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보건영역의 탈시설화에 대한 사회적 공간이론의 탐색적 적용
An Exploration on the Applicative Potentials of the Late Modern Social Space to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Mental Health Field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4, 2016년, pp.225 - 246  

최명민 (백석대학교) ,  권자영 (세명대학교) ,  김기덕 (순천향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신장애인의 삶의 공간을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전환하려는 탈시설화는 사회복지영역에서 인권과 복지라는 근대 이념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려는 대표적 노력이다. 이러한 이념 구현 노력은 탈시설화가 작동하는 현장인 현대사회의 사회적 공간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더해짐으로써 그 가능성과 적실성을 더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탈시설화가 구현되는 사회적 공간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해, 인권과 복지와 같은 이념적 차원이나 탈시설화 구현의 조건 및 환경에 관한 정책 차원에서 진행된 기존 논의를 사회적 맥락으로 확장하여 조명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우선 탈시설화와 관련된 기존 논의들을 정리하고 본 논문의 주요 분석 관점인 후기근대 사회적 공간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이러한 후기근대의 사회공간의 성격이 정신장애인의 탈시설화와 맞물릴 때 어떠한 현상들이 나타나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후기 근대공간에서 정신장애인의 탈시설화의 구현 노력과 관련된 연구의 함의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otentials of the late modern social space theories concerning deinstitutionalization issues in the field of the Mental Health. Deinstitutionalizatio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living space mentally ill people from facilities to the com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제거대상으로 거론되어 온 반 인권적, 반 복지적 요소들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정신장애인의 회전문 현상이나 지역사회 내 정신장애인의 범죄 등 탈시설화로 인한 새로운 문제들마저 부각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들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념적, 제도적 접근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 배경적 요인을 밝혀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입장이다. 다시 말해 정신장애인의 탈시설화는 이념과 정책이 작동하는 현실적 장(場), 즉 시설과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우리시대의 ‘공간’이 어떤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제대로 이해할 때 보다 현실적인 탈시설화의 논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 등을 충분히 이해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념과 제도적 차원의 논의와 더불어, 사회적 공간이라고 하는 구체적 현실에 대한 분석이 보완되어야만 탈시설화의 진정한 의미와 효과에 대한 총체적인 판단과 전망이 가능하리라는 것이 본 연구의 근본적인 입장이다.
  • 첫 번째 차원은 Foucault, Lefebvre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이들은 기본적으로 공간을 권력의 관점으로 바라본다. 따라서 이들은 공간에서 작동하는 사회적 권력의 배치와 작동에 대해 주목하면서 특정한 공간 내에서 권력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이들이 어떻게 사회를 구성하고 구성원들을 움직여 나가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두 번째 차원은 Harvey와 Castell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 지지되는 관점으로서 이들은 자본의 지배력을 중심으로 근대도시를 분석하고 이 도시의 구성원들이 어떻게 거대자본의 공간적 담론에 지배되는지를 분석하는 정치경제학적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 이를 위해서는 사회공간적 담론 뿐 아니라 그 근간이 되는 우리의 삶의 방식이나 근대사회에 대한 문화와 문명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자각과 변화들은 사회복지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물론 사회복지계의 노력만으로 변화되기는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 이 절은 본 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앞서 논의한 후기 근대의 공간적 특성이 탈시설화의 조건과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이 시대 사회적 공간의 특성은 크게 유동화와 소비화, 개인화와 연대의 약화, 윤리의 약화와 도덕적 무관심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기까지 하는 정신장애인과 탈시설화를 둘러싼 이러한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의 출현을 어떻게 이해할까? 이러한 문제제기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탈시설화에 대한 기존의 이념적 혹은 정책적 접근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를 비판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근본적 문제제기는 기존의 탈시설화 논의가 지향하는 인권이나 복지의 이념적 연구나 제도와 정책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현실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이 이념과 정책들이 작동하는 후기 근대의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의 특성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이러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근대사회에 대한 새로운 사회과학으로 크게 관심을 끌고 있는 ‘사회적 공간’에 대한 논의(신지은, 2012; 조명래, 2013; 이일수 역, 2009)’를 통해 탈시설화를 재조명함으로써 이념과 정책 차원에서 논의되던 탈시설화를 보다 큰 사회적 맥락에서 조명하고, 탈시설화가 당면한 현실적 한계와 도전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기존 연구들은 주로 탈시설화의 구현을 위해 바람직한 이념과 정책 차원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탈시설화를 통해 정신장애인이 처하게 되는 시설 밖 사회적 공간의 구체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이념과 전략이 작동하고 있는 이 시대의 배경적 공간구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개별 인간이 가진 다양한 이질성에 대한 정보가 축적됨에 따라 이들 정보에 근거하여 접근을 허용할 대상과 허용하지 않는 대상을 분리해 버리는 전략은 바로 밴옵티콘(banopticon) 지향의 공간이 된다.9) 명목적으로는 모든 이방인들이 접근할 자유를 가진 공적인 공간이지만 이미 접근할 수 있는 범주가 나누어져 감시되고 배재되는 전혀 예의 없는 공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시설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노력 가운데 특히 정신장애인의 삶의 공간을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전환하려는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는 앞서 언급한 근대적 이념 구현의 대표적 사례로서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복지의 지향이라는 측면에서 가장 의미 있는 사건 중 하나이다. ‘닫힌 시설에서 열린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탈시설화는 당사자주의, 인권, 사회통합, 정상화, 회복 등의 개념과 결합되면서 정신보건 패러다임의 분명한 변화를 가져왔다. 요컨대 탈시설화에 기반을 둔 지역사회정신건강은 인간존엄성의 가치를 이념적 핵심으로 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규정되어 왔다(양옥경, 1996).
정신질환자의 탈시설화를 뒷받침하는 대표적 논리는 무엇인가? 그러므로 정신질환자의 탈시설화를 뒷받침하는 대표적 논리는 인권관점과 복지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인권관점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편적이고 동일하게 적용되는 합리적인 권리를 향유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입장이다.
복지관점에서 볼 때 시설에서의 생활이 정당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복지관점에서 볼 때 비록 당사자 본인에 의한 선택이라고 하더라도 시설에서의 생활은 기본적으로 정당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한다. 왜냐하면 시설은 고립적이고 권력관계에 의한 억압이 존재하는 나쁜 삶으로 이어지며 장기간의 시설 보호과정에서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취약하고 무능력한 존재로 자신을 인식하는 시설병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지관점에 의하면 개인의 선택인 시설을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친구나 가족과 함께 사는 삶이 이상적인 것이다(양옥경, 1996; 김명연,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권오용, 2014, "정신장애인의 법적능력과 정신보건법상 비자의 입원 및 치료",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269-282. 

