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onprofit Organization works' Work-Life Balance on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2, 2016년, pp.57 - 74  

서종수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for Nonprofit organization(NPO) worker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s, to identify how work-life balance affects workers' turnover intention. From October 10 to November 10, 2013,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workers at NPOs located in Busan, Sou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일-생활균형과 이직의도를 알아보고, 일-생활균형의 각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변인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을 향상시켜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일-생활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과 이직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역에 있는 장애인관련 비영리기관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 지역의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 이메일 및 우편발송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과 생활의 균형정도와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일-생활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일-생활균형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일-생활균형과 이직의도를 알아보고, 일-생활균형의 각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변인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을 향상시켜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별, 연령, 혼인상태, 최종학력, 연령, 직위, 경력, 월수입, 가정경제부담감, 주당근무시간을 통제변인으로, 일-생활균형의 하위요인인 일-가정균형, 일-여가 균형, 일-개인생활균형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과 이직 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생활균형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일-생활균형은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사회보장체계 유지를 위한 여성노동력의 확보, 젠더 평등과 같은 다양한 배경 하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김영미, 2008). 일-생활균형이란 일과 일 이외의 영역에서 시간과 심리적ㆍ신체적 에너지를 질적으로 배분함으로써 삶을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하는 상태를 의미한다(김정운 외, 2005).
오늘날 일-생활균형이 이슈로 자리 잡은 이유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일-생활균형은 저출산ㆍ고령화 사회에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사회보장체계 유지를 위한 여성노동력의 확보, 젠더 평등과 같은 다양한 배경 하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김영미, 2008). 일-생활균형이란 일과 일 이외의 영역에서 시간과 심리적ㆍ신체적 에너지를 질적으로 배분함으로써 삶을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하는 상태를 의미한다(김정운 외, 2005).
일-생활균형을 위해 기업에서 도입하는 것은? 일-생활균형을 위하여 국가 차원에서는 가족수당, 양육비의 지급, 보육시설 확대 및 보육서비스를 비롯하여, 일-생활균형을 지원하는 서비스 전달체계를 확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사랑의 날 지정 등과 같은 범국민적 캠페인 등을 실시하고 있다. 기업차원에서는 다양한 유연근무형태(시간제근무, 시차출퇴근제, 근무시간선택제, 집약근무제, 재량근무제, 집중근무제, 유연복장제, 재택근무제, 원격근무제)를 비롯한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이처럼 전 사회적으로 일-생활균형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제도들이 도입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가정지원센터, 일-가정양립지원센터와 같이 일-생활균형을 지원하는 서비스 전달체계가 확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인주(2015).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경력동기, 조직지원인식,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고용가능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공계순(2005).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9, 7-35. 

  3. 국가인권위원회(2013). 사회복지사 인권상황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4. 김교정(2003). 사회복지실무자의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부산 사회복지기관의 실무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9(2), 65-93. 

  5. 김영미(2008). 한국사회, 일.가정양립의 현주소. 지역사회연구, 59, 32-36. 

  6. 김정운, 박정열(2004). 주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연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7. 김정운, 박정열(2008). '일과 삶의 균형'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8. 김정운, 박정열, 손영미, 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9. 김주엽, 박종찬, 김찬중(2009). 일과 생활의 균형, 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33(4), 121-153. 

  10. 김주엽, 박상언, 지혜정(2011). 일-생활균형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14(1), 1-29. 

  11. 뉴시스(2016.01.13). 디지털 익숙한 청년 직장인... '일.생활균형'없어 단기이직 한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13_0013834291&cID10201&pID10200 

  12. 문영주(2010).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다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경규(2002). 인사관리. 서울: 홍문사 

  14. 박주혜(2008).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전업주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지원(2007). 사회적 지원이 일-가정 상호관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현미(2009). 노동자들의 일과 생활균형의 현황-한국노총 산하 노동자 의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노동저널, 10, 38-95. 

  17. 서종수(2010).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종수, 조희금(2015). 가족사업기관의 조직특성 및 종사자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4), 19-32. 

  19. 손영미, 김정운, 박정열(2011).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변인의 영향력 검증연구. 여가학연구, 9(1), 101-131. 

  20. 손영미, 박정열(2014). 남녀의 일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161-190. 

  21. 손영미, 박정열(2015).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51-74. 

  22. 심지양(2011). 근로자의 일생활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아시아경제(2014.02.18). 이력서에 '기혼'이라 쓰면... 면접관은 '감점'으로 읽는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21813564908196. 

  24. 안관영(2008). 기혼 여교사의 직무특성, 직장-가정갈등 및 직업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50, 163-180. 

  25. 안병주, 차민석(2013). 소진과 이직의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3(11), 93-112. 

  26. 양노열, 박지혁, 한대성, 이주현(2014).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4), 39-48. 

  27. 오재동, 김경호(2013). 사회복지사의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83-104. 

  28. 오지경, 김은규, 노용휘(2013). 객실승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5(7), 383-399. 

  29. 이병재, 정태석(2013).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8), 75-93. 

  30. 이선경, 이춘후, 김상순(2014).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1(5), 245-262. 

  31. 이수성(2008).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연순(2005).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윤경(2009). 일과 생활의 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은미(2008).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인재, 김성우(2012). 자활실무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2), 1-25. 

  36. 이혜정, 유규창(2013).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세대별 일의 가치를 통해 본 의미와 역할. 노동정책연구, 13(4), 1-31. 

  37. 장윤정(2011). 공공.민간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비교 연구, 노인복지연구, 51, 361-382. 

  38. 정우진, 김강식(2014). 근로시간과 일-가정갈등 및 이직의향. 질서경제저널, 17(2), 69-87. 

  39. 추원준, 황호영, 최인태, 박정일(2014). 일과 생활의 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6(1), 53-78. 

  40.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41. 한국고용정보원(2013). 2013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한국고용정보원. 

  42.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12). 2012년 한국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43. 한지일(2011). 직장에서의 세대 변인에 따른 일-가정, 일-여가, 일-성장 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Dalton, D. R. & Todor, W. D.(1993). Turnover, Transfer, Absenteeism: An interdependent Perspective. Journal of Management, 19(2), 193-219. 

  45.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 510-531. 

  46. Hian, C. C. & Einstein, W. O.(1990). Quality of Work Life: What can Unions do. Advanced Management Journal, 55(2), 17-22. 

  47. Lawler, E. E.(1983).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J. R. Hackman, E. E. Lawler. & L. W. Porter(Eds.). Perspectives on behavior in organizations(pp. 78-87). NY : MaGraw-Hill Book Company. 

  48. Marks, S. R. & MacDermid, S. M.(1996). Multiple roles and the self: A theory of role bal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417-432. 

  49. Mobley, W. H.(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50. Steel. R. P. & Ovalle, N. K.(1984).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4), 673-686. 

  51. Vandenverg, R. & Nelson, J.(1999). Disaggregating the motives underlying turnover intentions: When do intentions predict turnover behaviour?. Journal of Human Relations, 52, 1313-13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