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수면 양상 및 영향요인
Sleep pattern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hospitalized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3, 2016년, pp.773 - 789  

장효열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김태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24시간 수면기록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일일 평균 수면시간은 10.7시간이었으며 낮 수면시간은 평균 3.9시간, 밤 수면시간은 평균 6.8시간 이었다. 총 수면규칙성은 71.7%였고, 낮 수면규칙성은 평균 58.1%, 밤 수면규칙성은 평균 80.5%였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병실 내 치매환자 유무로 10.3%의 설명력을 나타냈고, 수면 규칙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통증, 병실 내 치매환자 유무, 신체기능으로 16.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본 연구에서 확인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leep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ospitalized elderly in a long-term care hospital. The sleep patterns of 142 subjects were recorded using Sleep Charts. The average sleep time of subjects was 10.7 hours a day (3.9 hours in daytime and 6.8 hours in 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입원노인의 수면양상을 조사하여 입원 노인의 수면의 양과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 및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양질의 수면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노인의 수면양상을 24시간 관찰 기록함으로써, 기존의 자가 보고에 의한 노인수면 관련연구 결과에 비해 보다 객관적으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을 확인하고자 노력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과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입원노인의 수면개선 및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의 수면양상을 조사함으로서 입원 노인의 수면의 양과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7%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들이 주로 밤 수면규칙성을 의미하는 야간 수면효율에 관한 결과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비교 논의하고자 한다. 노인 요양병원에 입원한 치매노인의 야간수면효율을 조사한 Hur (2008)의 연구보고에서 야간 수면효율이 81.
  • 이에 본 연구는 일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면 양상과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 및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양질의 수면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노인의 수면양상을 24시간 관찰 기록함으로써, 기존의 자가 보고에 의한 노인수면 관련연구 결과에 비해 보다 객관적으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을 확인하고자 노력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한국인의 평균 건강수명은 어떠한가? 4%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한국인의 평균 건강수명은 66세로 평균수명인 80.6세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어 건강수명 이후의 생존기간 동안 한 가지 이상의 노인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Statistics Korea, 2012).
201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은 총 인구는 어떠한가? 오늘날 우리 사회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은 총 인구의 12.2%에 이르렀고, 2030년에는 24.3%, 2050년에는 37.
G시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24시간 수면기록을 조사한 결과는? G시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24시간 수면기록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일일 평균 수면시간은 10.7시간이었으며 낮 수면시간은 평균 3.9시간, 밤 수면시간은 평균 6.8시간 이었다. 총 수면규칙성은 71.7%였고, 낮 수면규칙성은 평균 58.1%, 밤 수면규칙성은 평균 80.5%였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병실 내 치매환자 유무로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lessi, C. A., Martin, J. L., Webber, A. P., Cynthia Kim, E., Harker, J. O. and Josephson, K. R. (2005).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abnormal sleep/wake patterns in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 803-810. 

  2. Auyeung, T. W., Kwok, T., Leung, J., Lee, J. S. W., Ohlsson, C., Vandenput, L., Wing, Y. K. and Woo, J. (2015). Sleep duration and disturbances were associated with testosterone level,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A cross-sectional study in 1274 older 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6, 630.e1-630.e6. 

  3. Barthlen, G. M. (2002). Sleep disorder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restless legs syndrome, and insomnia in geriatric patients. Geriatrics, 57, 34-40. 

  4. Chae, K. S. (2008). A study on sleeping patter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geriatric hospital,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Chen, J. C., Espeland, M. A., Brunner, R. L., Lovato, L. C., Wallace, R. B., Leng, X., Phillips, L. S., Robinson, J. G., Kotchen, J. M., Johnson, K. C., Manson, J. E., Stefanick, M. L., Sarto, G. E. and Mysiw, W. J. (2016). Sleep duration,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risk in older women. Alzheimer's & Dementia, 12, 21-33. 