  2. 권진숙?김정진?전석균?성준모, 2014,정신보건사회복지론, 경기 고양시: 공동체. 

  3. 김기덕, 2014, "현대사회의 특성과 사회복지의 위상: 바우만의 유동적 근대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2014(1): 163-187. 

  4. 김기덕?최명민, 2014, "바우만(Bauman)의 근대성 이론을 통한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유동성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6(4): 53-75. 

  5. 김명연, 2011, "장애인의 탈시설권리", 민주법학, 45: 149-178. 

  6. 김문근?이용표, 2001, "정신장애인 주거시설 거주자의 기초인식 및 주거시설의 실태조사보고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7. 김문근?김이영, 2008, 재가 정신장애인 가족의 생활실태 조사연구, 국가인권위원회. 

  8. 김문근?하경희, 2016, "장기입원 정신질환자의 탈시설화를 위한 정신보건전달체계 개편방안 : 정신보건기관 기능개편에 관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3(3): 31-57. 

  9. 김영숙, 2010,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시설의 실태와 주거환경지원방안",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6): 47-68. 

  10. 김정우, 1995, "미국의 탈시설화 운동과 장애인 복지행정에 비추어 본 우리의 과제", 사회과학, 34(1): 95-112. 

  11. 김준호, 2011, "노숙인이라는 사회적 발명품, 그리고 공간의 정치", 시민과 세계, 20: 109-121. 

  12. 김해성?조영달 역, 2013,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Mulhall, Stephen, Swift, Adam, 1996, Liberals & Communitarians, 파주: 한울. 

  13. 김현경, 2015, 사람, 장소, 환대, 서울: 문학과 지성사. 

  14. 미디어 오늘, 2016, "가난한 환자 내보내라, 정부가 말은 했지만", 2016년 7월 3일. 

  15. 박선영, 2010,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 11(1): 79-108. 

  16. 박진우 역, 2008, 호모 사케르: 주권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Agamben, G., 1998,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서울: 새물결. 

  17. 박형진, 2012, "배제와 포함의 복지정치: 장애인 생활시설과 탈시설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글로벌사회복지연구, 2(1): 53-78. 

  18. 미디어 오늘, 2016, "'가난한 환자 내보내라' 정부가 말은 안 했지만...", 2016년 7월 3일. 

  19. 비마이너, 2015a, "강제입원 막기 위해 후견인 도입? 절대 안 돼", 2015년 5월 22일. 

  20. 비마이너, 2015b, "정신요양시설 30년 이상 입원자, 교도소의 43배", 2015년 9월 10일. 

  21. 서미경, 2010, "외래치료명령제도에 관한 연구 : 뉴질랜드 CTO의 적용기준, 과정, 인권보호방안을 통하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 : 111-140. 

  22. 서수경?김윤?박종익?이명수?장홍석?이선영?이진석, 2009, "우리나라 정신질환자의 의료이용 현황과 장기입원 관련 요인"대한예방의학회, 42(6): 416-423. 

  23. 서울신문, 2015, "급성 정신질환자 급증하는데... 돈 안되는 폐쇄병동 줄어든다 : 기계적 시술 없어 병원 수익 저하 이유", 2015년 7월 15일. 

