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지지 및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o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2 no.3, 2018년, pp.43 - 59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r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 family compatibility on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자녀의 취학·미취학의 학령요인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취업모의 일-가정의 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특히 직장 내에서도 성역할 분담에 따른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상담서비스와 직장교육 프로그램의 보급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 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배우자의지지는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감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 배우자간의 가정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 시간과 노동에 있어서의 일과 가정간의 균형적인 분배를 이루도록 돕는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정부는 기업연계 '가족친화 직장교육'등의 실시 등을 통해 가족친화 직장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육아휴직제도와 유연근무제 등을 남성이 더욱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업의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 정책이 요구된다.
  • 또한 취업모의 배우자지지를 도구적 지지에 초점을 두어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효과성 검증과 심리적 복지감 향상에 필요한 조건들이 무엇인지에 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그러나 심리적 복지감은 매우 주관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일반적 정의가 어렵다는 점에서 심리건강의 다면적 경험을 포함한 더욱 정교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심리적 복지감을 살펴보겠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의 규명과 일-가정 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 일-가정 양립지원 제도가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에 본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지지,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취업모 30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복지감을 종속변수, 일-가정 갈등을 독립변수로 분석하였다.
  • 본연구는 여러 국내·외의 다양한 일-가정 양립 제도의 정의에 따라 국내 기업에서 도입되고 있는 일-가정 양립지원제도를 출산양육 휴가휴직제도, 가족돌봄지원제도, 유연근무제도로 구성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박신아(2014)의 연구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부족하여 가정생활에서 더 갈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상황에서 배우자 심리적·정서적 지지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이들 연구들은 일-가정 갈등 상황에서 일-가정 양립정책과 배우자지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일-가정 갈등의 상황에서 심리적 복지감에 미친 배우자의 도구적 지지와 일-가정 양립제도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 또한 취업모의 배우자지지를 도구적 지지에 초점을 두어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효과성 검증과 심리적 복지감 향상에 필요한 조건들이 무엇인지에 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의 규명과 일-가정 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일-가정 양립지원제도가 가지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가정 역할갈등이 호혜적 방향에서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미취학아동양육 취업모와 취학아동양육 취업모를 대상으로 이들의 심리적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러나 자녀의 취학·미취학의 학령요인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취업모의 일-가정의 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외에 기타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령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삶을 보다 긍정적으로 판단하게 됨으로써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다고 주장하는 연구(Campbell, 1981)가 있는가 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아진다는 연구(권태연, 2009)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혼여성 취업자 중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적이 있는 경험자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로는 한국사회가 여전히 강한 가족주의적 경향과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가치를 반영하여 가사노동과 돌봄에 대한 책임을 여전히 여성의 몫으로 남겨두고 있기 때문이다(송유미·이제상, 2011). 즉, 자녀양육과 돌봄의 기대는 남성에게 보다 여성에게 훨씬 높고, 취업모 스스로도 자녀양육과 돌봄에 대한 기대와 책임에 대해 아직 전통적 성역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박주희, 2010; Park & Liao, 2000). 따라서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취업가족의 삶의 질의 저하가 초래하는 부정적 영향은? 이러한 일-가정 양립 과정에서의 고충은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감을 약화시키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여 취업가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취업가족의 삶의 질의 저하는 가족생활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키고 노동시장 측면에서 생산성의 저하 등 국가의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심리적 복지감이란? 심리적 복지감은 매우 다양하고 다차원적인 개념이나 흔히 인간의 생활에 대한 만족을 심리적 건강 상태, 행복과 적응에 관련한 생활의 만족으로 정의될 수 있다. Medley(1976)에 따르면 심리적 복지감은 단지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 11(2), 163-186. 

  2. 강혜련.최서연(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3. 권순원.이영지.김봄이(2013).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경영교육연구, 28, 299-329. 

  4. 권태연(2009).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2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163-196. 

  5. 김경희.이복순(2009).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3, 333-362 

  6. 김리진.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38(12), 47-58. 

  7. 김성경(2011). 기혼 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단일호), 69-94. 

  8. 김성국.박수연.이현실(2017).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3), 267-275. 

  9. 김소정(2016).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일가족갈등과 일가족 촉진의 통합적 접근. 사회복지연구, 47(3), 161-185. 

  10. 김영선.옥선화(2005). 가족기업 종사자의 일-가족갈등 및 직업만족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223-23 9. 

  11. 김종성(2013).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현(2011).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동.김명희(2011). 기혼여성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여성연구, 33-67. 

  14. 김현화(1992).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성역할 정체감과 내외통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혜선(2003).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류연지(1996).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류임량(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전이(work-to-family spillover)에 대한 연령계층별 차이 연구. 페미니즘 연구, 9(2): 119-156. 

  18. 박신아(2014).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여성노동자의 직업 지위 차이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주희(2003). 가족과 일. 도서출판, 하우. 

  20. 박주희(2010).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요소가 유자녀 기혼남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거주환경 만족도, 가족지원시설만족도, 양육 및 교육환경 만족도, 생활환경 접근성 중심으로. 가정관리학회지, 28(5), 55-66. 