  6. Driscoll, H. C., Serody, L., Patrick, S., Maurer, J., Bensasi, S., Houck, P. R., Mazumdar, S., Nofzinger, E. A., Bell, B., Nebes, R. D., Miller, M. D. and Reynolds, C. F. (2008). Sleeping well, aging well: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of sleep in "successful agers" 75 and older.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 74-82. 

  7. Faubel, R., Lopez-Garcia, E., Guallar-Castillon, P., Balboa-Castillo, T., Gutierrez-Fisac, J. L., Banegas, J. R. and Rodriguez-Artalejo, F. (2009). Sleep dur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 population-based cohort in Spai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32, 1059-1068. 

  8. Floyd, J. A. (1984).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sleep-wake rhythms and psychiatric hospital rest-activity schedule. Nursing Research, 33, 255-259. 

  9. Gabor, J. Y., Cooper, A. B. and Hanly, P. J. (2001). Sleep disrup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Current Opinion in Critical Care, 7, 21-27. 

  10. Han, S. J., Lee, E. Y., Kim, K. M. and Park, S. N. (2007). Comparison of sleep pattern, factors of sleep disturbance and sleep enhancement behaviors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non-sleep disturbance aged patients.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 14, 62-71. 

  11. Hidalog, J. L., Gras, C. B., Garcia, Y. D., Lapeira, J. T., DelCampo, J. M. and Verdejo, M. A. (2007). Functional status in the elderly with insomnia. Quality of Life Research , 16, 279-286. 

  12. Hong, S. J. and Kim, E. H. (2014). Effect of aroma head and neck massage on sleep disturbance and problematic behaviors, depression, blood serotonin, blood cortisol, and the vital signs on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10, 75-92. 

  13. Hur, B. Y. (2008). Sleep disorders of elders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hospital,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4. Jung, I. K., Kwak, D. I., Shin, D. K., Lee, M. S., Lee, H. S. and Kim, J. Y. (1997).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36, 103-112. 

  15. Kang, Y. O. (2006).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 1-12. 

  16. Kang, Y. O., Na, D. R. and Han, S. H.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 300-308. 

  17. Kim, C. S., Yoo, K. S. and Hong, S. H. (2014).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on arthralgia, ankylosis, depression and sleep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 207-216. 

  18. Kim, D. G. (2011). The causes of sleep disturbance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9. Kim, E. H. and Moon, S. Y. (2014).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atient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 415-426. 

  20. Kim, G. D. (2000a). A study on sleep patterns, sleep disturbing factors and quality of sleep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10, 247-270. 

  21. Kim, G. D. (2000b). A study on quality of sleep and sleep disturbing factor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 173-192. 

  22. Kim, H. J., Lee, Y. and Sohng, K. Y. (2016). The effects of footbath on sleep among the older adults in nursing home: A quasi-experimental study.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6, 40-46. 

  23. Kim, J. Y., Ryu, H. S., Nam, S. H. and Park, K. S. (2014).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nocturia and insomnia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7, 1-9. 

  24. Kim, M. S. and Kim, J. I. (2015).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state, daily living activities (ADL, IADL), sleep state, and depression among old people at elderly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 2609-2619. 

  25. Kim, M. Y., Cho, S. H., Lee, S. M., Chung, S. J. and Park, K. S. (1999). Elderly sleep pattern and disturbing factors before and after hospita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61-71. 

  26. Ko, Y. J. and Hyun, M. Y. (2013).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 359-367. 

  27. Krueger, P. M. and Friedman, E. M. (2009). Sleep duration in the United States: a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9, 1052-1063. 

  28. Kwon, K. H. (2009).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of sleep quality of the elderly, Ph. D. Thesis, Kyungpook University, Daegu. 

  29. Kwon, K. H., Seo, S. R., and Seo, B. D. (2010). Sleep patterns and factors influencing sleep in institutionalizedelders and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 131-141. 

  30. Kwon, Y. R. (2008). A study on the physical funct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1. Lee, C. Y., Low, L. P. L. and Twinn, S. (2008). Older patients'experiences of sleep in the hospital: Disruptions and remedies. The Open Sleep Journal, 1, 29-33. 

