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소득: 규범과 경험의 정책 과학적 분석 - 청년배당 지급조례 논의를 중심으로 -
Basic Income: Norms and Experience of Policy Scientific Analysis - In the Center of the Youth Dividend Ordinance Discussion -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4, 2016년, pp.119 - 141  

이명현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남시 청년배당 지급조례를 기본소득 실현 사례로 설정하여 그 도입에 있어서 문화복지위원회 회의록을 규범과 경험의 정책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다. 주요 문장을 질적 코딩하여 재분류하는 분석방법을 응용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 찬성논의는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목적으로 청년배당을 이해한다. 또한 원리적으로 기존정책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도덕적으로 정당하지 아니하며 정책의 비교 우위에 대한 모호성과 수단의 비효율성 등 원리적, 수단적 차원에서 반대 논의가 제기된다. 경험적 차원에서 찬성논의는 사회적 배려대책으로 이해하며 기존 대책의 기능부전에 따른 혁신적 정책 도입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반대논의는 목표 효율성과 급여 내용에 대한 문제를 들고 있다. 양측이 너무 대조적이므로 합의는 어려우며 정치적 진영 논리가 중요 변수가 될 수 있다. 기본소득은 인간의 자기실현에 대한 새로운 사고실험이므로 생산주의 복지정책과는 다른 정책과학이다. 즉 총체적 생활지원을 요구하는 돌봄의 사회정책을 제한 조건으로 하는 실질적 자유를 위한 물질적 지원을 고려하는 비경험적 정책이다. 기존의 정책 과학적 평가 이전에 자율적인 삶의 실현을 지향하는 그 자체의 철학적 의미에 대한 이해와 복지 정치와 운동을 통한 정체성 알리기는 여전히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norms and experience the Seongnam youth dividend ordinance. Youth dividend pros in the normative dimension to understand in order to achieve social justice. Further, youth dividend can replace the existing policy.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of youth divi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남시 청년배당의 목적은? 성남시 청년배당은 청년 복지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2016년부터 시행됐다. 성남시 청년배당 실행방안 용역보고서에 의하면 청년배당은 기본소득이라고 공식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정책이란? 정책이란 특정 목적을 가진 개인이나 집단이 그것을 실현하는 형태나 대책, 수단을 의미하므로 모든 주체는 정책과 관련된 절차, 프로그램, 기술 등 실행수단(implementation measures)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정책과학이 문제 삼는 것은 대부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적 정치주체에 의해 실행되는 정책이다.
기본소득에 대해 경험주의를 강조하는 사람들의 관점의 문제점은? 경험주의를 강조하는 사람들은 정책을 개별 프로그램으로 세분하여 별개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는 기본소득과 같이 좌우에 걸쳐 그 추구하는 목적은 다르지만, 지지하는 목소리가 많은 정책은 정당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특히 어떤 정책효과가 광범하다고 평가할 경우, 오히려 표면적으로 애매한 정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때문에 기본소득의 가치는 다른 정책수단보다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퇴색될 수 있다. 기본소득이 가장 효율적 수단이라는 것을 논증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하지만, 그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교성, 2016, "이 시대 '복지국가'의 쓸모?!: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우리시대 사회복지의 쓸모를 묻다, 2016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5-48. 

  2. 백승호, 2010. "기본소득 모델들의 소득재분배 효과 비교분석", 사회복지연구. 41(3): 185-222. 

  3. 이명현, 2010, "시민권과 기본소득: 호혜성 원리 중심의 고찰", 사회보장연구. 26(4). 433-457. 

  4. 이명현?강대선, 2016, "기본소득: 목적 자체인가 아니면 정책수단인가", 사회적 생태적 전환과 기본소득, 제16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대회 자료집: 421-431. 

  5. 이승윤, 2016, "한국 불안정 노동시장과 사회수당",이제 사회수당을 말하자, 2016년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7-44. 

  6. 주은선, 2013, "한국의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모색: 현행의 복지국가 프로그램과 한시적 시민수당의 결합에 대한 시론", 비판사회정책, 99(9): 83-126. 

  7. 황혜신, 2006, "메타방법론으로서의 Fischer의 정책평가의 논리에 관한 고찰-국민연금 사례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8(4): 1173-1204. 

  8. 성남시의회 회의록 검색시스템(http://www.sncouncil.go.kr/source2013/assembly/main/main.html), 문화복지위원회 회의록. 2015. 11. 24. 

  9. 奧田知志他, 2014.生活困窮者伴走的支援, 東京: 明石書店 

  10. 齊藤 拓, 2009. "ベ?シックインカム論者はなぜBIにコミットするのか?-手段的BI論と原理的BI論について", Core Ethics, Vol 5: 149-158. 

  11. 佐藤郁哉, 2014.質的DATA分析法, 東京: 新曜社. 

  12. 池本他譯, 2009, 格差社會衝擊, 東京: 書籍工房早山. 

  13. Bowles, S., and Gintis, H., 2001, "A Cooperative Specie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Fischer, Frank, 2007, "Deliberative Policy Analysis as Practical Reason: Integrating Empiracal and Normative Arguments", in Frank Fischer, Geerald Miller, J., and S/Sidney, M.,(eds), Handbook of Public Policy Analysis, Boca Raton(Florida): CRC Press: 223-236. 

  15. Fischer, Frank, 1995, "Evaluating Public Policy", Belmont CA: Wadsworth. 

  16. Fitzpatrick, Tony, 1999, "Freedom and Security: an introduction to the Basic Income Debate", Basicngstoke, Hants: Macmillan. 

  17. Germain, C. B., and Gitterman, A., 1980, "The Life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8. Mayeroff, M., 1971, "On Caring", NY: Harper and Row. 

  19. Phillips, J., 2007, "Key Concepts of Care", NY: Polity Press. 

  20. Van Parijs, Philippe, 1995, "Real freedom for All: What can justify capitalism?", Oxford: Clarendon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