  15. Johnson SH. Imagining the impossible: intact motor representations in hemiplegics. Neuroreport. 2000;11(4):729-32. 

  16. Joseph J. A Discussion of Cybersickness in Virtual Environments SIGCHI Bulletin. 2000;32(1):47-56. 

  17. Kang KY. Effects of Observed Action Gait Training on Spatio-temporal Parameter and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3;8(3):351-60. 

  18. Kim JM. Neuroanatomy & neurophysiology (4THed). Seoul. Jdmpub. 2011. 

  19. Lee GC, Lee SM. Effects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Post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0;49(1):113-31. 

  20. Lee MG, Kim JM.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Arm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Korea. 2011;18(2):27-34. 

  21. Lee SY, Lee MH, Bae SS, et al.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and motor imagery of serial reaction time task(SRTT) in mirror neuron activation. J Korean Soc Phys Med. 2010;5(3):398-404. 

  22. Lindquist AR, Prado CL, Barros RM, et al. Gait training combining partial body-weight support, a treadmill,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effects on poststroke gait. Phys Ther. 2007;87(9):1144-54. 

  23. Lotze M, Cohen LG. Volition and imagery in neurorehabilitation. Cogn Behav Neurol. 2006;19(3): 135-40. 

  24. Nichols DS.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 Ther. 1997;77(5):553-8. 

  25. Olsson CJ, Jonsson B, Nyberg L. Learning by Doing and Learning by Thinking: An fMRI Study of Combining Motor and Mental Training. Front Hum Neurosci. 2008;2(5):1-7. 

  26. Park SH, Lee SM, Kim SB. The Influence of Motor Cortical Excitability on Visual Illusion Using Mirror, Motor Imagery and Action Observation.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009;20(3):211-22. 

  27. Popovic MR, Keller T. Modular transcutaneou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Med Eng Phy. 2005; 27(1):81-92. 

  28. Rizzolatti G, Fadiga L, Gallese V, et al. Premotor cortex and the recognition of motor actions. Brain Res Cogn Brain Res. 1996;3(2):131-41. 

  29. Roure R, Collet C, Deschaumes-Molinaro C, et al. Imagery quality estimated by autonomic response is correlated to sporting performance enhancement. Physiol Behav. 1999;66(1):63-72. 

  30. Tombaugh TN, McIntyre NJ.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 Am Geriatr Soc. 1992;40(9):922-35. 

  31. Yan T, Hui-Chan CW, Li L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mproves motor recovery of the lower extremity and walking ability of subjects with first acute strok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Stroke. 2005; 36(1):80-5. 

  32. Yang CY, Kim TJ, Lee JH, et al.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otor Function of Lower Limb in Hemiplegic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9;33(1):29-35. 

  33. Yang YP, Kim JH, Han MR, et al.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Affected Side Upper Limb Dexterity in Stroke Patient: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J Korean Soc Phys Med. 2012;7(1):111-8. 

  34. Yoon JG, Kim MH, Yook DW. The Effects of Self-Controlled Learning on Balance in Hemiplegic. Phys Ther Korea. 2005;12(1):36-44. 

  35. Ziemann U. TMS induced plasticity in human cortex. Rev Neurosci. 2004;15(4):25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