  24. 서진환.이선혜.신동근.권오용.박김영희, 2012, 정신장애인 차별.편견 해소를 위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발간자료. 

  25. 성희자?문순영, 2015, "정신보건법에서의 탈원화과정 분석", 사회과학연구, 31(1): 303-325. 

  26. 신영전, 2009, "정신장애인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한 국가보고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과제", 국가인원위회 발표회 자료집, 57-58. 

  27. 신지은, 2012, "사회성의 공간적 상상력 : 신체-공간론을 통해 본 공간적 실천", 한국사회학, 46(5) : 323-351. 

  28. 심세광?전혜리 역, 2014, 정신의학의 권력, Foucault, M., 2003, Le pouvoir psychiatrique, 서울 : 난장. 

  29. 양영란 역, 2011, 공간의 생산, Lefebvre, H.,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서울: 에코리브르. 

  30. 양옥경, 1996, 지역사회정신건강, 파주: 나남출판. 

  31. 양옥경, 2006, 정신보건과 사회복지, 파주: 나남출판. 

  32. 연합뉴스, 2016, "경찰청장, 범죄우려 정신질환자 발견 시 '행정입원' 조치", 2016년 5월 23일. 

  33. 유승호, 2013, "후기근대와 공간적 전환: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공간", 사회와 이론, 23(2): 75-104. 

  34. 의학신문, 2015, "정신과 의료급여환자 헌법소원 제기 :의료급여, 건강보험가입자 진료비 '10분의 1 수준", 2015년 12월 29일. 

  35. 이근희, 2009, "정신장애인의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국가보고서에 대한 고찰",사회복지실천, 8 : 129-149. 

  36. 이봉원, 1998,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과 사회복지관의 참여", 동광, 95 : 32-73. 

  37. 이수영 역, 2004, 새로운 빈곤, Bauman, Z., 1998, Work, Consumerism and the New Poor, 서울: 천지인. 

  38. 이일수 역, 2009, 액체근대, Bauman, Z., 2000, Liquid Modernity, 서울: 강. 

  39. 조명래, 2013, 공간으로 사회 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 파주: 한울아카데미. 

  40. 조윤화?권오용?이선화, 2015, "정신장애인 지역사회통합 개념에 관한 고찰",장애인복지연구, 6(1): 169-192. 

  41. 정일준 역, 2008,쓰레기가 되는 삶 : 모더니티와 그 추방자들, Bauman, Z., 2004, Wasted Lives: Modernity and Outcasts, 서울: 새물결. 

  42. 조형근, 2012, "역사 구부리기: 근대성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서울사회과학연구소 편,근대성의 경계를 찾아서, 서울: 중원문화, 15-40. 

  43. 중부일보, 2016, "입원 환자 퇴원 강요한 용인정신병원...배식.청소노동까지", 2016년 11월 8일. 

  44. 최명민?정병오, 2015, "근대사회 사례관리의 계보학적 분석: 누구를 위한 사회복지실천인가?",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5(10): 79-105. 

  45. 최명민, 2016, "책임을 맡기려면 신분과 처우부터 보장해야 : 서울시 정신건강증진센터 파업에 부쳐", 복지이슈 Today, 44: 6. 

  46. 한병철, 2013, 피로사회, 서울: 문학과 지성사. 

  47. 한병철, 2014, 투명사회, 서울: 문학과 지성사. 

  48. 한병철, 2015, 심리정치: 신자유주의의 통치술. 서울: 문학과 지성사. 

  49. 홍선미?하경희?김문근, 2013,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의 사회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기초생활을 위한 소득보장과 주거권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7(1): 5-31. 

  50. 홍지수 역, 2013, 방황하는 개인들의 사회, Bauman, Z. 2001, The Individualized Society, 서울 : 봄아필. 

  51. 황보람, 2009, "사회서비스정책의 윤리정치성 진단범주에 관한 시론적 연구: 성찰적 근대성 이론과 사회공간 이론의 관점".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1): 63-89. 

  52. 황성동, 1999, "캘리포니아주 주립병원 입원환자들의 변화 추세 및 한국 정신보건제도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39: 350-373. 

  53. Chodoff, P., 1984, " Involuntary hospitalization of the mentally ill as a moral issu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1: 384-389. 

  54. Doll, W., Thompson, E. H., and Lefton, M., 1976, "An Invisible Crisis: The Burden of Family Coping With the Mentally Ill as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Deinstitutionaliz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Orthopsychiatric Association 53rd, Atlanta, Georgia, March: 1-25. 

  55. French, L., 1987, "Victimization of the Mentally Ill: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Deinstitutionalization", Social Work, 32(6): 502-505. 

  56. Grob, G. N., 1995, "The Paradox of Deinstitutionalization", Society, 32(5): 51-59. 

  57. Ladd, R., 1996, "Children's Rights Re-visited: Philosophical Reading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58. Soja, E., 2010, "Seeking Spatial Justi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