  32. Lee, H. S. (2011). Factors of sleep disturbance and sleep patterns according to age in older hospitalized women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186-194. 

  33. Lee, J. M. and Kim, N. H. (2011). Sleep patterns and factors related to sleep disturbance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421-432. 

  34. Leggett, A., Pepin, R., Sonnega, A. and Assari, S. (2016). Predictors of new onset sleep medication and treatment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glv227. 

  35. Lewis, H. E. and Masterton, J. P. (1957). Sleep and wakefulness in the arctic. Lancet , 1, 1262-1266. 

  36. Liao, W. C., Wang, L., Kuo, C. P., Lo, C., Chiu, M. J. and Ting, H. (2013). Effect of a warm footbath before bedtime on body temperature and sleep in older adults with good and poor sleep: An experimental crossover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0, 1607-1616. 

  37. Makhlouf, M. M., Ayoub, A. I. and Abdel-Fattah, M. M. (2007). Insomnia symptoms and their correlates among elderly in geriatric homes in Alexandria, Egypt. Sleep and Breathing , 11, 187-194. 

  38. Mauk, K. L. (2005). Promoting sound sleep habits in older adults. Nursing2015, 35, 22-25. 

  39.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Press release No. 286, http://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D4000. 

  40. Newman, D. K. (2002). Managing and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Health Professional Press, Baltimore. 

  41. Ohayon, M. M. (2010). Nocturnal awakenings and difficulty resuming sleep: Their burden in the European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9, 565-571. 

  42. Ohayon, M. M. and Vecchierini, M. F. (2002). Daytime sleepines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populatio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2, 201-208. 

  43. Pace-Schott, E. F. and Spencer, R. M. C. (2011). Age-related changes in the cognitive function of sleep. Progress in Brain Research, 191, 75?89. 

  44. Park, B. U. (2011). Correlation between sleep and depression of long-term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45. Park, C. and Choi, H. S. (2014).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tial on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complex sampl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829-846. 

  46. Park, M. J. (2013). Factors related to sleep of the elderly inpatients,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47. Park, Y. H. (2007). Physical activity and sleep patterns in elderly who visited a community senior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13. 

  48. Redeker, N. S. (2000). Sleep in acute care setting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 31-38. 

  49. Reyes, S., Algarin, C., Bunout, D. and Peirano, P. (2013). Sleep/wake patterns and physical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5, 175-181. 

  50. Rogers, A. E., Caruso, C. C., and Aldrich, M. S. (1993). Reliability of sleep diaries for assessment of sleep/wake patterns. Nursing Research, 42, 368-371. 

  51. Sartain, J. B. and Barry, J. J. (1999). The impact of an acute pain service on postoperative pain management. Anesthesia & Intensive Care, 27, 375-380. 

  52. Sheikh, J. I. and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5, 165-173. 

  53. Shim, H. J., Kim, J. S. and Kim, G. H. (2008). Factors affecting sleep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20, 573-587. 

  54. Sim, S. and Choi, K. (2013). An implementation of sample size and power calculations in testing differences of normal mean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477-485. 

  55. Statistics Korea (2012).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0 2060 , Publication No. 11-1240000-000125-13, http://kosis.kr/ups/ups{ $\backslash$ _}01List.jsp?grp{ $\backslash$ _}no1002. 

  56. Stone, K. L., Ensrud, K. E. and Ancoli-Israel, S. (2008). Sleep, insomnia and falls in elderly patients. Sleep Medicine, 9, S18-S22. 

  57. Taylor, D. J., Mallory, L. J., Lichstein, K. L., Durrence, H., Riedel, B. W. and Bush, A. J. (2007). Comorbidity of chronic insomnia with medical problems. SLEEP, 30, 213-218. 

  58. Tune, G. S. (1968). Sleep and wakefulness in normal human adults. British Medical Journal, 2, 269. 

  59. Won, C. W. (2002). 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and Korea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 1-10. 

  60. Yang, S. J. and Kim, J. S. (2010).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 108-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