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당뇨지식이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Literacy and Knowledge on Diabetic Self-care in the Elderly with DM Living Alon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4, 2016년, pp.370 - 379  

김난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양영란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명하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self-care adherence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DM) who have lived alone,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diabetic knowledge and self-care adherence. Methods: Descriptive research using the cross-s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스스로 질병관리를 해야 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까지 시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거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간호 이행의 수준을 알아보고,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당뇨지식이 자가간호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독거노인 당뇨병 환자의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당뇨병 환자가 젊은 환자와 비교했을 때 특징은? 3%에 불과하여[7], 당뇨병은 조절은 가능하지만 완치되지 않으므로 자신의 질병관리에 대해 적극적인 자가간호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노인 당뇨병 환자는 젊은 환자보다 당뇨병 관리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보다 많이 요구되고, 남은 생이 당뇨병 합병증을 염려할 정도로 길지 않다는 점 등의 이유로 적극적인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덜 인지하고 있다[8]. 또한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로 부적절한 혈당 반응을 촉진시킴으로써 합병증이 동반되기 쉽고, 노화과정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기능의 감소의 문제 등이 가중되어 자가간호 수준이 더욱 낮은 편이다[9].
당뇨병 치료를 위해 필요한 것은? 당뇨병의 치료 목적은 최적의 혈당 수치를 유지하고 저혈당과 관련된 건강위험 상황을 피하며, 급성 합병증의 예방 및 당뇨의 만성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고 진행을 막는 것이다[5]. 이를 위해서는 혈당측정, 소변검사, 규칙적인 활동, 식이조절,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복용 및 인슐린 주사를 놓는 등의 지속적인 자가간호가 필요하다[6]. 국내 당뇨병 유병자 중 조절이 잘되는 대상자는(당화혈색소 6.
당뇨병의 치료 목적은 무엇인가? 당뇨병의 치료 목적은 최적의 혈당 수치를 유지하고 저혈당과 관련된 건강위험 상황을 피하며, 급성 합병증의 예방 및 당뇨의 만성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고 진행을 막는 것이다[5]. 이를 위해서는 혈당측정, 소변검사, 규칙적인 활동, 식이조절,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복용 및 인슐린 주사를 놓는 등의 지속적인 자가간호가 필요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s on the aged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 2016 September 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smart/news/file_dn.jsp?aSeq348565&ord6 

  2. Kim YJ.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3):333-344. 

  3. Yu GS, Park HS.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senior people living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3;23(4):163-179. 

  4. Ko YM, Cho YT. Different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self-rated health between the economically poor and non-poor elderly populations living alone: Based on one sub-area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3;30(2):41-53. 

  5. Rosenstock J.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the elderly: Special considerations. Drugs and Aging. 2001;18(1):31-44. 

  6. Kim JH, Chang SA.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009;33(6):518-525. http://dx.doi.org/10.4093/kdj.2009.33.6.518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16 September 6]. Available from: http://stat.moh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menuId47&nttSeq21894&bbsSeq13&nttClsCd 

  8. Yang NY. Knowledge,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 regarding foot care among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21(4):413-422. 

  9. Conn VS, Russell CL. Self-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among aging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5; 31(5):4. http://dx.doi.org/10.3928/0098-9134-20050501-03 

  10. Baker DW, Wolf MS, Feinglass J, Tompso JA, Gazmararian JA, Huang J. Health literacy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7;167(14):1503-1509. http://dx.doi,org/10.1001/archinte.167.14.1503 

  11. Speros C. Health literac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0(6):633-640. 

  12. Dewalt D, Pignone MP. The role of literacy in health and health care.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5;72(3):387-388. 

  13. Kripalani S, Robertson R, Love-Ghaffari MH, Henderson LE, Praska J, Strawder A, et al. Development of an illustrated medication schedule as a low-literacy patient education too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7;66(3):368-377. 

  14. Kim SH, Lee EJ.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195-203. 

  15. Koh EA, Park HJ. Health literacy, diabetic knowledge, and diabetic self-care among foreign diabetic patients at a hospital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5;27(4):397-405. http://dx.doi.org/10.7475/kjan.2015.27.4.397 

  16. McCleary JV. Health literacy and its association with diabetes knowledge, self-efficacy and disease self-management among african with diabetes mellitus. Association of Black Nursing Faculty Journal. 2011;22(2):25-32. 

  17. Kang HY, Gu MO.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elf-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4);533-543. http://dx.doi.org/10.4040/jkan.2015.45.4.533 

  18. Lee HL. A survey on knowledge of diabetes and self-care behavior of rural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2013;8(1):13-24. 

  19. Choi GA, Jang SM, Nam HW.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Korean Diabetes Journal. 2008;32(3):280-289. 

  20. Chew LD, Griffin JM, Partin MR, Noorbaloochi S, Grill JP, Snyder A, et al. Validation of screening questions for limited health literacy in a large VA outpatient population.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8;23(5):561-566. http://dx.doi.org/10.1007/s11606-008-0520-5 

  21. Son YJ, Song EK.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1):6-15. 

  22. Fitzgerald JT, Anderso RM, Funnell MM, Hiss RG, Hess GE, Barr PA,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diabetes knowledge test. Diabetes Care. 1998;21(5):706-710. 

  23. Choi EJ.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130 p. 

  24. Toobert DJ, Glasgow RE. Assessing diabetes self-management: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In: Bradley C, editor. Handbook of Psychology and Diabetes. The Netherlands: Harwood Academic; 1994. p. 351-375. 

  25. Toobert DJ, Hampson SE, Glasgow RE.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Results from 7 studies and a revised scale. Diabetes Care. 2000;23(7):943-950. 

  26. Chang SJ, Song M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for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21(2):235-244. 

  27. Jong JH.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diabetes knowledge for diabetes self care activities in low income elderly diabetes mellitus [master's thesis]. [Busan]: Inje University; 2012. 50 p. 

  28. Lee YM, Son YJ, Lee EJ.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2;14(6):3087-3101. 

  29. Zang HL, Kim HL. Compliance and barriers to self-care behavio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1):155-166. 

  30. Mbaezue N, Mayberry R, Gazmararian J, Quarshie A, Ivonye C, Heisler M. The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patients with diabetes receiving care in an inner-city hospital. Journal of the National Medical Association. 2010;102(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