  21. 박주희.김양호(2012).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만족도와 역할만족도 및 역할긴장도가 기혼 취업남녀의 결혼향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187-210. 

  22. 박주희(2015).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역할갈등, 배우자지지 자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9(3), 41-62. 

  23. 방하남(2000). 한국노동패널 특집/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특별호, 23(단일호), 133-154. 

  24.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25. 손영빈.최은영(2009). 맞벌이 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만족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지원의 조절 효과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29-60. 

  26. 손재희.김은정(2014).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아동양육 취업여성의 근로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3), 421-441. 

  27. 송다영(2008). 일과 가족 양립을 위한 가족지원 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정책, 34(9), 7-33. 

  28. 송유미.이제상(2011).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1(1), 27-61. 

  29. 심세연(2016). 근로자의 직장-가정 전이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심지양(2010). 취업기혼남녀의 일-생활균형요인과 관련요인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 발표대회 자료집, 246-247. 

  31. 안미양(2009).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결혼 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원영희(1995). 동.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 97-116. 

  33. 유계숙(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가족과 문화, 19, 35-59. 

  34. 유계숙(2012).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 한국심리학회지, 18(1), 111-125. 

  35. 이선아(2014).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이요행.방묘진.오세진(2005),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18(3),639-65 7. 

  38. 이윤석(2010).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한국인구학, 33(2), 1-31. 

  39. 이은희(2000). 일과 가족 갈등의 통합모형: 선행 변인, 결과변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2), 1-42. 

  40. 이자명(2013). 워킹맘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서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대안 적사고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이현송(2000).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3(1), 91-117. 

  42. 이희정.이숙현(1995).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긍정적 정서와 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3(6), 25-41. 

  43. 임효창.이봉세.박경규(2005),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4(5), 1417-1443. 

  44. 장영은.박정윤.이승미.권보라(2011).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63-72. 

  45. 전명숙.양난미(2013). 학령기 아동을 키우는 전일제 취업모들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 282-282. 

  46.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일 가정 양립지표 보도자료(2017. 12.15.). 통계청. http://kostat.go.kr 

  48. 통계청(2017). 지역별고용조사 

  49. 하민지.권기헌(2010). 보육서비스 이용이 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서비스 지역아동센터 이용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2), 231-256. 

  50. 하오령, 권정혜(200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 건강과 역할 만족도: 역할 갈등, 완벽주의 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5(3), 675-696 

  51. 홍승아, 김은지(2015). 가족친화 인증제 운영의 기업업종별 특수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수시과제-4). 

  52. Abendroth, A. K., & Den Dulk, L.(2011). Support for the work-life balance in Europe: The impact of state, workplace and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5(2), 234-256. 

  53. Allen, T. D. (2001).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3), 414-435. 

  54. Anderson, S. E., Coffey, B. S. & Byerly, R. T.(2002). Formal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informal workplace practices: Links to workfamily conflict and job-related outcomes. Journal of Management, 28(6), 787-810. 

  55.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Mcgraw-Hill. 

  56. Eaton, S. C.(2003). If you can use them: Flexibility polic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Industrial Relations 42, 145-167. 

  57. Edwards, J. R., & Rothbard, N. P. (2000).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178-199. 

  58. Ezra, M., and Melissa, D.(1996). Balancing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Flextime and Child Care in the Feder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6(2): 174-179. 

  59. Ford, M., Heine, B., & Langkamer, K. (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60.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1), 65-78. 

  61. Fujimoto, T., Shinohara, S. K., & Oohira, T.(2014).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for employed husbands and wives in Japan: Moderating roles of self and spousal role involvement.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ial Responses to Health Issues, 8, 135-162. 

  62. Galinsky, E., Friedman, D. E, & Hernandez, C. A.(1991). The corporate reference guide to work-family programs. New York: Families and Work Institute. 

  63. Greenhaus, J. H., & Beutell, N. 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64.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65. Grover, S., & Crooker, K.(1995). Who appreciates family-responsive human resource policies: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organizational attachment of parent and nonparents. Personnel Psychology, 48, 271-288. 

  66. Grzywacz, J. G., & Bass, B. L. (2003). Work, family, and mental health: Testing different models of work-family fi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1): 248-261. 

  67. Haddock, S. A., & Bowling, S. W. (2002). Therapists' approaches to the normative challenges of dual-earner couples: Negotiating outdated societal ideologies. Journal of Feminist Family Therapy, 13(2-3), 91-120. 

  68. Hochschild, A. 1999. The Second Shift, BY; Avon Books. 

  69. McNall, L. A., Nicklin, J. M., & Masuda, A. D. (2010).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family enrichmen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5(3): 381-396. 

  70. Medley, M. L.(1976).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ears and older: A causal model. Journal of Gerontology, 31(4), 448-455. 

  71. Park, J., & Liao, T. F.(2000).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 changes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Sex roles, 43(7-8), 571-591. 

  72. Spitze, G.(1988). Women's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5-618. 

  73. Voydanoff, P. (2005). Consequences of boundaryspanning demands and resources for work-tofamily conflict and perceived stres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4), 491. 

  74. Wardsworth, L.L., & Owens, B. P.(2007).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7(1), 75-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