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희귀식물 가침박달(Exochorda serratifolia S.Moore)의 분포,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il Condition of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6, 2016년, pp.929 - 938  

송준호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공민정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옥민경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홍석표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희귀수종인 가침박달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여 기존 문헌 및 선행 연구와의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식물상 문헌 및 표본정보를 통해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외부형태형질과 토양 조건과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가침박달 자생지 토양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3.25-29.83%, 전질소함량 0.15-1.14%, 유효인산 3.0-156mg/kg, 치환성 $K^+$ $0.39-1.49cmol^+/kg$, 치환성 $Ca^{2+}$ $2.48-38.07cmol^+/kg$, 치환성 $Mg^{2+}$ $0.77-18.29cmol^+/kg$, 양이온치환용량 $7.3-23.0cmol^+/kg$으로 확인되었으며, 토양 pH는 4.6-7.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구 앞산 집단의 경우, 유기물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이 가장 높았고, 화서의 길이가 길고, 꽃의 수가 많아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성 있게 차이를 나타냈다(P < 0.001). 또한, 집단의 유전적거리와 지리적 거리, 일부 외부형태형질의 차이를 통해 이들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희귀 수종인 가침박달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서식지 내 보존을 위해 외부형태형질, 유전적 구조, 생육상태, 식생구조, 환경특성 등 다양한 데이터의 종합적 고찰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the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rare species,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in South Korea through a comparison of its previous records. Also, a distribution map of this species was made using previous data on flora and voucher specimens. Furthermore, the soi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한반도 내 가침박달의 실제 분포역과 외부형태학적 형질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고, 특히 각 자생지 별 형태학적 형질의 비교 및 자생지 환경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생지 내 개체수 및 자생지가 감소되어 희귀종으로 지정되어 보존이 필요한 분류군인 가침박달의 한반도 분포역을 보다 명확히 하고,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자세히 기재하며, 각 자생지 별 형태학적 형질의 차이를 최근 수행된 자생지 환경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본 종의 보존 및 유전적 다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001의 결과가 나타나 중북부와 남부지역 간 차이에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본 결과, 두 집단 가운데 중북부 지역의 잎의 길이와 너비가 남부 지역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추후 지속적인 지역적 환경 요인과 서식지 생태 요인 등의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형태학적 형질과 자생지의 환경과의 비교를 위해 현지조사 및 가침박달 자생지의 환경특성에 관한 이전의 연구 (Kim et al., 2014)의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토양분석을 통해 주요 형태형질과의 연관성을 유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침박달속이란 무엇인가? 가침박달속(Exochorda Lindl.)은 장미과(Rosaceae Juss.), 조팝나무아과(Spiraeoideae Arn.)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4종이 속하며, 전 세계적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만 분포하는 아시아 특산속 식물로 보고되어있다(Gu and Alexander, 2003; Kalkman, 2004). 한반도에는 가침박달(Exochorda serratifolia S.
가침박달의 높이는? , 2014). 가침박달은 높이가 5m에 이르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총상꽃차례에 백색의 양성화가 모여 달리며, 9월에 삭과의 열매가 성숙한다(Lee, 1993; Kim and Kim, 2011). 본 종은 종자번식, 삽목, 접목, 분지에 의해 증식이 잘 되고, 꽃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내음성, 내한성, 내병충성이 강해 매우 유용한 원예작물로 평가되고 있다(Lee et al.
가침박달의 장점은? 가침박달은 높이가 5m에 이르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총상꽃차례에 백색의 양성화가 모여 달리며, 9월에 삭과의 열매가 성숙한다(Lee, 1993; Kim and Kim, 2011). 본 종은 종자번식, 삽목, 접목, 분지에 의해 증식이 잘 되고, 꽃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내음성, 내한성, 내병충성이 강해 매우 유용한 원예작물로 평가되고 있다(Lee et al.,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ickelhaupt, D.H., C. Schirmer and E.H. White(1982) Laboratory Manual for Soil and Plant Tissue Analysi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Syracuse, New York, 67pp. 

  2. Chang, C.S., H. Kim and K.S. Chang(2014) Provisional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KPF). Designpost, Seoul, 660pp. 

  3. Choi, C.S., Y.E. Park and S.J. Kang(1994) Structure of Exochorda serratifolia in Mt. Uam-Maintenance and conservation. Nature conservation 13: 85-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u, C. and C. Alexander(2003) Exochorda. In: Z.Y. Wu, P.H. Raven and D.Y. Hong(eds.), Flora of China. Vol. 9., Science Press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Beijing & St. Louis, pp. 82-83. 

  5. Hong, K.N., J.W. Lee and J.T. Kang(2013)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Exochorda serratifolia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1): 122-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wang, Y., M.S. Han, Y.Y. Kim and M.Y. Kim(2014)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Populatio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8(6): 751-7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J.(1988) A study on the wild Exochorda serratifolia for landscaping and horticulture.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3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S. and T.Y. Kim(2012)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688pp. (in Korean) 

  9. Kim, K.A., K.S. Cheon and K.O. Yoo(2014)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habitat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7(2): 155-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oh, S.D.(2006)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istics of Exochorda serratifolia community.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22(2): 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rea Forest Service(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296pp. 

  12. Lee, S.T.(2007) Exochorda. In: C.-W. Park(e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542. 

  13. Lee, T.B.(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pp. (in Korean) 

  14. Lee, E.K.(1989) Flora of Mt. Ap in Daegu. Master Thesis, Kyungpook Natl. University, Korea, 5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E., K.P. Han, W.G. Park and I.S. Kim(1987) A study on the wild Exochorda serratifolia for landscape horticultural cul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 139-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K.S. and D.S. Cho(2000)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microenvironment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Mt. Jumbong biosphere reserve area,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3(3): 241-2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iller, H.G. and R.L. Donahue(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J., 768pp. 

  18. Nakai, T.(1928) Notulae ad Plantas Japoniae & Koreæ XXXVI. 42: 469. 

  19.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J.H. Kim, C.Y. Yoon, Y.D. Kim, K.O. Yoo and C.G. Jang(200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3. Central & South Province (Chungcheong-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821pp. (in Korean) 

  20. Oh, B.U.,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and C.G. Jang(2007)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4. Central & South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783pp. (in Korean) 

  21. Oh, B.U., K.S. Kim, S.C. Ko, B.H. Choi,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C.G. Jang, S.H. Kang and C.H. Lee(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5.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761pp. (in Korean) 

  22.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C.G. Jang and S.H. Kang(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6. Central Province (Gangwon-do).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793pp. (in Korean) 

  23. Oh, B.U., D.G. Jo, S.C. Ko, B.H. Choi, H.T. Im, W.K. Paik, Y.M. Lee, G.Y. Chung, K.O. Yoo, C.G. Jang and S.H. Kang(2011)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9. Western & southern coastal a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813pp. (in Korean) 

  24. Park, K.M.(2004) Multivariate Analysis on the Common Pealbush (Exochorda serratifolia) Communities at Mt. Daeduk. Master Thesis, Yeungnam University, Korea, 6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Y.E.(1994) Eocological study on the structure and seedling in Exochorda serratifolia. Master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2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o, S.K. and H.K. Song(2012)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2): 210-2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